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정보교류센터

의료인의 서재

Home > 정보교류센터 > 의료인의 서재

주목할 책

카테고리

  • 내 몸에 딱 맞는 한방성형 정우현 (지은이) 매직하우스 | 2018-02-09 한방성형에 대해 알려준다. 성형외과에서는 안면의 뼈를 깎아내어 원하는 곡선을 얻어내는데 비해 한방성형은 오직 침만으로 시술을 한다. 뼈에는 전혀 손상이 없으며 오직 안면근육의 균형적인 감각을 통하여 원하는 아름다움을 만들어가는 방법이다.

  • 무릎혁명 - 관절염 명의 양혁재 원장이 전하는 줄기세포치료의 모든 것 양혁재 (지은이) 헬스조선 | 2018-02-05 줄기세포치료가 무엇인지 설명하는 것을 시작으로, 아직 줄기세포치료가 낯선 관절염 환자를 위해 현장에서 마주한 다양한 치료 사례를 소개해 폭넓은 이해를 돕는다. 단순히 줄기세포치료가 만능이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지금까지 의사가 말해주지 않았던 기존 치료의 한계를 지...

  • 생명의 꽃을 피워내다 - 초경부터 임신과 출산, 폐경까지 여성의 건강 이야기 지은혜 (지은이) 더보이스 | 2018-02-05 초경부터 임신과 출산, 폐경까지 여성의 건강 이야기를 들려준다. 여성전문한방병원 수원인애한의원을 운영하는 지은혜 한의사가 지난 몇 년 간 하이닥과 민중의 소리에 직접 연재한 칼럼들을 수정, 보완하여 엮었다.

  • 아파도 괜찮아 - 당신에게 필요한 치유와 회복의 선물 진정주 (지은이) 행복에너지 | 2018-02-01 한의학의 한 갈래이지만 우리에게는 낯선 ‘고방’의 ‘음양허실’ 이론과 서양의학의 호르몬 이론, 심리학적인 스트레스 관리 등을 통해 기존의 의학 및 한의학으로 쉽게 치료하기 어려운 ‘일상적인 고통’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백세인과 아침식사 다니엘라 마리 (지은이) | 주효숙 (옮긴이) 영림카디널 | 2018-01-31 백세인들의 삶의 궤적을 의학적, 철학적, 그리고 예술적으로 조명하고, 젊고 건강하게 사는 ‘엑티브 에이징(active aging)’의 비법을 다양한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저자는 2017년 4월에 117세로 세상을 떠난 당시 세계 최고령자 엠마 모라노의 담당 의사였다....

  • 움직여라, 당신의 뇌가 젊어진다 - 불안과 스트레스, 노화에서 벗어나는 가장 건강한 방법 (원제 The Real Happy Pill, 2016년) 안데르스 한센 (지은이) | 김성훈 (옮긴이) 반니 | 2018-01-31 신체활동이 어떻게 뇌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뇌과학이 밝혀낸 사실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운동이 뇌의 특정 기능과 호르몬의 생성과 작용 그리고 기타 여러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우리가 흔히 느끼는 스트레스, 우울, 불안, 행복, 창의성이 운동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 유산균이 운명을 바꾼다 이동호 (지은이) 맑은샘(김양수) | 2018-01-30 장내세균에 의한 인간의 여러 질병의 발생기전, 변화되는 질병 양상에 있어 그 역할이 제시하고 있고, 여러 질병의 치료, 예방 등에 관해 자세하고 광범위한 연구 결과를 소개한다.

  • 천연약 - 뿌리, 잎, 꽃, 열매로 내 몸을 바꾸는 자연 건강법 이케다 아키코 | 학연플러스 (지은이) | 김은혜 (옮긴이) 한문화 | 2018-01-30 130여 가지 식물로 40여 가지 증상을 다스리는 천연약 레시피를 담았다. 몸에 유용한 130여 종의 식물을 일상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는 데 중점을 뒀다. 우리 몸에 증상이 발생했을 때 어떤 식재료나 식물을 사용하면 좋은지, 평소에 어떤 방식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

  • 암 쑥뜸법 - 공대교수가 쓴 조봉관 (지은이) 골든트리미디어 | 2018-01-26 암이라는 것은 생명과 동반하여 끊임없이 생기는 것이고, 쑥뜸은 바로 암의 예방 및 치료에 적합한 한의학이라 말한다. 특히 저자는 항암(抗癌)쑥뜸 대신 화암(和癌)쑥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는데 그 이유는, 쑥뜸이 암을 죽이고 제거하는 것이 아니고, 쑥뜸을 하면 암 통증을...

  • 한국의 민간요법 연구 김태용 (지은이) 지식산업사 | 2018-01-26 문헌에 나타난 한국 민간요법과 그 현황 및 연구 실태를 다방면으로 분석하고, 민간요법 활성화 방안을 법적.제도적 차원에서 명쾌하게 제시함으로써 의료계를 포함한 한국인들에게 시의적절한 화두를 던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