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정보교류센터

의료인의 서재

Home > 정보교류센터 > 의료인의 서재

주목할 책

카테고리

  • 맥으로 보는 대뇌 - 차원이 다른 수지침 두경요법(頭頸療法) 개론 김경대 (지은이) 명진씨앤피 | 2019-12-23 수지침 원리 및 효능 등 고급이론 지침서. 1975년부터 거의 반세기 동안 개량 발전시켜온 수지침에 대한 원리와 이론을 망라하였다. 이 책의 주 내용은 수지침을 통해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법에 대한 개략적 개론이며,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과 표를 사용해 의료인뿐만 아니...

  • 실전! 시력복귀 훈련 - 시력 2.0 도전 양순철, 이광진, 이범수 (지은이) 좋은땅 | 2019-12-19 비수술 시력복귀가 가능한 이유를 1장에서부터 간결하게 설명한다. 이어 다양한 시력저하의 원인들에 대해서 알아본다. 2장에서는 시력복귀에 꼭 필요한 눈과 안경에 대한 기본적 지식에 대해서 소개하고 3장에서는 시력에 관련된 잘못된 지식들에 대해서 알아보며 보는 방법을 알고...

  • 한방 명의 여기에 부산일보 톡한방 포럼 (지은이) 해성 | 2019-12-15 한의학이 쉽게 이해되고 읽힐 수 있도록 부산 지역 주여 특화 한의원들이 분야별로 엄선된 한방 건강정보를 제공하고자 이 책을 내게 되었다. 뇌 건강, 면역, 척추디스크, 방광암, 턱관절장애, 야간빈뇨, 안면떨림, 눈 질환, 안면 홍조, 다한증, 과민성대장증후군, 관절염,...

  • 뜻하지 않게 오래 살게 된 요즘 사람들에게 - 동네 한의사의 달고도 쓴소리 김형찬 (지은이) 숨쉬는책공장 | 2019-12-09 저자는 제대로 건강을 다지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가 조상 대대로 이어져온 몸으로 달라진 현대 사회에 살고 있다는 점을 우선 인지해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흔히 유전적 요인이라 불리는 요소나 운에 내 몸과 건강을 맡기기보다 좋은 선택을 하며 살아야 한다고 말한다.

  • 당뇨탈출 - 정밀저탄 & 주기단식을 통한 최연국 (지은이) 웰다잉포유연구소 | 2019-12-05 당뇨는 병이 아니다. 평생 약을 먹어서 관리해야 하는 되돌릴 수 없는 질병이 아니라는 말이다. 자신에게 유익하면서 포도당 전환속도가 낮은 음식을 골라 규칙적으로 적게 먹기만 하면 확실하게 당뇨로부터 탈출할 수 있다. 그와 관련한 지식들과 실제 당뇨탈출을 돕는 과정에서 ...

  • 황제내경 영추집주 黃帝內經 靈樞集注 장지총 (지은이), 박태민 (옮긴이) 책밥풀 | 2019-11-27 중국의 신화인물인 황제와 그의 신하이자 천하의 명의인 기백岐伯‧소사少師‧백고伯高‧뇌공雷公‧소유少兪와의 의술에 관한 내용을 문답식으로 기록한 책이다.

  • 사상체질·팔체질 라리마건강법 - 체질의학 전문한의사의 발효건강 프로젝트 류주열 (지은이) 물고기숲 | 2019-11-22 라리마건강법은 저자가 30년 이상 수많은 난치병환자를 치료하면서 오랜 임상경험 끝에 얻은 지혜다. 이 건강법은 현대인들의 불합리한 생활과 상황(오염된 몸과 오염된 식재료)에 맞추어 체질식의 한계와 부족함, 체질식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였다. 또한 오늘날 모든 건강법의 ...

  • 한국의 식용버섯 약용버섯 359가지 - 김오곤 원장이 추천하는 동의보감 약초사랑 (지은이) 꿈이있는집플러스 | 2019-11-18 이 책은 독버섯 구별법과 식용버섯 189가지, 식용약용버섯 81가지와 약용버섯 91가지로 구성되어 있어 누구나 손쉽게 볼 수 있게 하였다. 흔히 접할 수 있는 식용버섯과 약용버섯들을 모아 보았다.

  • 유도주 상한론강의 2 - 현대중국 상한학의 태두 류두저우 교수, 평맥법·상한례·변경습갈맥증을 강의하다 유도주 (지은이), 임동국 (옮긴이) 물고기숲 | 2019-11-15 명가명사강의총서 7권. 류두저우 교수는 《상한론》을 평생 연구한 중국의 저명한 임상가이자 학자로 ‘상한론의 대가’라 불린다. 이 책은 《상한론》을 배우고 연구하는 데 있어 가장 이상적인 텍스트가 될 것이며, 《상한론》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초학자든 전문가든 누구나 이 ...

  • 신유체질침 - 전통침의 현대화 유창범, 김승수 (지은이) 고구려미디어 | 2019-11-04 오랜 동안 사암침법과 8체질침법을 연구하던 저자는 임상&연구 중에 두 침법의 치명적인 모순을 발견하게 됐다. 시술 후 효과가 없는 데 주목했다. 왜 효과가 없을까? 그 답을 알기 위해 수많은 임상을 하면서 새 침법의 임상을 시도했다. 음양오행의 누락된 심포 삼초경에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