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통합검색
닫기

KMCRIC 챗봇에게

질문하기!

지식솔루션센터

생활 속에서 찾아보는 한의학 이야기

생활 속 한의

Home > 지식솔루션센터 > 생활 속 한의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41. 이간 離間
  • 글쓴이: 이강재
  • 등록일 : 2023-09-01
  • 조회수: 88

이간계(離間計)란 두 사람 사이에서 서로를 헐뜯어서 관계가 멀어지도록 만드는 계책이다. 위험을 무릅쓰고 상대를 힘들게 공격하는 것보다 말을 통해서 손쉽게 상대를 무너뜨리는 방법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약한 쪽에서 강한 적을 분열시키고 자기들끼리 싸우게...

#40. 먹다
  • 글쓴이: 이강재
  • 등록일 : 2023-08-07
  • 조회수: 99

사람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일은 먹고 싶은 것을 참는 일보다는 훨씬 어렵고 힘들다. 동무 이제마 공은 깊은 병의 근원이 감정(哀怒喜樂)과 욕심임을 알았고 그것을 강조했다. 권도원 선생은 대중에게 그것을 강조하는 일이 어려운 것임을 일찍 깨닫고...

#39. 성격으로 체질을?
  • 글쓴이: 이강재
  • 등록일 : 2023-07-03
  • 조회수: 153

성격이나 특징만으로 체질을 알 수 있을까? 2015년 2월에 『8체질이 뭐지? 내 체질은 뭘까?』를 출판했다. 인터넷 서점에 올라온 100자 평 중에 이런 내용이 있다. “이 책을 처음 봤을 땐 좀 실망했다. 성격으로 체질을 안다?” 또, 8체질 커뮤니티인 Oneste...

#38. 내일이 없는 날이 온다면
  • 글쓴이: 이강재
  • 등록일 : 2023-06-01
  • 조회수: 138

질병에 대한 나의 생각이다. 사람이 병을 앓는 일은 산에 오르는 것과 같다. 즉 병이 산이다. 오르고 내려오는 길이 어렵지 않은 동네 뒷산은 가벼운 병이다. 깊고 어렵고 위태로운 병은 오르기 힘든 높고 험한 산이다. 질병이 산이라면 의사는 가이드이다. 어려운 산에...

#37. 8체질의학에서 면역
  • 글쓴이: 이강재
  • 등록일 : 2023-05-02
  • 조회수: 214

8체질의학의 치료는 면역치료라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8체질 임상의가 ‘면역치료’라는 말을 사용할 때 개념이 저마다 다른 듯하다. 그렇다면 창시자는 이 용어를 어떻게 규정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자료를 찾아보았다. 권도원(權度杬, 1921~2022) 선생은...

#36. 진실은 그저 진실이다
  • 글쓴이: 이강재
  • 등록일 : 2023-04-03
  • 조회수: 212

사람이 행하는 모든 일에는 그 바탕에 믿음이 있다. 이 믿음이 사람을, 위대한 것을 이루도록 이끌고 또한 사람을 추악하게 만들기도 한다. 가치란 항상 상대적이니 무엇이 좋은 믿음이고 또 나쁜 믿음인지 단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결국 삶을 살아간다는 것은 ‘무엇을...

#35. 허식의 이파리
  • 글쓴이: 이강재
  • 등록일 : 2023-03-03
  • 조회수: 182

1980년 가을, 내가 다닌 계성고등학교 도서관의 서가에서 책을 하나 집어 들었다. 순전히 제목 때문이었다. 현암사에서 펴낸 『하나의 나뭇잎이 흔들릴 때』이다. 이어령(李御寧) 선생의 어린 시절에 관한 이야기였다. 그렇게 이어령을 처음 알았고 청년기 이어령의 삶...

#34. 사촌이 산 땅
  • 글쓴이: 이강재
  • 등록일 : 2023-02-03
  • 조회수: 267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우리 속담이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사촌’ 항목에서 보면, ‘남이 잘되는 것을 기뻐해 주지는 않고 오히려 질투하고 시기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해설되어 있다. 그러니 이 속담의 키워드는 질투와...

#33. 너만 알고 있어
  • 글쓴이: 이강재
  • 등록일 : 2023-01-02
  • 조회수: 225

사람들이 비밀을 공유하는 것은 그것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피곤하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일견 일리가 있다. 하지만 이것은 쉬운 일반론일 뿐이다. 비밀의 공유는 그것을 처음 발설하는 사람이 평소에 가진 기본적인 태도의 문제이다. 체질적인 특성...

#32. 동무東武와 동호東湖
  • 글쓴이: 이강재
  • 등록일 : 2022-12-15
  • 조회수: 289

체질(體質)이란 다름이다. 태음인(太陰人)은 오랜 시간을 두고 기초부터 차근차근 지식을 쌓고 경험을 축적하고, 그런 후에 자신의 몸 안에서 녹여내는 과정을 거쳐야 어느 날 문득 깨달음의 순간이 온다. 그리고 또 그런 깨달음들이 쌓여서 이른바 대가(大家)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