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 한의
Home > 지식솔루션센터 > 생활 속 한의안덕균 교수의 약초 이야기
국내에서 자생하는 약용자원을 종합하면 약 100여 종에 이른다. 이 중에서도 비교적 약효가 두드러지고 있으나 한의사나 일반인들이 잘 알지 못하는 약효들을 알려주고 또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금의 시대는 재래적인 방법으로 약물을 전탕하거나 단순한 환을 만들어서 복용하는 시절은 이미 지나가고 있다. 같은 약이라도 가공처리를 했을 때 몇 배에서 몇백 배의 약효를 내는 방법들을 찾고 이를 임상에 적용할 때 환경보호와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 믿어진다. [학력]-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석사, 박사학위 취득
[경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외래교수
- 포천중문의대 대체의학대학원 겸임교수
- 건국대학교 녹용연구센터 자문위원
- 보건복지부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위원
- 한국생약협회 학술위원회 위원장
- 한국겨레문화연구원(재) 상무이사
- 세종대왕기념사업회(사) 상무이사
- 대한발효한약학회, 한방외치요법학회, 대한항노화학회, 한방피부미용학회 고문
- 뉴트렉스한의원 대표원장
- 중앙공무원교육원, 국방대학원, 경희대 강사
-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강북한약농산물검사소 감별위원
-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의약품시험연구소 수입한약재 감별위원
- 경기의약연구센터 한약검사소 감별위원
- 한국식품연구소 한약재관능검사위원회위원
- 바이오텍크놀로지 고문
- 엘지생활건강 고문
- 아모레퍼시픽 자문위원
- 엘림한의원 대표원장
금은화(Lonicera japonica)

금은화는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속(genus lonicera)에 속하는 인동덩굴(L. japonica Thunb.)의 꽃봉오리 또는 막 피기 시작한 꽃입니다. 중국 역시 한국과 동일하게 인동덩굴(L. japonica Thunb.)의 꽃봉오리와 꽃을 금은화의 기원식물로 사용하고 있지만, 이외에도 회전모인동(L. macranthoides), 홍선인동(L. hypoglauca), 화남인동(L. confusa), 황갈모인동(L. fulvotomentosa)의 본초를 산은화로 사용하고 있습니다.(한국의 경우 산은화는 인정하지 않습니다.)
금은화는 동아시아의 재래종으로, 1500년전 중국 하남성(河南省) 봉구현(封邱縣)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었다고 기록되고 있습니다. 현재 금은화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멕시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미국 등의 동아시아 이외 국가의 귀화식물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금은화가 재배지를 넘어 광범위하게 번식하는 탓에 북아메리카 및 뉴질랜드 등은 금은화를 유해식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1].
전통적 사용
금은화는 다양한 약리작용으로 한의학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는데, 한의학의 초기 본초서인 『신농본초경』 에서도 금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본초강목』, 『명의별록』 등의 다양한 본초서가 금은화를 수록하고 있으며, 1995년 이후 중국약전에도 등재되어 있습니다. 또한 금은화는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 sars)의 유행 시, 사스(코로나바이러스)의 치료제로 유명세를 타기도 했습니다.
또한 금은화는 중국에서 식품 및 음료에 사용됩니다. 청나라 『연수방단(燕守方丹)』은 "금은화는 피부를 촉촉하고, 젊어지게 한다"고 적고 있으며, 이러한 금은화의 효과로 인해 중국에는 금은화차, 금은화주, 금은화 음료, 금은화 요구르트 등이 판매됩니다. 더불어 금은화는 화장품 등에도 사용되는데 금은화 마스크, 금은화 치약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국에서도 금은화를 이용한 화장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1].
성분
1. 에센셜 오일
2. 유기산(organic acids)
3. 플라본(Flavones)
4. 이리도이드(Iridoids)
5. 사포닌(Saponins)
에센셜 오일은 금은화의 주요 성분 중 하나입니다. 재밌는 점은 금은화의 서식 환경, 수확 시기, 이용 부위, 추출 방법, 포제에 따라 각기 다른 함량을 보인다는 점입니다. 몇몇 연구에 따르면 지역은 중국 중부, 시기는 꽃이 완전 백색 또는 은색일 때, 부위는 꽃을 수확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합니다. 또한 금은화는 건조 시 에센셜 오일이 감소하기 때문에 저온이면서 빛이 없는 건조 및 추출이 좋다고 합니다.
현재 chlorogenic acid(유기산)과 luteolin(루테올린) 두 성분을 금은화의 지표물질로 삼고 있지만, chlorogenic acid는 식방풍, 회향, 광동금전초 등의 본초에서도 발견됩니다. 특히 금은화보다 많은 함량이 보고되기도 하기 때문에 금은화의 지표물질로 적당한지에 대한 반론이 존재합니다.[1]

약리작용
1. 항염증 작용
1) 비만세포 활성억제
2) 염증 매개인자의 억제
3) 부종억제
2. 항바이러스 작용
3. 항균활성
4. 항산화 활성
5. 간보호(hepatoprotective) 활성
6. 항암 활성
7. 살충 및 항-진드기
8. 항-임신(Anti-pregnant) 활성
9. 항고지혈증 및 항혈전 활성
10. 항-리파아제 활성
많은 in vivo, in vitro 연구에서 금은화 추출물이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다양한 염증 인자를 억제한다는 점이 밝혀졌습니다. 이러한 항염증 작용으로 금은화는 다양한 피부질환에 사용되고 있으며, 근골격계 질환 치료제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2, 3].
1980년대 이후로 금은화의 항바이러스 작용이 연구되었는데,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4],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5], HSV(단순포진바이러스), PRV(가성광견병바이러스), NDV(뉴캐슬병바이러스)에 대한 억제작용이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인플루엔자에 감염시킨 실험동물에 chlorogenic acid를 처치하면 증상이 호전된다는 보고도 존재합니다 [1]. 이와 같은 금은화의 항바이러스 활성으로 인해, 중국약전에는 쌍황련과립과 같은 금은화제제를 상기도감염 약물로 등재하고 있습니다 [6].
금은화 연구에서 흥미로운 부분은, 금은화의 항-임신 활성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금은화 추출물은 쥐, 개, 원숭이에서 항-임신 효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특히 임신 쥐의 혈청 프로게스테론을 감소시켰습니다. 이러한 결과로 연구의 저자는 금은화 추출물의 임신 방해효과는 혈청 프로게스테론 감소 그리고/또는 프로스타글란딘-유사 작용에 기인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1986년 보고된 이후, 추가로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추가 연구 및 사람에도 동일하게 항-임신 작용을 보이는지 확인되어야 합니다 [1].
이외에도 금은화는 가벼운 소화성 궤양을 예방하며, 해열작용 등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1].
주의사항
금은화는 4-15g정도의 용량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무독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독성연구는 중국에서 시행된 몇 건의 급성 및 아급성 독성연구가 있습니다. 금은화 5000mg/kg의 단일처치에 변화 및 사망은 없었으며, 1000mg/kg의 14일간 처치에도 장기의 무게변화 및 혈액독성, 조직학적 변화는 없었습니다. 그러나 만성독성연구 등이 요구됩니다 [1].
참고문헌
ⓒ 공병희 원장의 현대적 본초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