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적 본초 읽기

2000년 전부터 약용으로 쓰인 본초에 대한 연구는 역사 속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는 광물 등을 포함해 약 1만개 정도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대본초의 연구는 현대과학과 한의학을 결합해 본초의 전통적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새로운 조합과 사용법 등에 관한 연구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현대본초의 지식은 전통한의학과 만나,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현 사랑채움한의원 원장
- 대한한의진단학회 회원
- 민족의학신문 명예기자 (2012.07-2013.07)
-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우수 IP (2013.05-2018.04)

공병희
공병희

본초에 대한 지식은 오래전부터 꾸준히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과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과거와는 다른 형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칼럼을 통해 현대본초라는 이름으로 본초의 현대과학적 연구, 새로운 제형, 배오 등에 관한 지식을 전하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Baillon)

 
GBH11-01.jpg


주로 ‘차’를 통해 만나게 되는 오미자는 한의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식물 오미자는 과거에 목련과 (Magnoliaceae)에 속하곤 했으나, 현재는 오미자과 (Schizandraceae) 오미자속 (genus Schisandra)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오미자속은 약 25종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 2종의 오미자가 한의학에서 중요합니다. S. chinensis와 S. sphenanthera로 S. chinensis를 북오미자로 부르며 S. sphenanthera를 남오미자로 부릅니다 [1]. Fil’kin A.M.은 오미자에 대해 설명하면서 남오미자에 비해 북오미자가 효과적일 것 같다고 서술했습니다 [2].


전통적 사용


오미자는 가장 오래된 본초서인 <신농본초경> 上品에 기재된 본초로 그만큼 약물로 사용된 역사가 오래되었습니다. 오미자의 약용적 쓰임을 보면 성 기능 강화, 유정, 몽정, 야뇨증, 빈뇨, 체액 손상, 자한, 도한, 기침, 천식, 구갈, 단기, 재채기, 소모 질환, 동계 및 불면 등이 있습니다 [1].


성분


 1. lignan
 2. 정유
 3. 기타


오미자에는 주로 lignan과 정유가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lignan에 대한 다양한 약리작용이 보고됩니다 [1]. 주로 알려진 오미자의 lignan 성분은 schizandrin A-C, schisandrol A, B, Gomisin N, B 등입니다.


GBH11-02.jpg

약리작용


GBH11-03.jpg

오미자는 비교적 연구가 많이 진행된 한약재 중 하나입니다. 실험연구에 따르면, 오미자는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 (수영 테스트, 열 스트레스, 산소분압 증가, 저산소 및 저기압 상황, 한랭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킵니다. 이와 유사하게 몇몇 임상연구에서 오미자는 강장 작용을 보였으며, 육체작업능력을 개선하고 동작의 정확성을 증가시켰습니다 [2]. 이러한 이유로 몇몇 보고들은 운동선수에게 오미자를 추천하기도 합니다 [3].


오미자는 또한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을 하여, 동물연구에서 오미자의 에탄올 분획은 강한 진정 및 최면활성을 보였습니다 [4]. 이어진 연구에 따르면 오미자는 불면 쥐의 뇌에서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증가시켜 수면유도 작용을 할 것으로 추측됩니다 [5]. 실제로 가미온담탕 (加味溫膽湯), 천왕보심단 (天王補心丹) 또는 불면증의 처방에서 오미자의 사용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오미자는 야간시력의 강화, 어둠에 빨리 적응하게 하는 등의 시각기능에 대한 작용과 간보호, 항산화, 심혈관계 및 위장질환에 대한 작용이 보고되었습니다 [2].


주의사항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에서 오미자의 부작용은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한 연구에서는 415명이 한 달간 오미자를 이용해도 아무런 부작용이 없었습니다. 또한 8개월간 1,162명이 오미자 잎을 복용했지만 부작용 보고는 없었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2].


참고문헌


[1] Lu Y, Chen DF. Analysis of Schisandra chinensis and Schisandra sphenanthera. J Chromatogr A. 2009 Mar 13;1216(11):1980-90. doi: 10.1016/j.chroma.2008.09.070.


[2] Panossian A, Wikman G. Pharmacology of Schisandra chinensis Bail.: an overview of Russian research and uses in medicine. J Ethnopharmacol. 2008 Jul 23;118(2):183-212. doi: 10.1016/j.jep.2008.04.020.


[3] Koncic MZ, Tomczyk M. New insights into dietary supplements used in sport: active substances, pharmacological and side effects. Curr Drug Targets. 2013 Aug;14(9):1079-92.


[4] Huang F, Xiong Y, Xu L, Ma S, Dou C. Sedative and hypnotic activities of the ethanol fraction from Fructus Schisandrae in mice and rats. J Ethnopharmacol. 2007 Apr 4;110(3):471-5.


[5] Wei B, Li Q, Su D, Fan R, Zhao L, Geng L, He B, Chen X, Jia Y, Bi K. Development of a UFLC-MS/MS method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ix lignans of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in rat plasma and its application to a comparative pharmacokinetic study in normal and insomnic rats. J Pharm Biomed Anal. 2013 Apr 15;77:120-7. doi: 10.1016/j.jpba.2013.01.029.



ⓒ 공병희 원장의 현대적 본초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