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사 방성혜의 엄마가 읽는 동의보감

두 아들을 둔 엄마 한의사 방성혜입니다. 아이를 키우는 일은 무척 귀한 일이지만 또한 매우 힘든 일이기도 하지요. <동의보감> 속에는 아이들을 키우는 엄마들을 위한 양육의 지혜가 곳곳에 숨어 있습니다. 부족하지만 이 칼럼을 통해서 그 양육의 지혜를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학력]
-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졸업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석사, 박사학위 취득 (의사학)

[경력]
- 현 인사랑한의원 원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원 의사학교실 겸임교수
- MBC 창사특별기획드라마 <마의> 한의학 자문

[저서]
- 2017 『조선왕조 건강실록』
- 2016 『아토피, 반드시 나을 수 있다』
- 2015 『용포 속의 비밀, 미치도록 가렵도다』
- 2014 『동의보감 디톡스』
- 2013 『엄마가 읽는 동의보감』
- 2012 『마흔에 읽는 동의보감』
- 2012 『조선, 종기와 사투를 벌이다』
- 2012 『조선 최고의 외과의사 백광현뎐 1, 2』

방성혜
방성혜

두 아들을 둔 엄마 한의사 방성혜입니다. 아이를 키우는 일은 무척 귀한 일이지만 또한 매우 힘든 일이기도 하지요. <동의보감> 속에는 아이들을 키우는 엄마들을 위한 양육의 지혜가 곳곳에 숨어 있습니다. 부족하지만 이 칼럼을 통해서 그 양육의 지혜를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질투심이 많은 아이는 어떻게 키워야 할까?

 

BSH28 Main.jpg


일등에만 집착하는 아이


한 여자아이와 할머니가 한의원으로 내원하였다. 아이의 부모는 맞벌이를 하고 있기에 갓난아이 때부터 외할머니가 아이를 키워주고 계셨다. 할머니의 말에 의하면 아이는 공부를 아주 잘했다. 모든 조기교육과 선행학습은 다 섭렵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학교 성적은 최상위급이라는 것이다. 머리도 총명하고 학습능력도 뛰어나다고 한다.


그런데 할머니가 손녀를 데리고 한의원까지 오게 된 이유는 바로 아이의 두통이었다. 툭하면 머리가 아프다고 하였다. 유치원 시절부터 이 두통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무슨 수가 뒤틀리는 일이 생기면 아이가 그렇게 머리가 아프다고 데굴데굴 구르는 것이 어제오늘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어떤 날은 배도 아프다고 한단다. 할머니는 땅이 꺼져라 한숨을 푹푹 쉬고 계셨다.


아이는 어려서부터 유독 샘이 많았다고 한다. 특히 지는 것을 무지하게 싫어하여서 다른 아이가 자신보다 더 잘하는 것을 눈 뜨고 보지를 못 한다는 것이다. 학교에 들어가서도 혹시라도 다른 아이에게 지는 날이면 여지없이 집에 돌아와 머리가 아프다면서 방바닥을 구른다고 한다. 공부를 잘하는 건 좋은데, 그냥 적당히 잘해도 충분한데, 이렇게 일등에 집착하고 경쟁심이 심하니 몸도 아픈 것 아니냐며 할머니가 걱정이었다.


더 얘기를 들어보니 그 경쟁심과 질투심은 아이의 엄마에게서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엄마가 직장생활로 바쁜 와중에도 유명한 학원을 열심히 알아봐서 아이를 보낸다는 것이다. 할머니는 발언권이 없으니 그저 딸이 보내라는 대로 시간 되면 손녀를 학원에 보낼 수밖에 없다고 한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똑똑한 딸로 키우는 것이 엄마의 목표인데, 아이 역시 반항하지 않고 잘 따라와 주고 있다고 한다. 오히려 일등이 되기 위해 엄마보다 더 열심히 학교와 학원과 개인 과외에 충실하다고 한다. 얘기를 듣다 보니 내 머리가 아파올 지경이었다.


경쟁심과 질투심은 동전의 양면


사람에게는 누구나 욕심이란 것이 있다. 그런데 모든 사람의 욕심이 다 충족될 수는 없다. 그래서 경쟁이란 것을 하게 된다. 경쟁의 결과로 욕심이 충족된 사람과 그러지 못한 사람이 나뉘게 된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한 사람은 속이 상하고 좌절하게 된다. 그래서 원하는 것을 얻은 사람을 질투하고 시기하게 된다. 이렇게 욕심으로 인해 경쟁심이 생기고 경쟁심이 충족되지 못하면 질투심이나 시기심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욕심과 경쟁심은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면 이 사회를 살아가는 데 강력한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다.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고 향상시키는 좋은 에너지원이 될 수 있다. 문제는 이것이 질투심이라는 얼굴로 돌변할 때이다. 긍정적인 경쟁심은 개인과 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지만, 병적인 질투심과 시기심은 결과에만 집착하게 만들기에 개인과 사회를 뒤틀리게 만든다.


위에서 말한 그 아이는 경쟁심이 질투심으로 바뀔 때 두통이 생겼던 것이다. 경쟁심이 시기심으로 변할 때 복통이 생겼던 것이다. 이때 엄마가 “잘 못해도 된다. 열심히만 하면 된다.” 이 한마디만 해주면 아이의 두통과 복통이 나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 엄마는 아이가 아플 때마다 이렇게 말한다고 한다. “얼른 약 먹어라.”


BSH 28 01.jpg


잘할 때만 칭찬하지 마라


만약 아이가 유독 경쟁심이 치열하고 질투심이 강하다면 먼저 엄마의 모습부터 뒤돌아보아야 한다. 혹시 아이가 잘했을 때만 칭찬해주고 아이가 잘 못했을 때는 야단치지는 않았는지 돌이켜 보아라. 잘할 때만 칭찬해 주었다면 아이는 부모의 관심과 사랑을 받으려고 결과에 집착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일등에만 매달리게 된다. 엄마가 과정을 보지 않고 결과만을 보았다면, 그래서 결과가 좋았을 때만 아이를 칭찬해주었다면 아이는 은연중에 결과만을 중시하는 가치관을 가지게 된다.


그러니 경쟁심과 질투심이 지나친 아이라면 과정에서 기쁨을 얻을 수 있는 활동을 시켜주는 것이 좋다. 완성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활동이라면 더욱 좋다. 또한 그 결과가 OX로 나뉘거나 혹은 수치로 측정되지 않는 것이면 더더욱 좋다.


예를 들어 그림을 그리더라도 작은 종이에 그리기보다는 벽을 덮을 만한 큰 종이에 그려서 시간과 정성이 많이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 사람도 그리고 집도 그리고 산도 그린다. 몇 날 며칠이 걸려 마침내 그림이 완성되면 아이에게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정말 잘 그렸구나. 우리 딸의 정성이 대단하구나. 이렇게 힘들게 완성한 그림에 과연 점수라는 것을 매길 수 있을까? 만약 그래도 매겨야 한다면 엄마는 우리 딸이 그림을 그리느라 애썼던 그 노력과 정성에 최고 점수를 매겨주고 싶어.” 과정에 노력한 것을 칭찬해 주는 것이다. 혹은 이렇게 말할 수도 있다. “정말 잘 그렸구나. 그런데 사람이 제일 눈에 잘 띄게 그렸네. 만약에 집도 산도 그리지 않고 오직 사람만 그렸다면 이 그림이 어떻게 되었을까? 집도 있고 산도 함께 있으니까 이 사람이 더욱 빛나 보이잖아. 그러니 이 그림에서 중요하지 않은 것은 하나도 없어. 눈에 잘 띄는 사람도 중요하지만 눈에 잘 띄지 않는 집과 산도 모두 중요한 거지. 우리 딸이 그걸 잘 알고 있나 보네.” 일등에게만 가치가 부여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은연중에 알려주는 것이다.


그림을 그리건 요리를 하건 장난감을 조립하건 간에 과정이 오래 걸리고 정성이 들어가는 활동을 시켜주어라. 음식을 만든다면 발효 음식처럼 시간과 정성이 들어가는 것이면 더욱 좋다. 또한 그 과정 동안의 노력을 칭찬해주고 혹시 실수나 실패를 하더라도 야단치지 말고 오히려 용기를 주어야 한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게 되면, 그것도 가장 가까운 엄마에게서 느끼게 된다면 아이는 자랄수록 결과에만 집착하게 될 것이다.


칠기를 흩어주어라


사람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여러 가지 감정을 칠정(七情)이라고 부른다. 기뻐하고 화나고 슬퍼하고 고뇌하고 근심하고 놀라고 두려운 감정이 바로 칠정이다. 문제는 이런 칠정이 너무 지나쳐서 병이 될 때이다. 이렇게 칠정이 극에 달하여 병을 일으키게 되면 이것을 칠기(七氣)라고 부른다.


뒤틀린 경쟁심과 질투심은 이러한 칠정에 불을 활활 질러 칠기를 부르게 된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면 화가 나고 또 슬프고,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 고뇌하고, 다음번에도 얻지 못할까 근심하고, 다음번 결과에 놀라고, 실수할까 두렵고 등등 질투심과 시기심은 온갖 감정을 사람의 심장 속에서 끓어오르게 만든다. 이렇게 칠정이 극에 달하여 칠기가 되면 온갖 통증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엄마의 온갖 노력에도 불구하고 타고나기를 샘이 많고 질투심이 많아 잘 고쳐지지 않는 아이들도 분명 있을 것이다. 당장 이 질투심이 고쳐지지는 않더라도 몸과 마음에 병이 생기게 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지 않도록 한 가지 습관을 어려서부터 길러주면 좋다. 바로 칠기를 흩어주는 습관이다. 칠기를 흩어주고 칠기로 인한 병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좋은 습관은 바로 운동이다.


그러니 질투심과 시기심이 많은 아이라면 어려서부터 운동의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면 좋다. 가장 즐겁게 할 수 있는 운동 한 가지를 꼭 익히게 해주어라. 그렇다고 또 운동을 하면서 이기고 지는 승패에 목매달게 해서는 절대 안 된다. 운동 그 자체를 즐기게 해주라는 것이다. 만약 앞서 말한 질투심이 많은 그 여자아이가 머리가 아프다고 했을 때 그 엄마가 “얼른 약 먹어라.” 이렇게 말하지 말고 “엄마랑 함께 나가서 운동하고 올까?” 이렇게 말한다면 진통제보다 더 좋은 처방이 될 것이다. 아이가 속상해하거나 우울할 때 운동을 하면서 기분을 푸는 습관을 만들어 준다면 아이의 평생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기틀을 닦아주는 것이다. 또한 승패에 얽매이지 않고 건전한 스포츠맨십을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으니 더욱 좋을 것이다.



© 한의사 방성혜의 엄마가 읽는 동의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