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적 본초 읽기

2000년 전부터 약용으로 쓰인 본초에 대한 연구는 역사 속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는 광물 등을 포함해 약 1만개 정도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대본초의 연구는 현대과학과 한의학을 결합해 본초의 전통적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새로운 조합과 사용법 등에 관한 연구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현대본초의 지식은 전통한의학과 만나,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현 사랑채움한의원 원장
- 대한한의진단학회 회원
- 민족의학신문 명예기자 (2012.07-2013.07)
-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우수 IP (2013.05-2018.04)

공병희
공병희

본초에 대한 지식은 오래전부터 꾸준히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과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과거와는 다른 형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칼럼을 통해 현대본초라는 이름으로 본초의 현대과학적 연구, 새로운 제형, 배오 등에 관한 지식을 전하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et Zuccarini)

 

GBH 22-01.jpg


산수유는 층층나무과 (Cornaceae) 산수유속 (Cornus genus)에 속한 산수유나무 (Cornus officinalis Siebold et Zuccarini)의 성숙한 과실로, 씨를 제거하고 사용한다. 


전통적 사용


산수유는 <신농본초경>에 수록된 약물로 오랜 역사를 가진다. 전통적으로 보익간신 (補益肝腎), 수삽고탈 (收澁固脫)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졌으며, 산수유를 포함하는 다양한 한약 처방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팔미지황환, 육미지황환 등이 있다.


성분


 1. Iridoid glycoside (이리도이드 글리코사이드): loganin, morroniside
 2. Secoiridoid glycoside (세코이리도이드 글리코사이드): sweroside, cornuside
 3. Bis-iridoid glycoside (비스-이리도이드 글리코사이드)
 4. Triterpenoid (트리테르페노이드)
 5. 기타


산수유 성분 중 loganin과 morroniside이 산수유 질 평가 지표로 사용된다. 한국의 경우 loganin과 morroniside의 합이 1.2% 이상을 함유해야 한다 [1]. 또한 이 단일 성분을 사용한 약리 연구가 보고된다.


약리작용


1. 항염증 작용

2. 당뇨병에 대한 작용
   1) 혈당 강하 작용
   2) GLUT4에 대한 작용
   3) 항산화 작용  

3. 당뇨 합병증에 대한 작용
   1) 당뇨병성 신장병증에 대한 활성
   2) 당뇨병성 간 손상에 대한 활성
   3) 기타

4. 간 보호 작용
5. 신경계에 대한 활성

6. 기타
   1) 항알레르기 작용
   2) 면역 조절 및 항염증 작용
   3) 대장염 동물모델


GBH 22-02.jpg


1. 항염증 작용
산수유 cornuside 성분의 전염증성 및 부착 분자 발현 억제 [2], iNOS, COX2 하향 조절 [3]을 보고했으며, 산수유 물 추출물의 NF-kB 하향 조절, iNOS, COX2 발현 억제를 통한 PGE2, NO 생성 억제 [4]에 대한 in vitro 연구를 보고했다.


2. 당뇨병에 대한 작용
1) 산수유에 함유된 oleanolic acid는 rats의 신경말단에서 ACh의 분비를 증가시켜, 췌장세포의 M3 수용체를 자극하고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켰다 [5]. 또한 산수유 메탄올 분획은 간의 당 생성을 억제하고, 췌장의 베타세포를 보호하며, 인슐린 분비를 촉진했다 [6]. 다른 연구에서 4주의 산수유 처치로 혈청의 혈당 및 TG가 감소되었다. 더욱이 췌장 베타세포의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켰다 (in vivo, STZ-induced diabetic rats).


2) 산수유 알코올 추출물은 GLUT4 mRNA 및 단백 발현을 증가시켰다 [7].


3) 산수유에서 분리한 7-O-galloyl-d-sedoheptulose (GS) 성분이 지방 조직의 산화 스트레스, 염증, 섬유증 및 세포사멸을 조절했다 (in vivo, db/db mice)[8]. 또한 산수유 분리/분획 역시 고혈당 유도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했다 (in vitro, HUVECs)[9]. 이 외에도 α-glucosidase 활성 억제를 보고했다 [10,11].


3. 당뇨 합병증에 대한 작용
1) 당뇨병성 신장병증에 대한 산수유의 약리 작용이 보고된다. Xu HQ 등의 연구에서 산수유 이리도이드 배당체 (iridoid glycosides)는 당뇨병 동물모델에서 TGF-β1의 혈청 단백 농도와 사구체 mRNA 발현을 감소시키며, fibronectin과 laminin의 신장 과다침착을 억제했다 (in vivo, rats, streptozotocin injection)[12]. 또한 Xu H 등의 연구에서 산수유 성분은 최종 당화 산물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에 의한 rat renal mesangial cell (혈관 사이 세포; MCs)의 증식을 개선했다 (in vitro, renal mesangial cell)[13]. 이후 Yamabe N 등의 연구에서 산수유 추출물은 고혈당에 의한 신 기능 손상을 개선했다 (in vivo, STZ-induced diabetic rats)[14]. 후속 연구에서는 산수유 활성 성분 분획을 확인했으며, 이리도이드 배당체는 고혈당 상태와 AGE 축적에 영향을 주는 반면, 저분자 폴리페놀 분획은 신장의 지질 산화, AGE, iNOS에 대한 수용체를 감소시켰다 [15]. Kim HJ 등은 당뇨 쥐에 산수유 물 추출물이 항산화 작용을 통해 신장 조직의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신장 보호 작용을 가진다고 보고했다 (in vivo, C57BL/6 or db/db mice)[16].


Yokozawa T 등은 산수유의 주요 성분으로 알려진 morroniside를 당뇨 쥐에 경구 처치했다. morroniside 성분은 혈청 포도당과 뇨단백 증가 및 혈청 요소질소를 감소시키고, 감소된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개선했다 [17]. Yamabe N 등은 산수유 7-O-galloyl-d-sedoheptulose (GS) 성분의 작용을 평가했다. 7-O-galloyl-d-sedoheptulose (GS) 성분은 신장 포도당, 산화 스트레스, AGE 형성을 개선했으며, 당뇨병성 신장병증에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나타냈다 (in vivo, STZ-induced diabetic rats)[18]. Jiang WL 등의 연구에서 산수유 loganin 성분은 ERK signaling pathway를 통해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의 분비를 감소시켰다 [19].


2) Park CH 등은 2형 당뇨모델에서 산수유 추출물이 간의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고, 이에 의한 간 보호 활성을 보고했다 [20]. 이어 산수유의 morroniside [21] 및 7-O-galloyl-d-sedoheptulose (GS) [22] 성분의 간 보호 작용이 보고된다.


3) 산수유 Total triterpene acids (TTAs)이 당뇨병성 심근병증을 개선했다 [23]. Chen Y 등은 산수유의 이리도이드 배당체가 당뇨 쥐의 정소 손상을 예방한다고 보고했다 [24].


4. 간 보호 작용
아세트아미노펜 (APAP) 유도 간 손상 mice에서 산수유 전처치는 APAP 유도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항산화 지표 (SOD, CAT, HO-1, 글루타치온)를 개선했다 (in vivo, mouse model)[25]. 또한 D-galactose 유도 간 손상 모델에서 산수유 다당류는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 개선으로 간 보호 활성을 나타냈다 (in vivo, mice)[26].


5. 신경계에 대한 활성
신경계에 대한 산수유 활성이 보고되었다. 산수유의 성분 p-coumaric acid, ursolic acid 등은 알츠하이머와 연관된 Aβ 유도 세포 독성을 억제했다 [27,28]. 산수유 메탄올 추출물의 glutamate 유도 독성 억제 활성이 보고되며 [29], 허혈-재관류 손상 억제도 보고된다 [19,30,31].


6. 기타
1) 항알레르기 작용 : Kim SH 등은 복강, 기관지, 비강 내 흡입 난알부민 (OVA, Ovalbumin) 알레르기 모델에서 산수유 추출물이 IgE, IL-5, IL-13을 감소시키며, 호산구 침윤, 알레르기성 기도 염증, 과민 반응을 억제함을 보고했다 (in vivo, BALB/c mice) [32].


2) 면역 조절 작용 : Du WF 등은 산수유 또는 포제 산수유의 다당류가 비특이 면역, 특이 체액성 면역, 특이 세포성 면역을 강화한다고 보고했다 (in vivo, immuno-suppressed mice)[33].


3) 대장염 동물모델 : Jang SE 등은 대장염 mice에서 ursolic acid의 항염증 작용을 평가했다. ursolic acid는 NF-kB 및 MAPK 신호 전달 경로를 조절하여 대장염을 개선했다 [34].


4) 혈관 이완 : 산수유의 cornuside 성분은 phenylephrine-precontracted rat aorta에서 용량의존적으로 혈관 이완 작용을 보였다 [35]. 또한 심비대 동물모델에서 산수유 처치는 혈압을 감소시켰으며, 심비대를 억제하고, 심 기능을 개선했다 [36].


5) Kim HL 등은 산약, 산수유, 지실, 길경으로 구성된 처방의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쥐에 대해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했다 [37]. Kam SC 등은 In vitro 연구를 통해 남가새, 산수유가 모두 용량의존적으로 해면체를 이완시켜 발기에 미치는 작용이 있다고 보고했다 [38]. 또한 Lv X 등은 지황, 산수유의 당뇨병성 신장병증에 대한 보호 작용을 연구했다 [39].


GBH 22-03.jpg


사용상 주의


산수유의 종자 추출물이 동물연구에서 독성을 나타냈다는 보고가 있지만, 산수유 자체의 독성연구는 현재 PubMed에서 검색되지 않는다.


참고문헌


[1] KIOM herbarium. 산수유(山茱萸).


[2] Kang DG, Moon MK, Lee AS, Kwon TO, Kim JS, Lee HS. Cornuside suppresses cytokine-induced proinflammatory and adhesion molecules in the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Biol Pharm Bull. 2007 Sep;30(9):1796-9.


[3] Choi YH, Jin GY, Li GZ, Yan GH. Cornuside suppresse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mediators by inhibiting nuclear factor-kappa B activation in RAW 264.7 macrophages. Biol Pharm Bull. 2011;34(7):959-66.


[4] Sung YH, Chang HK, Kim SE, Kim YM, Seo JH, Shin MC, Shin MS, Yi JW, Shin DH, Kim H, Kim CJ.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 of corni fructus in murine RAW 264.7 macrophage cells. J Med Food. 2009 Aug;12(4):788-95. doi: 10.1089/jmf.2008.1011.


[5] Hsu JH, Wu YC, Liu IM, Cheng JT. Release of acetylcholine to raise insulin secretion in Wistar rats by oleanolic acid, one of the active principles contained in Cornus officinalis. Neurosci Lett. 2006 Aug 14;404(1-2):112-6.


[6] Chen CC, Hsu CY, Chen CY, Liu HK. Fructus Corni suppresses hepatic gluconeogenesis related gene transcription, enhances glucose responsiveness of pancreatic beta-cells, and prevents toxin induced beta-cell death. J Ethnopharmacol. 2008 May 22;117(3):483-90. doi: 10.1016/j.jep.2008.02.032.


[7] Qian DS, Zhu YF, Zhu Q. Effect of alcohol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 on GLUT4 expression in skeletal muscle in type 2 (non-insulin-dependent) diabetic mellitus rats. Zhongguo Zhong Yao Za Zhi. 2001 Dec;26(12):859-62.


[8] Park CH, Tanaka T, Yokozawa T. Evaluation of 7-O-galloyl-D-sedoheptulose, isolated from Corni Fructus, in the adipose tissue of type 2 diabetic db/db mice. Fitoterapia. 2013 Sep;89:131-42. doi: 10.1016/j.fitote.2013.03.026.


[9] Cao G, Cai H, Cai B, Tu S. Effect of 5-hydroxymethylfurfural derived from processed Cornus officinalis on the prevention of high glucose-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and its mechanism. Food Chem. 2013 Sep 1;140(1-2):273-9. doi: 10.1016/j.foodchem.2012.11.143.


[10] He LH. Comparative study on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of total iridoid glycosides in the crude products and the wine-processed products from Cornus officinalis. Yakugaku Zasshi. 2011;131(12):1801-5.


[11] Park CH, Noh JS, Tanaka T, Uebaba K, Cho EJ, Yokozawa T. The effects of corni fructus extract and its fractions against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in vitro and sucrose tolerance in normal rats. Am J Chin Med. 2011;39(2):367-80.


[12] Xu HQ, Hao HP. Effects of iridoid total glycoside from Cornus officinalis on prevention of glomerular over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and matrixes in an experimental diabetes model. Biol Pharm Bull. 2004 Jul;27(7):1014-8.


[13] Xu H, Shen J, Liu H, Shi Y, Li L, Wei M. Morroniside and loganin extracted from Cornus officinalis have protective effects on rat mesangial cell proliferation exposed to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by preventing oxidative stress. Can J Physiol Pharmacol. 2006 Dec;84(12):1267-73.


[14] Yamabe N, Kang KS, Goto E, Tanaka T, Yokozawa T. Beneficial effect of Corni Fructus, a constituent of Hachimi-jio-gan, on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mediated renal injury in Streptozotocin-treated diabetic rats. Biol Pharm Bull. 2007 Mar;30(3):520-6.


[15] Yamabe N, Kang KS, Matsuo Y, Tanaka T, Yokozawa T. Identification of antidiabetic effect of iridoid glycosides and low molecular weight polyphenol fractions of Corni Fructus, a constituent of Hachimi-jio-ga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Biol Pharm Bull. 2007 Jul;30(7):1289-96.


[16] Kim HJ, Kim BH, Kim YC. Antioxidative action of corni fructus aqueous extract on kidneys of diabetic mice. Toxicol Res. 2011 Mar;27(1):37-41. doi: 10.5487/TR.2011.27.1.037.


[17] Yokozawa T, Yamabe N, Kim HY, Kang KS, Hur JM, Park CH, Tanaka T. Protective effects of morroniside isolated from Corni Fructus against renal damag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Biol Pharm Bull. 2008 Jul;31(7):1422-8.


[18] Yamabe N, Kang KS, Park CH, Tanaka T, Yokozawa T. 7-O-galloyl-D-sedoheptulose is a novel therapeutic agent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in the diabetic kidney. Biol Pharm Bull. 2009 Apr;32(4):657-64.


[19] Jiang WL, Chen XG, Zhu HB, Hou J, Tian JW. Cornuside attenuates apoptosis and ameliorates mitochondrial energy metabolism in rat cortical neurons. Pharmacology. 2009;84(3):162-70. doi: 10.1159/000235621.


[20] Park CH, Tanaka T, Kim JH, Cho EJ, Park JC, Shibahara N, Yokozawa T. Hepato-protective effects of loganin, iridoid glycoside from Corni Fructus, against hyperglycemia-activated signaling pathway in liver of type 2 diabetic db/db mice. Toxicology. 2011 Nov 28;290(1):14-21. doi: 10.1016/j.tox.2011.08.004.


[21] Park CH, Noh JS, Kim JH, Tanaka T, Zhao Q, Matsumoto K, Shibahara N, Yokozawa T. Evaluation of morroniside, iridoid glycoside from Corni Fructus, on diabetes-induced alterations such as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apoptosis in the liver of type 2 diabetic db/db mice. Biol Pharm Bull. 2011;34(10):1559-65.


[22] Park CH, Noh JS, Tanaka T, Roh SS, Lee JC, Yokozawa T. Polyphenol isolated from Corni Fructus, 7-O-galloyl-D-sedoheptulose, modulates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related pathway in type 2 diabetic db/db mice. Arch Pharm Res. 2015 Jun;38(6):1270-80. doi: 10.1007/s12272-014-0457-7.


[23] Qi MY, Liu HR, Dai DZ, Li N, Dai Y. Total triterpene acids, active ingredients from Fructus Corni, attenuate diabetic cardiomyopathy by normalizing ET pathway and expression of FKBP12.6 and SERCA2a in streptozotocin-rats. J Pharm Pharmacol. 2008 Dec;60(12):1687-94. doi: 10.1211/jpp/60.12.0016.


[24] Chen Y, Wu Y, Gan X, Liu K, Lv X, Shen H, Dai G, Xu H. Iridoid glycoside from Cornus officinalis ameliorated diabetes mellitus-induced testicular damage in male rats: Involvement of suppression of the AGEs/RAGE/p38 MAPK signaling pathway. J Ethnopharmacol. 2016 Dec 24;194:850-860. doi: 10.1016/j.jep.2016.10.079.


[25] Lee NH, Seo CS, Lee HY, Jung DY, Lee JK, Lee JA, Song KY, Shin HK, Lee MY, Seo YB, Kim H, Ha H.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rnus officinalis against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2;2012:804924. doi: 10.1155/2012/804924.


[26] Jiang ZQ, Li Y, Jiang LH, Gu H, Wang MY. Hepato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processed corni fructus against D-galactose-induced liver injury in mice. Zhong Yao Cai. 2013 Jan;36(1):85-9.


[27] Hong SY, Jeong WS, Jun M. Protective effects of the key compounds isolated from Corni fructus against β-amyloid-induced neurotoxicity in PC12 cells. Molecules. 2012 Sep 10;17(9):10831-45. doi: 10.3390/molecules170910831.


[28] Yoon JH, Youn K, Ho CT, Karwe MV, Jeong WS, Jun M. p-Coumaric acid and ursolic acid from Corni fructus attenuated β-amyloid(25-35)-induced toxicity through regulation of the NF-κB signaling pathway in PC12 cells. J Agric Food Chem. 2014 May 28;62(21):4911-6. doi: 10.1021/jf501314g.


[29] Jeong EJ, Kim TB, Yang H, Kang SY, Kim SY, Sung SH, Kim YC. Neuroprotective iridoid glycosides from Cornus officinalis fruits against glutamate-induced toxicity in HT22 hippocampal cells. Phytomedicine. 2012 Feb 15;19(3-4):317-21. doi: 10.1016/j.phymed.2011.08.068.


[30] Yao RQ, Zhang L, Wang W, Li L. Cornel iridoid glycoside promotes neurogenesis and angiogenesis and improves neurological function after focal cerebral ischemia in rats. Brain Res Bull. 2009 Apr 6;79(1):69-76. doi: 10.1016/j.brainresbull.2008.12.010.


[31] Wang W, Xu J, Li L, Wang P, Ji X, Ai H, Zhang L, Li L. Neuroprotective effect of morroniside on focal cerebral ischemia in rats. Brain Res Bull. 2010 Oct 30;83(5):196-201. doi: 10.1016/j.brainresbull.2010.07.003.


[32] Kim SH, Kim BK, Lee YC. Effects of Corni fructus on ovalbumin-induced airway inflammation and airway hyper-responsiveness in a mouse model of allergic asthma. J Inflamm (Lond). 2012 Mar 23;9(1):9. doi: 10.1186/1476-9255-9-9.


[33] Du WF, Wang MY, Cai BC. Effect of polysaccharides in crude and processed Cornus officinalis on the immunologic function of mice with immunosuppression induced. Zhong Yao Cai. 2008 May;31(5):715-7.


[34] Jang SE, Jeong JJ, Hyam SR, Han MJ, Kim DH. Ursolic acid isolated from the seed of Cornus officinalis ameliorates colitis in mice by inhibiting the binding of lipopolysaccharide to Toll-like receptor 4 on macrophages. J Agric Food Chem. 2014 Oct 8;62(40):9711-21. doi: 10.1021/jf501487v.


[35] Kang DG, Choi DH, Lee JK, Lee YJ, Moon MK, Yang SN, Kwon TO, Kwon JW, Kim JS, Lee HS. Endothelial NO/cGMP-dependent vascular relaxation of cornuside isolated from the fruit of Cornus officinalis. Planta Med. 2007 Nov;73(14):1436-40.


[36] Fang WJ, Feng JF, Lu XM, Lv MP, Cao SS, Li RF, Li Y, Li XM. Effect of Cornus officinalis fruit core extract on the cardiac hypertrophy induced by two kidney two clip. Zhong Yao Cai. 2012 Dec;35(12):1985-9.


[37] Kim HL, Jeon YD, Park J, Rim HK, Jeong MY, Lim H, Ko SG, Jang HJ, Lee BC, Lee KT, Lee KM, Lee H, Kim SH, Kim SJ, Hong SH, Um JY. Corni Fructus Containing Formulation Attenuates Weight Gain in Mice with Diet-Induced Obesity and Regulates Adipogenesis through AMPK.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2013:423741. doi: 10.1155/2013/423741.


[38] Kam SC, Do JM, Choi JH, Jeon BT, Roh GS, Hyun JS. In vivo and in vitro anim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a mixture of herbal extracts from Tribulus terrestris and Cornus officinalis on penile erection. J Sex Med. 2012 Oct;9(10):2544-51. doi: 10.1111/j.1743-6109.2012.02889.x.


[39] Lv X, Dai G, Lv G, Chen Y, Wu Y, Shen H, Xu H. Synergistic interaction of effective parts in Rehmanniae Radix and Cornus officinalis ameliorates renal injury in C57BL/KsJ-db/db diabetic mice: Involvement of suppression of AGEs/RAGE/SphK1 signaling pathway. J Ethnopharmacol. 2016 Jun 5;185:110-9. doi: 10.1016/j.jep.2016.03.017.



© 공병희 원장의 현대적 본초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