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베트남 메콩 델타와 새우코코넛밥

 

JTG 08-main.jpg



메콩강 하구 지역을 둘러본 시간은 짧았다. 하지만 강렬하게 남았다. 태양은 뜨거웠지만 풍요로움이 느껴지는 땅이었다.



4,350킬로미터 동남아시아의 젖줄


메콩 델타라 부르는 삼각주 지역. 티베트 고원에서 출발해 중국 윈난성을 지나 라오스와 태국, 캄보디아를 거쳐 베트남 최남단으로 흘러오는 메콩강의 끝자락이다. 총길이만 4,350킬로미터. 그중에서 베트남 영토를 지나가는 구간은 220킬로미터에 달한다. 동남아시아의 젖줄과도 같은 강이다. 이 물길에 기대어 살아가는 이의 모습을 무척 보고 싶었다. 하노이에서 달랏, 냐짱, 호찌민으로 이어지는 열흘간의 여행 일정을 마다하지 않았던 건 메콩 델타 때문이었다. 흔하게 오는 기회가 아니어서 망설일 이유가 없었다.


JTG 08-01.jpg


개인적으로 삼각주라는 명칭은 한강 하구의 그럭저럭 널따란 섬을 연상케 했다. 여행을 다니는 게 직업임에도, 삼각주라는 지형을 수차에 걸쳐 다녀보았음에도, 좀처럼 저 편견은 떨어지지 않았다. 메콩 델타에 발을 들이고서야 삼각주라는 지형이 얼마나 광대한지를 다시 절감한다. 이곳의 총면적은 50,000제곱킬로미터에 달한다. 환산하면 151억하고도 2,500평이라는 광대한 사이즈다. 가도 가도 끝이 보이지 않는 밀림과 평원. 한참을 달리고서야 베트남 사람이 벤째성 (Bên Tre Province)이라 부르는 지역에 도착했다. 호찌민에서는 버스로 두 시간이 넘는 거리였다.


10월의 호찌민도 ‘덥다’는 소리가 절로 나왔는데, 벤째성에 도착하고 나니 헉 소리가 났다. 적도에 훨씬 더 가까워져서일까, 찜통 속이라는 표현이 딱 맞을 만큼 높은 습도와 높은 온도. 부채질로도 덜어내기 어려운 더위였다. 습기 가득한 남서 계절풍의 영향이다. 이 바람이 부는 계절에는 강의 수량이 늘어난다. 그중에서도 10월에 절정이다. 11월부터 비로소 바람이 바뀌어 북동 계절풍이 내려온다. 이 시기부터 다음 해 5월까지가 건기다. 건조한 기후가 계속되는 동안에는 벼농사에 필요한 물이 부족할 정도라고.


JTG 08-02.jpg


이 일대는 대체로 습지를 이루고 있고 벼농사에 좋은 천혜의 조건을 갖췄다. 그래서 메콩강 전체를 통틀어서 이곳에 정착한 인구가 가장 많다고 했다. 베트남 전체인구의 약 30%가 메콩강 삼각주 지역에 거주한다. 그만큼 강 하류는 살기에 좋다. 풍족하기 때문이다. 4,000킬로미터를 훌쩍 넘는 긴 물길이 실어 나른 퇴적물은 유기물이 풍부해서 비옥한 지대를 이룬다. 먹을 것의 걱정을 덜 수 있다면, 그만한 생존의 조건이 또 있을까. 심지어 이 땅에서 생산하는 쌀은 베트남 전체 생산량의 60%를 차지한다.



사방에 널려있는 자연의 선물


배에 올랐다. 메콩 델타는 습지여서 배를 타고 이동하며 둘러보는 식으로 관광을 진행한다. 강은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땅에 여기저기 물길을 냈다. 그 사이사이마다 사람이 자리를 잡고 삶의 터전을 닦았다. 눈 돌려 보이는 건 온통 코코넛 나무다. 배에 시동을 걸어 강을 거스르는 사이 잔뜩 실어온 코코넛을 잘라 목을 축이게 해주었다. 밋밋하지만 타는 갈증에는 더없이 훌륭한 자연의 선물이다. 다 먹은 코코넛은 반을 갈라 과육을 파먹었다. 고소한 코코넛의 향이 입안에 가득하다.


메콩 델타에 사는 이에게 코코넛은 생명의 나무라 해도 과언이 아닐 테다. 뜨거운 햇볕에 타는 갈증을 잠재우고 배를 채워주는 과육을 줄 뿐 아니라 껍질을 가공해 살림살이까지 장만하니 말이다. 말 그대로 버릴 게 하나도 없다. 잠시 들른 코코넛 가공 공장에서 코코넛 하나로 얼마나 많은 생산품을 만들어내는지 확인할 수 있다. 자르고 다듬고 꼬아서 만든 온갖 종류의 물건이 거기에 있었다. 과육으로 만든 과자에 커피 가루를 묻혀 낸 것은 자꾸만 손이 가는 주전부리다. 누군가 이곳 주민에게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면 그들은 아마도 ‘코코넛’이라고 답하지 않을까.


JTG 08-03.jpg


메콩 델타 투어는 걷다가 오토바이를 타고 달리다가 다시 작은 배를 타고 강의 본류로 나아가는 식이다. 물길 사이로 난 수로를 따라 걷는 동안 흙을 쌓아 다진 보 여기저기에 난 구멍이 눈에 들어왔다. “저게 뭐예요?” “뱀굴이요.” 일행을 이끌던 가이드가 눙치며 웃는다. 실상은 게 구멍이다. 저렇게 뱀이 많으면 이곳에 사람이 살 수 있을 리가 없다. 메콩이 얼마나 건강한 생태를 가졌는지는 저 많은 게 구멍으로 충분히 알 것 같았다. 실제로 이곳 주민은 게 요리도 즐겨 먹는다고 했다.


길 저쪽에는 아이들과 강아지들이 한가로운 표정을 짓고 있었다. 저 멀리 더위에 민소매를 입고 나온 할아버지에게서도 지루한 오후의 햇살이 묻어 있다. 이 지역에서 생산해내는 특산물만으로도 꽤 살 만한 모양인지 구석구석 자리를 잡은 집들은 꽤 그럴듯한 풍채다. 이 지역의 풍요로운 환경이 그들에게 얼마나 큰 혜택을 주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풍경이다. 메콩 델타에서 진정 보고 싶은 것은 이곳 주민들의 삶, 그 내밀한 안쪽이었던 터다. 메콩 델타를 헤매고 다닌 서너 시간 동안 그들이 살아가는 모습이 무척 흥미롭게 다가왔다.



담백하고 고소한 메콩 델타의 맛


아침 일찍 호찌민을 떠난 여행은 강의 본류로 돌아오니 어느덧 늦은 오후의 시간으로 접어들고 있었다. 서둘러 이곳저곳을 둘러보느라 점심마저 미루고 낯선 풍경을 눈으로 주워 담은 터였다. 여행의 끝이 보일 무렵부터 배가 고파왔다. 곁에서 배꼽시계의 소리를 들었는지 현지 가이드가 웃으며 말한다. 맛있는 걸 먹으러 가자고.


처음 탔던 그 배를 타고 거대한 메콩강을 가로질렀다. 물가에 띄워진 배 모양의 식당이 보였다. 한눈에도 상당히 규모 있는 식당이다. 유람선처럼 생긴 식당에 자리를 잡고 앉으니 가벼운 음식부터 차례로 나오기 시작했다. 콩풍 (Con Phung)이라는 현지의 지역 요리다. 메콩강에 기대어 살아가는 지역답게 대부분의 식자재는 메콩강에서 잡아 올린 것이었다. 커다란 잉어를 비늘째 튀겨 나오는 요리에 잠시 놀라기도 했지만, 비늘까지 바삭하게 씹히는 치감이 매우 재밌다.


독특한 점이라면 음식마다 중국의 영향을 받은 듯한 흔적이 엿보인다는 것. 기름을 끼얹어 비늘을 세워 튀겨내는 기법이나 살짝 볶아낸 채소 요리처럼 기름을 많이 사용한 음식은 영락없이 중국 요리를 닮았다. 아무래도 중국의 영향을 적잖게 받아야 했던 역사를 가진 베트남이기에 일견 당연할 수 있는 장면이다. 그러나 메콩강 하류에서도 중국의 문화적 영향을 마주하게 될 줄은 몰랐다. 물론 베트남 북부에 비하면 이곳은 지역색이 아주 잘 살아 있는 편이다. 식자재 원래의 맛을 살려 담백하게 조리해낸 음식들이 입에 착착 달라붙는다.


JTG 08-04.jpg


여러 종류의 요리가 서브되고 식사가 나와야 하는 타이밍, 이곳의 주방은 다시 한번 외지인을 놀라게 했다. 누룽지를 축구공처럼 만들어 내왔다. 공갈빵처럼 안이 비어 있어 칼집을 내서 잘라 먹으면 된다. 고소한 누룽지 특유의 맛이 밥맛을 돋운다. 무엇보다 일행의 입을 사로잡았던 건 코코넛밥이었다. 코코넛 물로 밥을 짓고 동그란 껍질 안에 담아서 나온다. 한 술 입에 넣고 씹으면 씹을수록 코코넛 향이 몽실몽실 피어오르는 게 재밌다. 여기에 민물새우는 찰떡궁합이다. 새우를 올려 밥을 떠먹으면 새우 특유의 달큼한 맛 뒤로 코코넛의 향이 완벽하게 하모니를 이룬다. 더 이상 바랄 게 없을 만큼 아주 만족스러운 한 끼다. 메콩강이 준 선물, 새우와 코코넛, 쌀이 어우러진 최고의 선물이다.


JTG 08-05.jpg



JTG 08-title-01.jpg


코코스야자의 열매를 말한다. 연한 녹색을 띤 열대 과일인데 즙이 많아 더운 열대 지방의 갈증을 해소해 줄 음료로 그만이다. 열매 안쪽에는 젤리와 같은 촉감의 하얀 과육이 자리하고 있다. 단맛과 고소한 맛이 나 그대로 먹거나 기름을 짠다. 코코넛은 다 익으면 갈색이 되고 과육도 단단해진다. 코코넛의 오일은 90%가 포화지방산이라 실온에 오래 방치해도 잘 산패하지 않는다. 열에도 안정적이어서 조리 시 트랜스지방으로 변할 가능성이 낮다. 또한 대부분 중쇄지방산으로 구성돼 있어서 다른 지방처럼 담즙에 의해 특수한 형태로 변형되어 흡수하는 과정 없이 바로 흡수할 수 있다. 흡수 이후에도 쉽게 에너지로 변환된다. 당분이 아니어서 혈당을 높이지도 않고 살이 찌게 하는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지도 않아서 다이어트에 아주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