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적 본초 읽기

2000년 전부터 약용으로 쓰인 본초에 대한 연구는 역사 속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는 광물 등을 포함해 약 1만개 정도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대본초의 연구는 현대과학과 한의학을 결합해 본초의 전통적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새로운 조합과 사용법 등에 관한 연구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현대본초의 지식은 전통한의학과 만나,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현 사랑채움한의원 원장
- 대한한의진단학회 회원
- 민족의학신문 명예기자 (2012.07-2013.07)
-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우수 IP (2013.05-2018.04)

공병희
공병희

본초에 대한 지식은 오래전부터 꾸준히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과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과거와는 다른 형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칼럼을 통해 현대본초라는 이름으로 본초의 현대과학적 연구, 새로운 제형, 배오 등에 관한 지식을 전하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청풍등(Sinomenium acutum Rehder et Wilson)

 

GBH29-01.jpg


청풍등 (방기)는 방기과 (새모래덩굴과; Menispermaceae) 방기속 (genus sinomenium)에 속한 방기 (Sinomenium acutum Rehder et Wilson)의 덩굴성줄기 및 뿌리줄기를 말한다. 중국에서는 Sinomenium acutum을 청풍등으로 부르며, 방기는 분방기 (Stephania tetrandra S. Moore)를 말한다.


청풍등 (방기)는 방기류의 식물 중 하나인데, 방기로 이름 붙은 식물에는 분방기 (Stephania tetrandra S. Moore), 광방기 (Aristolochia fangchi  Wu), 한중방기 (Aristolochia heterophylla Hemsl.), 목방기 (Coculus trilbus DC.) 등이 있다. 이 중 광방기와 한중방기는 쥐방울덩굴과로 사용이 불가하고, 복용했을 때 신장손상, 발암 등의 중대한 부작용이 있다.


전통적 사용


방기는 <신농본초경 中品>에 수록되어 있으며, 신경통, 류마티스 관절염 등에 사용되었다. Zhao XX 등 (2012)의 정리에 따르면, 청풍등의 첫 기록은 <본초강목>이다 [1].


성분


청풍등은 알칼로이드, 스테롤, 지질 및 기타 성분들을 함유한다 [1]. 청풍등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 성분은 sinomenine으로 [2] 방기과 천금등속 원협천금등 (Stephania rotunda Lour)에도 함유되어 있다 [3].


sinomenine은 isoquinoline-type alkaloid이며 항관절염증 [4,5], 진통 [6], 항천식 [7] 등의 약리작용이 있다. 구조적으로 몰핀과 유사하고, 짧은 반감기, 낮은 효과 (low efficacy) 등의 한계때문에 중국 등에서 sinomenine 유도체를 합성하려는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8-10].


방기류 중 분방기에서 주로 얻을 수 있는 tetrandrine 성분은 칼륨 채널 억제제로 작용하며, 규소폐증 (silicosis), 고혈압, 염증, 폐암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11].


약리작용


1. 진통 작용


2. 면역계에 대한 작용
 1) mononuclear cells에 대한 효과
 2) T cells에 대한 효과
 3) dendritic cells에 대한 효과
 4) 사이토카인에 대한 효과


3. 심혈관계에 대한 작용
 1) 고혈압 감압 (decompression)에 대한 효과
 2) 부정맥 (arrhythmia)에 대한 효과
 3) 항신생혈관생성 효과


4. 신경계에 대한 작용
 1) CNS에 대한 효과
 2) 신경전달물질 (neurotransmitter)에 대한 효과


5. 관절, 연골에 대한 작용
 

GBH29-02.jpg


1. 진통 작용
청풍등은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관절 통증에 자주 사용되던 약물이며, 몇몇 실험연구들이 이러한 사용을 지지한다. sinomenine의 통각 억제 (진통) 작용에 대한 몇몇 기전연구가 보고되었는데 Wang MH 등 (2008)의 연구는 sinomenine이 opioid μ 수용체에 작용하며, naloxonazine에 의해 효과가 길항되었다고 보고했다 [12]. 그러나 Gao T 등 (2013)의 연구에서 sinomenine이 진통 작용을 보였으나, naloxone에 의해 길항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in vivo, rodent, hot plate, tail flick test) [13]. Zhu Q 등 (2014)은 만성 압박 손상 (chronic constriction injury , CCI)에서 sinomenine이 좌골신경의 기계적 통각과민을 역전시켰으며, 이는 GABAa 매개 기전으로 시사된다고 보고했다 (in vivo, rats) [14].


2. 면역계에 대한 작용
sinomenine은 PBMC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의 IL-1β, IL-8의 발현을 하향 조절하며, LPS 자극 human monocytes의 PGE2 생성을 감소시켰다. 또한 CD4+ T cell의 증식을 억제하고, INF-γ, TNF-α의 농도를 하향 조절했다 [1]. Feng H 등 (2006)은 sinomenine이 관절염 mice 모델에서 Th1과 Th2 면역반응을 모두 억제했다고 보고했다 [15].
 
sinomenine은 가장 강력한 항원 제공 세포이며 면역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수지상 세포 (dendritic cells, DC)의 성숙을 방지하고 항원 제공 활성을 억제하며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면역을 조절한다. in vitro 연구에서 sinomenine은 용량의존적으로 DC에 의해 분비되는 IL-12의 레벨을 억제했다 [1].


Yamasaki H (1976)는 sinomenine이 히스타민을 분비하게 하며, 방출된 히스타민에 의해 혈관 이완, 혈관 투과성 증가, 림프 순환 가속, 위산 분비 등의 약리작용이 발휘된다고 보고했다 [2]. Mo ZX 등 (2006)이 마우스를 대상으로 한 몰핀 유도 조건성 위치 선호 실험 (conditioned place preference, CPP)은 뇌의 히스타민 (histamine) 레벨 증가와 관련이 있다. sinomenine은 몰핀 유도 CPP 습득을 억제하고, 몰핀의존 마우스의 중추신경계 (CNS) 히스타민 레벨을 조절한다 [21]. 반면에 Kim HM 등 (2000)의 연구에서는 청풍등 전처리로 혈장 히스타민 농도가 감소되었다고 보고했다 (in vivo, systemic anaphylactic reaction induced by compound 48/80, mice) [16].


3. 심혈관계에 대한 작용
sinomenine은 항협심증 효과를 보고한다. 또한 rats, dogs, cats 등의 다양한 동물모델에서 혈압을 낮추는 효과를 보였다. sinomenine은 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의 증식을 억제한다. 이러한 작용은 내피의 Ca2+ 통로 및 PK-C 활성의 억제 그리고 NO의 활성과 PGI2 합성의 기전으로 예상된다. 또한 ATP-sensitive K+ 통로의 열림으로 인한 Ca2+의 감소와 연관된다 [1].


sinomenine은 농도의존적으로 INa 및 ICa-L을 차단하고, 비활성 상태에서 INa를 억제하여 항부정맥 효과를 가진다 [1].


혈관신생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주요 병리의 하나인데, sinomenine은 bFGF 유도 혈관신생을 억제한다 (in vitro, in vivo) [17].
 
4. 신경계에 대한 작용
sinomenine은 몰핀-금단 증상 동물모델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고한다. 또한 항불안 유사작용을 보이는데 물핀의존 rats의 불안을 완화시켰다고 보고한다 [1].


5. 관절, 연골에 대한 작용
Ju XD 등 (2010)은 sinomenine이 관절 퇴행, 세포사멸을 억제해 관절을 보호할 것으로 기전이 예상되는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 [18].


임상적용


청풍등은 전통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사구체 질환, 부정맥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는 다발성경화증, 헤로인 중독 등의 치료에 가능성으로 연구된다 [1].


독성 평가/사용상 주의


청풍등은 독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된다. 일본에서 청풍등을 복용한 후 가려움과 홍반이 생긴 41세 여성 알레르기 환자 케이스가 보고되었다 [19]. 또한 중국의 한 통계에 따르면, sinomenine가 발진을 유발하는 부작용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20].


참고문헌


[1] Zhao XX, Peng C, Zhang H, Qin LP. Sinomenium acutum: a review of chemistry, pharmacology, pharmacokinetics, and clinical use. Pharm Biol. 2012 Aug;50(8):1053-61. doi: 10.3109/13880209.2012.656847.


[2] Yamasaki H. Pharmacology of sinomenine, an anti-rheumatic alkaloid from Sinomenium acutum. Acta Med Okayama. 1976 Feb;30(1):1-20.


[3] Desgrouas C, Taudon N, Bun SS, Baghdikian B, Bory S, Parzy D, Ollivier E. Ethnobotany,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Stephania rotunda Lour. J Ethnopharmacol. 2014 Jul 3;154(3):537-63. doi: 10.1016/j.jep.2014.04.024.


[4] Liu L, Buchner E, Beitze D, Schmidt-Weber CB, Kaever V, Emmrich F, Kinne RW. Amelioration of rat experimental arthritides by treatment with the alkaloid sinomenine. Int J Immunopharmacol. 1996 Oct;18(10):529-43.


[5] Lan Z, Wei M, Chen L, Xie G, Liu X, Zhang X. Role of Sinomenine on Complete Freund's Adjuvant-Induced Arthritis in Rats. IUBMB Life. 2016 Jun;68(6):429-35. doi: 10.1002/iub.1499.


[6] Zhu Q, Sun Y, Mao L, Liu C, Jiang B, Zhang W, Li JX. Antinociceptive effects of sinomenine in a rat model of postoperative pain. Br J Pharmacol. 2016 May;173(10):1693-702. doi: 10.1111/bph.13470.


[7] Bao HR, Liu XJ, Li YL, Men X, Zeng XL. Sinomenine attenuates airway inflammation and remodeling in a mouse model of asthma. Mol Med Rep. 2016 Mar;13(3):2415-22. doi: 10.3892/mmr.2016.4816.


[8] Ye XR, Yan KX, Wu KM, Feng XZ, Huang YM, Qiu P. Synthesis and anti-inflammatory analgesic activities of sinomenine derivatives. Yao Xue Xue Bao. 2004 Mar;39(3):180-3.


[9] Zhao Z, Xiao J, Wang J, Dong W, Peng Z, An 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ovel sinomenine derivatives. Int Immunopharmacol. 2015 Dec;29(2):354-60. doi: 10.1016/j.intimp.2015.10.030.


[10] Tang J, Raza A, Chen J, Xu H. A Systematic Review on the Sinomenine Derivatives. Mini Rev Med Chem. 2018;18(11):906-17. doi: 10.2174/1389557517666171123212557.


[11] Bhagya N, Chandrashekar KR. Tetrandrine--A molecule of wide bioactivity. Phytochemistry. 2016 May;125:5-13. doi: 10.1016/j.phytochem.2016.02.005.


[12] Wang MH, Chang CK, Cheng JH, Wu HT, Li YX, Cheng JT. Activation of opioid mu-receptor by sinomenine in cell and mice. Neurosci Lett. 2008 Oct 10;443(3):209-12. doi: 10.1016/j.neulet.2008.07.088.


[13] Gao T, Hao J, Wiesenfeld-Hallin Z, Wang DQ, Xu XJ. Analgesic effect of sinomenine in rodents after inflammation and nerve injury. Eur J Pharmacol. 2013 Dec 5;721(1-3):5-11. doi: 10.1016/j.ejphar.2013.09.062.


[14] Zhu Q, Sun Y, Zhu J, Fang T, Zhang W, Li JX. Antinociceptive effects of sinomenine in a rat model of neuropathic pain. Sci Rep. 2014 Dec 1;4:7270. doi: 10.1038/srep07270.


[15] Feng H, Yamaki K, Takano H, Inoue K, Yanagisawa R, Yoshino S. Suppression of Th1 and Th2 immune responses in mice by Sinomenine, an alkaloid extracted from the chinese medicinal plant Sinomenium acutum. Planta Med. 2006 Dec;72(15):1383-8.


[16] Kim HM, Moon PD, Chae HJ, Kim HR, Chung JG, Kim JJ, Lee EJ. The stem of sinomenium acutum inhibits mast cell-mediated anaphylactic reactions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from rat peritoneal mast cells. J Ethnopharmacol. 2000 May;70(2):135-41.


[17] Kok TW, Yue PY, Mak NK, Fan TP, Liu L, Wong RN. The anti-angiogenic effect of sinomenine. Angiogenesis. 2005;8(1):3-12.


[18] Ju XD, Deng M, Ao YF, Yu CL, Wang JQ, Yu JK, Cui GQ, Hu YL. Protective effect of sinomenine on cartilage degradation and chondrocytes apoptosis. Yakugaku Zasshi. 2010 Aug;130(8):1053-60.


[19] Okuda T, Umezawa Y, Ichikawa M, Hirata M, Oh-i T, Koga M. A case of drug eruption caused by the crude drug Boi (Sinomenium stem/Sinomeni caulis et Rhizoma. J Dermatol. 1995 Oct;22(10):795-800.


[20] Jiang L, Zhao N, Ni L. Retrospective study of adverse events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treated with second-line drugs. Zhonghua Liu Xing Bing Xue Za Zhi. 2002 Jun;23(3):213-7.


[21] Mo ZX, An SL, Zhou JY. Effects of Caulis Sinomenii and sinomenine on morphine-induced place preference and brain histamine level in mice. Nan Fang Yi Ke Da Xue Xue Bao. 2006 Dec;26(12):1709-13.



© 공병희 원장의 현대적 본초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