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재 교수의 한국의 건강문화

나의 전공은 한의학 중에서도 예방 한의학이다.

옛날 사람들의 건강법.
의료 이전에 불로장생, 무병장수를 꿈꾸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에서 비롯된 건강문화-양생.
최첨단 의료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는 오늘날이지만 현대인들에게 옛날 사람들이 수천 년 동안 끊임없는 몸 관찰을 통해 알아낸 ‘몸에 대한 이야기’와 이를 바탕으로 한 ‘몸을 위로하는 방법’이 더더욱 절실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확신으로 바뀌고 있다.

내가 운영하는 건강문화연구센터에서는 우리의 전통문화 속에 내재된 건강지향적 요소를 발굴하고 콘텐츠화하여 보급하는 일을 한다. 사실 티테라피도 우리의 전통 다도(茶道), 다례(茶禮) 문화와 몸에 좋은 것을 끓여 마시는 우리의 주전자 문화를 현대적으로 만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철 식재료를 이용한 한국식 약선을 재정리하고 있으며 우리 조상들의 풍류 사상과 조선의 유학자들이 평생을 바쳐 몰두한 수양법 등을 재해석해서 현대인들을 위한 스트레스 케어법으로 만드는 시도를 하고 있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박사학위 취득 (한의학)

[경력]
- 현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교수
- 현 건강문화연구소 소장
- 전 티테라피(카페+한의원+건강문화교실) 대표이사

[저서]
- 2011 『한의사의 다방』

이상재
이상재

최첨단 의료기술이 발전해가고 있지만, 현대인들에게는 선조들의 끊임없는 관찰로 알아낸 방법을 통해 몸을 위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제가 운영하는 건강문화연구센터에서는 한국전통문화에 내재된 건강지향적 요소를 발굴하고 콘텐츠화하여 보급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여름 탄다....

 
LSJ05-01.jpg

 


    여자는 봄을 타고, 남자는 가을을 탄다


    봄을 탄다거나 가을을 탄다는 것은 뭔가 운치 있어 보인다.


    그런데 여름 탄다는 말은 왠지 힘들어 보이는 느낌이다. 땀도 뻘뻘 나면서 벌겋게 상기되고, 이글이글 타오르는 아스팔트처럼 눈앞이 어른어른 거리는 어지러움과 헉헉거리는 모습이 연상된다. 이러한 여름탐과 연관된 우리 몸의 증상은 땀과 복통, 설사 등의 속병이다. 날씨가 더우니 자연 땀이 많이 나게 되고 땀을 흘린다는 것을 기가 빠져 나간다고 인식하는 것이 우리 전통 문화개념이다. 그래서 복날 보양식을 먹는 문화가 있다. 


    여름철 속병이 많은 것은 얼음물이나 찬 음식을 너무 과다하게 섭취하는 이유가 크다. 또 여름에 피부는 뜨거워지지만 속은 냉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하고, 잘 때 배를 덮고 자지 않아서 속이 냉해지기 쉽다고 말하기도 한다. 속이 냉한데 찬 음식을 먹으니 배가 아프거나 설사를 하기도 하는 것이다.


    이처럼 여름을 타는 원인은 땀을 많이 흘려서 체력을 소모하거나 속이 차지고 식욕이 없어지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입맛이 없다고 라면이나 냉면 등과 같은 간단한 식사로 매 끼니를 해결하면 영양 부족을 일으키기 쉽다. 특히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철에는 비타민이나 미네랄의 소모가 많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보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를 위해 신선한 야채나 과일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다.


    한의학에서는 신맛은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주는 수렴 작용이 있다고 여겼다. 그래서 매실의 신맛은 설사를 멎게 해 주고, 산수유의 신맛은 소변이나 정액이 새는 것을 막아 주고, 오미자의 신맛은 땀이 줄줄 흐르는 것을 막아준다고 본다. 또한 단맛은 피로를 회복시켜주는 작용이 있다고 보기 때문에 이 두 가지 맛을 가진 음식 섭취를 늘리는 것이 도움이 된다. 예를 들면 매실청이나 오미자청은 여름철 훌륭한 건강음료가 된다. 소화를 도울 뿐 아니라 식욕도 생기게 하며, 지나치게 땀을 많이 흘리는 것을 막아주기도 한다.


    땀을 많이 흘릴 때 황기를 먹으면 좋다는 말을 많이 들었을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민간요법을 통해 한약에 대한 다양한 문화적 개념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도 꽤 인식이 높은 듯하다. 그중에는 옳은 것도 있지만 잘못된 방법들을 제시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먼저 땀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땀을 흘리는 것이 좋은가? 아닌가? 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데 한의학적 측면에서는 땀을 흘리고 난 후의 느낌을 중시한다. 만약에 땀을 흘리고 나서 개운하고 몸이 가벼워짐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평소에 땀을 좀 흘리는 것이 좋은 경우다. 이 타입의 사람들은 몸에 열이 많기 때문에 땀이 잘 나는 일이 건강의 징표가 되기도 한다. 오히려 시간 부족이나 게으름으로 땀을 내지 않으면 몸이 더 무겁고 피곤해지기도 한다. 홍삼을 찾을 것이 아니라 땀을 흘리는 것만으로도 어느 정도 피로감이 해결될 것이다. 


    반면 평소에 땀이 별로 없는 편인데 어쩌다 땀이 나고 난 다음 더 피곤하고 어지럼증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땀이 과했거나 땀을 흘리지 않는 편이 좋은 경우다. 이와 같은 경우에 속하는 사람들은 평소 소화기능도 약하면서 마른 타입이 많다. 이런 타입이 별 이유 없이 땀이 삐질삐질 난다는 것은 몸에 밸런스가 깨졌다는 신호가 되기도 한다. 좀 과장되게 얘기하면 몸에 에너지가 떨어져서 땀구멍을 닫을 힘조차 부족해 땀이 나는 것이다. 바로 이 경우에 황기의 기를 올리고 체표를 튼튼히 하는 작용이 땀을 멎게 할 수 있다. 산후에 땀이 많아지는 것도 출산에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 나머지 땀구멍 닫을 힘도 없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처럼 날씨가 덥다거나 가벼운 운동에도 땀이 잘 나고, 평소 사우나를 즐기기도 하며 골격이 굵거나 살찐 타입의 사람에게는 황기가 맞지 않는다. 이 경우 여름에 너무 땀을 많이 흘려 걱정이 된다면 오히려 오미자나 칡을 시원하게 마시는 것이 더 낫다.


    LSJ05-02.jpg


    여름철 전통 찻집의 단골 메뉴로 사랑받는 오미자차. 

    새콤달콤한 오미자는 시원하게 마셔야 제맛이다. 오미자는 끓이는 것보다 찬물에 우리면 더 맛있다.


    1. 생수 1L에 오미자 50g을 씻어서 넣는다
    2. 12시간 정도(24시간까지도 가능하다)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3. 빨갛게 우러나면 올리고당을 넣어 달게 만든다.
    4. 냉장고에 넣어두고 시원하게 마시면 된다.



ⓒ 이상재 교수의 한국의 건강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