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적 본초 읽기

2000년 전부터 약용으로 쓰인 본초에 대한 연구는 역사 속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는 광물 등을 포함해 약 1만개 정도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대본초의 연구는 현대과학과 한의학을 결합해 본초의 전통적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새로운 조합과 사용법 등에 관한 연구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현대본초의 지식은 전통한의학과 만나,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현 사랑채움한의원 원장
- 대한한의진단학회 회원
- 민족의학신문 명예기자 (2012.07-2013.07)
-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우수 IP (2013.05-2018.04)

공병희
공병희

본초에 대한 지식은 오래전부터 꾸준히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과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과거와는 다른 형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칼럼을 통해 현대본초라는 이름으로 본초의 현대과학적 연구, 새로운 제형, 배오 등에 관한 지식을 전하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반지련(Scutellaria barbata D. Don)

 

GBH0034-main.jpg



반지련 (半枝蓮)은 꿀풀과 (순형과) 골무꽃속 (genus Scutellaria)에 속하는 식물 Scutellaria barbata D. Don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골무꽃속은 약 350종의 식물로 구성되며, 이중 황금과 반지련이 잘 알려진 약용식물이다 [1].


전통 및 현대적 사용


반지련은 중의학 (한의학)에서 ‘청열해독’의 성질로 알려져 있으며, 400년 이상 사용되었다. 반지련은 <외과정종> (1617)에서 뱀에 물린 것을 치료하는 데 처음 수록했다. <중국약전> (2015 edition)에 따르면, 반지련은 다양한 염증 (간염, 충수염, 인두염, 요도염), 인후통, 외상성 손상, 부종, 황달 등에 사용된다. <중약대사전>에 따르면, 최근 반지련은 다양한 암 치료에 처방 조합으로 사용된다 [2]. 이에 상응하듯 반지련의 연구는 암 치료에 집중되어 있다.


성분


1. Neo-clerodane diterpenoids
2. Flavonoids
3. Triterpene
4. Phenylpropanoid and lignan
5. Polysaccharides
6. Essential oils
7. 기타


반지련이 포함된 골무꽃속의 화합물 연구는 1889년부터 수행되었다. 1910년 베트남의 Goldschmiedt과 Lerner는 Scutellaria altissima에서 첫 번째 플라보노이드인 Scutellarein을 분리했다 [1]. 이후 최근까지 반지련에서만 203개 성분이 분리되었다 [2].


Neo-clerodane diterpenoid는 골무꽃속의 가장 중요한 성분의 하나로, 반지련의 대표 성분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반지련에서 127개 성분이 분리되었다. 이 성분은 항암, 항염증,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진다. 또한 반지련에서 50여 개의 Flavonoids가 분리되었으며, 플라보노이드 역시 반지련의 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플라보노이드는 반지련 질 조절의 지표로 사용된다. 반지련의 플라보노이드는 항암, 해독 등의 활성을 가진다 [2]. 


약리작용


1. 항암 작용
2. 항염증 및 항균 작용
3. 항보체 활성
4. 항산화 작용
5. 기타


1. 항암 작용


반지련은 최근 다양한 암 치료에 사용된다. 몇몇 연구에서 반지련의 항암 작용의 기전이 1) PI3K/AKT/mTOR pathway의 경로 [4,5],  2)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의 활성 억제 [6], 3) AKT 억제 작용 [7,15,24], 4) 항혈관형성 [8,23], 5) 항전이 [9,11,22] 활성을 나타냈다.


1) 난소암


Suh SJ 등은 in vitro 항암 작용을 평가했으며, 반지련은 HeLa cell, human ovary cancer와 같은 부인과 암 세포 성장을 억제했다 [10]. Zhang L 등은 A2780 난소암 세포를 사용하여, 반지련의 항암 작용을 연구했다. 반지련은 Bcl2 단백을 하향 조절하고, caspase 3/7 단백을 증가시켜 암 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했다. 특히 세포의 이주가 억제되었는데, 이는 MMP2/9의 억제와 연관되었다 [11].


2) 대장암


① HT29 세포
Wei L 등은 HT29 대장암 세포를 사용하여, 반지련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를 평가했다. 추출물은 G1/S 세포 주기 단계를 저지하여 HT29 세포 증식을 억제했다 [12]. Jiang Q 등은 반지련 에탄올 추출물이 IL-6/STAT3 신호전달 경로와 유전자를 조절하여, HT29 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증식을 억제한다고 보고했다 [13]. Wei LH 등은 HT29 세포를 이식한 mouse model을 사용한 in vivo 연구를 수행했다. 추출물은 종양 무게를 감소시켰으며, 관련 기전으로 Wnt/β-catenin 경로의 활성 억제가 시사되었다 [6]. Sun P 등은 HT29 세포에 반지련 수용성 다당류를 처치했으며, 반지련 다당류 역시 HT29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촉진했다. 연구에서는 관련된 반지련의 기전으로 PI3K/AKT 경로 억제를 언급했다 [14].


② HCT-8 세포

Jin Y 등의 연구에서 반지련 추출물은 HCT8의 생존력 (viability)을 감소시키고, 이주 및 침윤을 완화했다. 이는 PI3K/AKT와 TGF-β/Smad 신호전달 경로의 억제와 연관되었다 [15].


③ HCT-116 세포

반지련에서 분리한 barbatin F, barbatin G 성분은 HCT-116 세포에 약한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각각 IC50 value of 44.3, 32.3 μM) [16]. Yang N 등은 반지련의 플라보노이드인, Scutellarin의 항암 작용을 평가했다. Scutellarin는 용량 및 시간의존적으로 HCT116 세포의 생존력을 감소시켰으며, 세포사멸을 유도했다. Scutellarin에 의해 Bcl2 표현이 감소되고, Bax 표현과 caspase3 활성이 증가되었다. 특히 Scutellarin에 의해 p53 단백의 인산화가 증가되었으며, 반대로 p53 억제제 (pifithrin-α)의 처치는 Scutellarin의 세포사멸 유도를 상쇄했다 [17]. Guo F 등 또한 HCT116을 사용하여 Scutellarein의 효과를 연구했다. Scutellarein는 HCT116의 세포사멸을 유도했으며, 이는 ROS 매개 미토콘드리아 의존 경로로 시작됨이 시사되었다 [18].


④ SW620 세포
Zhang L 등의 연구에서 반지련 클로로포름 (Chloroform) 분획은 SW620 세포의 성장을 억제했다 [19].


⑤ LoVo 세포
반지련 추출물은 LoVo 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했다 [20]. 이후 Wang M 등은 반지련의 16개 neo-clerodane diterpenoids 성분의 세포독성을 평가했으며, 이중 LoVo 세포에 대한 선택적 세포독성이 가장 높았다. 특히 Scutebata A 성분이 유의한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LoVo 이외에도 MCF7, SMMC-7721, HCT116에도 세포독성을 보였다) [21].


⑥ 이외에도 반지련 수용성 다당류의 항전이 활성 [22] 및 CRC mice에서 종양 크기를 줄이고, 혈관형성을 억제함을 보고한다 [23].


3) 식도암


Liu F 등의 연구에서 반지련은 AKT1/2에 작용하며, 식도 편평 세포암에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24].


4) 췌장암


Wang L 등은 PANC-1 (췌장암 세포)에 대한, 반지련 nanoparticles의 항암 작용을 보고했다 [3].


5) 간암


① QGY-7701
반지련 추출물은 QGY-7701의 증식을 억제하며, 이는 세포사멸 유도, Bcl2 활성, G0/G1의 감소, G2/M의 증가와 연관되었다 [25].


② Hep-G2
반지련 추출물은 Hep-G2의 증식을 시간,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했다 [26]. Tang PM 등은 반지련의 활성 성분인 Pheophorbide (Pa)의 항증식 활성을 연구했다 (in vitro, R-HepG2). 연구에 따르면, 48시간의 Pa 처치는 R-HepG2 세포의 성장을 유의하게 억제했다 [27]. Kan X 등은 H22-bearing mice (in vivo), HepG2 (in vitro)에서 반지련 추출물의 효과를 연구했다. 반지련  추출물은 이들 세포의 증식을 억제했으며, 반지련의 작용 기전이 Treg 세포의 하향 조절 및 Th1/Th17 면역경로의 조절과 연관됨을 시사했다 [28].


③ Hep3B
반지련의 활성 성분 pheophorbide을 사용한 연구에서, pheophorbide 성분이 Hep3B 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반면에 정상 사람 간 세포인 WRL-68에 비독성임을 발견했다 [29].


④ MHCC97H cell
반지련은 용량의존적으로 MHCC97H 세포의 증식과 침습을 억제했다. 반지련 처치 후 MMP2, MMP9 단백 및 mRNA 발현이 감소했으며, TIMP-1, 2 발현은 증가되었다 [30].


⑤ H22 cells
Dai ZJ 등은 H22 세포를 사용하여, 반지련 추출물의 효과를 연구했다 (in vitro). 반지련 추출물은 용량, 시간의존적으로 H22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유도했다 [31]. 후속 연구에서 mitochondrial transmembrane potential (MTP)에 대한 작용을 평가했다. 반지련 추출물의 세포사멸 활성은 MTP 감소와 연관되었다 [32]. Dai ZJ 등은 추가 연구에서 반지련 추출물은 미토콘드드리아 막전위를 감소시키고,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C를 cytosol로 방출하며, caspase 3 활성을 야기했다 [33]. 또한 H22를 사용한 in vivo 동물모델 (mice)에서 반지련 추출물은 종양의 성장을 억제했다 [34,35].


⑥ 기타
DENA (diethylnitrosamine)로 야기한 rat 간 종양 형성 모델에서 반지련은 결절의 수를 감소시켰다. 또한 MDA 함량을 감소시키고, SOD를 증가시켰다. 이는 반지련 추출물이 실험적 간 종양 형성을 억제하고, 간 손상을 완화함을 시사한다 [36].


6) 백혈병 세포 (Leukemia cells)


반지련 methylene chloride fraction은 human U937 leukemia cells의 증식을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한다. 그 기전으로 미톤콘드리아 매개 신호전달 경로를 통한, 세포사멸 유도가 시사되었다 [37]. Chronic myeloid leukemia (CML) K562 cell을 사용한 in vitro 연구에서 반지련 추출물은 VEGF mRNA와 연관된 항혈관형성을 통해, K562 세포의 증식을 억제했다 [38]. 또한 반지련은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HL-60 cell의 성장을 농도, 시간의존적으로 억제하며, G1 phase arrest를 야기했다 [39].


7) 폐암


반지련은 폐암 세포를 사용한 연구에서 억제 활성을 보고한다. 반지련 에탄올 추출물은 A549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며, 이때의 주요 기전은 세포사멸과 세포독성이었다 [40]. Wei PY 등의 연구에서 반지련 추출물은 human lung cancer SPC-A-1 cell의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연구에서는 caspase 3 상향 조절과 survivin의 하향 조절이 시사되었다 [41]. Shiau AL 등의 연구는 VEGF 발현 감소와 HIF-1α (Hypoxia-inducible factor-1) 발현 억제를 통한, 항혈관 형성이 폐암에서 반지련의 주요 기전임을 나타냈다 [42]. 이외에도 Lewis-Bearing C57BL/6 Mice (in vivo) [43], CL1-5 lung cancer cells (in vitro, in vivo) [44] 연구에서 종양의 성장을 억제했다.


8) 위암


Shim JH 등은 MKN-45 cells (a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 line)의 성장과 생존에서 반지련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를 연구했다. 반지련 추출물은 MKN-45 세포에 용량의존적인 세포독성을 보였다. 이는 미토콘드리아, caspase, MAPK, ROS 경로와 연관되었다 [45].


9) 전립선암


Male TRansgenic Adenocarcinoma Mouse Prostate (TRAMP) mice을 사용한 in vivo 연구에서, 반지련 처치는 TRAMP mice의 전립선암 진행을 지연시켰다. 연관 기전은 세포사멸 경로의 상향 조절이 시사되었다 [46].


10) 흑색종(melanoma)


Chen M 등은 in vivo Melanoma-bearing mice을 사용하여, 반지련 총 플라보노이드의 효과 및 기전을 연구했다. 연구에 따르면 반지련 플라보노이드는 종양 세포의 세포사멸 및 자가포식 (autophagy)을 유도하여, 흑색종의 성장을 억제했으며 이는 PI3K/AKT/mTOR pathway의 억제와 연관된다 [5]. Shi L 등은 반지련의 성분인 Scutellarein과 Bortezomib 조합 치료의 효과를 평가했다. in vitro에서 이 둘의 조합은 시너지 작용을 나타냈으며, MM xenografted nude mice의 종양 부피를 감소시켰다 [47].


11) 자궁근종


반지련은 자궁근종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im DI 등은 자궁근층에 비해, 자궁근종 세포에 IGF-1 mRNA 및 단백이 더 높이 발현되며, 반지련을 처치할 때 두 세포의 IGF-1이 비슷해짐을 확인했다. 즉 반지련 처치는 자궁근종 세포의 증식과 연관된, IGF-1 발현을 하향 조절한다. 또한 반지련의 플라보노이드의 세포사멸 활성을 평가했는데, apigenin, luteolin이 효과적이었다 [48].


Lee TK 등의 연구 역시 반지련 처치가 자궁근종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유도한다고 나타냈다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C의 분비와 caspase 3-유사 활성의 증가) [49]. Kim KW 등의 연구에서 반지련 처치는 자궁근종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반면, 자궁 노출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조기 배아 손실-유산의 증가가 시사된다.) 정상 세포에 비해, 자궁근종 세포에서 Bcl2 단백이 풍부하며, 이는 프로게스테론의 추가로 더욱 증가되었다. 반면에 반지련의 처치는 Bcl2 단백 발현의 감소를 가져왔다 [50].


12) 항암제와 병행


Dai ZJ 등은 5-fluorouracil (5-FU)과 반지련 병행의 효과를 평가했다. 반지련 병행 시 mice의 체중이 증가되었으며, 식욕부진, 복부팽만 등의 부작용이 완화되었다 [51]. Xu H 등은 in vitro, in vivo 연구를 통해, 저용량의 5-FU와 반지련 조합이 종양 성장을 억제하며, 이러한 작용이 세포사멸 및 5-FU 대사 조절과 연관됨이 시사되었다 [52]. Lin J 등은 5-FU-resistant CRC cell line HCT8/5-FU를 사용하여, 5-FU 내성에 대한 반지련의 효과를 평가했다. 연구는 반지련이 PI3K/AKT 경로를 억제하여, 5-FU 내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4].


Sohn SH 등은 cisplatin-induced nephrotoxicity에서 한약의 보호 작용을 평가했다. 미토코드리아 활성 MTS assay를 사용하여, 239개 한약의 효과를 평가했다. 결과에 따르면, 반지련은 cisplatin 유도 신장 손상에 강한 회복 효과를 나타냈다 [53].


2. 항염증 및 항균 활성


1) 항염증 작용


반지련은 BV2 microglial cells에서 NO 생성을 억제한다 [54]. 또한 반지련 ethanol 및 ethyl acetate 추출물은 LPS로 유도된 NO, PGE2, IL-6, IL-1β의 생성을 억제하며, p-JNK 발현을 억제했다 (in vitro, RAW264.7 세포) [55].
 
2) 항균 활성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 (XDRAB) 감염에 대한 스크리닝에서 반지련이 XDRAB의 활성을 억제했다 (in vitro) [56]. 또한 반지련 전 추출물은 S. aureus에 대한 선택적 독성을 나타낸다 [57].


3) 항바이러스


Wang L 등의 리뷰 연구에 따르면, 연구에서 반지련 총 플라보노이드는 parainfluenza-virus-type 1 (PIV-1) 감염을 억제했다 [2].


3. 항보체 활성


Wu Y 등의 연구는 반지련 정제 다당류가 전통적 경로 및 대안 경로를 통해 보체 활성을 억제했다고 보고했다. 추후 보체 연관 질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58].


4. 항산화


반지련의 몇몇 실험 연구에서 MDA 함량 감소와 SOD, GSH 증가를 보고한다 [59,60].


5. 기타


반지련 전처치는 oxygen glucose deprivation/reperfusion (OGD/R) 손상을 개선하며, PI3K/AKT 의존 경로의 상향 조절이 시사되었다 (in vitro, PC12) [59]. 또한 반지련의 성분인 Scutellarin는 심근 세포의 허혈/재관류 손상에 보호 작용을 시사한다 [60]. 당뇨병성 망막병증에서 반지련 에탄올 추출물은 Blood-retinal barrier (BRB) 손상을 개선했다 (streptozotocin 유도, C57BL/6J mice) [61].


GBH0034-img.jpg


임상연구


1. 조갑주위염


Afatinib (Gilotrif) 처방으로 조갑주위염에 한약을 사용한, 42세 폐암 환자 케이스가 보고된다. 환자는 진인활명산 제제와 반지련, 백화사설초 탕제를 복용했으며, 처방의 복용 후 조갑주위염이 개선되었다 [62].


2. 유방암


Yeh YC 등은 대만 건강보험데이터를 사용해, 2008년에 중의 치료 (TCM)를 받은 환자를 확인했다. 약 7.25%의 환자가 치료를 받았으며, 반지련+백화사설초의 배오가 흔하게 사용되었다 [63].


반지련 수용성 추출물을 사용한 임상연구도 보고된다. 총 21명의 환자가 반지련 추출물 (BZL101)을 처방받았으며, 최종 16명의 환자에서 평가되었다. 4명의 환자는 90일 (25%) 이상 안정병변 (stable disease; SD)였으며, 3명은 180일 (19%) 이상 SD였다. 5명의 환자는 객관적인 종양 감소 (regression)를 보였다 [64]. 이후 2010년의 임상연구에서 BZL101이 안전하며, 복약 순응도가 좋다는 것을 시사했다 [65]. 그러나 Tao G 등에 따르면, 이후의 후속 연구는 추가적인 펀딩 문제로 중단 상태이다 [66].


인터뷰 연구


Tao G 등 난징과 베이징의 중의사 15명을 대상으로 반정형 (semi-structured) 인터뷰를 수행했다. 15명 중 11명의 중의사는 반지련을 암 또는 전 암병변에 가장 많이 사용하며, 진료한 암 환자의 절반 이상에서 반지련을 사용했다고 응답했다. 5번 의사는 해독에 반지련이 흔히 사용되며, 조기 또는 급성의 암은 ‘독’으로 반지련을 사용한다고 말했다. 8번 의사는 심한 열증 (구건, 구고, 적설, 황태)의 환자에 사용했다. 이는 모든 응답자가 동의했다. 또한 그는 모든 암 환자가 동일한 증상을 가지는 게 아니며, 정확한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게만 해당 한약을 사용한다고 말했다. 14번 의사는 암 치료에 반지련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는데, 그는 약한 체력의 암 환자에게 적용되기 어렵다고 생각했으며 식욕부진, 위장 질환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3번 의사는 폐암 환자에게 반지련 사용을 선호했다. 다른 참가자의 경우는 반지련 사용에 선호하는 암 종류는 없었다.


기관지염, 인두염, 기관염과 같은 상부 호흡기 감염에 반지련이 사용되는데, 난징보다는 베이징에서 더 흔히 사용되었다 (p<0.05). 이외에 피부 감염, 요로 감염, 골반 염증성 질환, 간염, 사구체신염, 비급성 충수염, 궤양성 대장염 등의 염증성 질환에 반지련을 사용하고 있었다. 호흡기 질환을 제외하고, 반지련 사용에 난징과 베이징의 차이는 없었다.


몇몇 참가자는 반지련이 이뇨를 유발하여, 부종, 농양 또는 체액 축적을 감소시키는 데 사용한다고 말했다 (2, 6, 7, 8, 10번 의사). 항균 작용은 벌레와 뱀에 물리거나, 상처에 사용되며 (2, 6, 10번 의사),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간경화 및 멍을 개선하는 데 사용하기도 했다 (5, 11번 의사).


암 환자에게 사용되는 반지련의 흔한 사용 범위는 10-30g/d였다. 참가자가 허약하거나, 열성 패턴이 덜하면 적은 용량을 사용한다. 암 치료에서 1번 의사는 50g으로 가장 높은 용량을 사용하고 있었다. 감염 시 사용된 가장 높은 용량은 10-20g이었으며 (2, 5, 6, 12번 의사), 10번 의사는 하부 요로 감염에 최대 30g을 사용했다. 15번 의사 역시 30g 이상을 사용한 보고가 있지만, 그는 부종, 피부 감염에 외용제로 사용했다 [66].


배오


반지련은 백화사설초, 반변련 (Lobelia chinensis), 황약자, 황기, 건강, 황련, 당삼 등과 함께 사용된다 [66].


방광암 치료에서 백화사설초, 반지련의 조합이 흔히 사용되며, 실험연구에서 용량, 시간의존적으로 방광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했다. 기전으로는 miR-155 발현을 감소시키고 Akt 활성을 감소시켜 세포사멸이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67]. 황약자는 갑상선 질환 및 암 치료에 사용되는데, 주요 성분의 하나인 Diosbulbin B (DB)는 간독성을 나타낸다. Niu C 등은 DB 성분에 Scutellarin (반지련의 성분)을 조합하면, 종양 성장은 억제하면서도, 항산화 작용 (MDA 감소, GSH 레벨 증가 등)을 통해 간 손상을 보호한다고 나타냈다 (in vivo S180 tumor-bearing mice). 기존에 사용되는 황약자, 반지련 배오를 지지하는 연구이다 [68].


부작용/독성연구


Wang L 등은 반지련의 연구를 요약한 리뷰에서 PubMed, Science Direct, Elsevier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문헌에서는 독성의 기록을 찾을 수 없었다고 서술했다 [2]. Tao G 등의 인터뷰 연구에 따르면, 몇몇 중의사는 반지련에 의한 설사, 식욕감퇴, 배탈 등의 위장 불편감을 설명했다. 4번 의사는 부작용 감소를 위해 생강차를 추천하기도 했다 [66].
 
반지련 추출물인 BZL 연관 grade 1, 2의 부작용이 빈번하게 보고되었다. 오심 38%, 설사 24%, 두통 19%, 고창 14%, 구토 10%, 변비 10%, 피로 10%가 16명의 환자에게서 반응이 보고되었다 [64].


참고문헌


[1] Shang X, He X, He X, Li M, Zhang R, Fan P, Zhang Q, Jia Z. The genus Scutellaria an ethnopharmacological and phytochemical review. J Ethnopharmacol. 2010 Mar 24;128(2):279-313. doi: 10.1016/j.jep.2010.01.006.


[2] AWang L, Chen W, Li M, Zhang F, Chen K, Chen W. A review of the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quality control of Scutellaria barbata D. Don. J Ethnopharmacol. 2019 Sep 29:112260. doi: 10.1016/j.jep.2019.112260.


[3] Wang L, Xu J, Yan Y, Liu H, Karunakaran T, Li F. Green 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from Scutellaria barbata and its anticancer activity in pancreatic cancer cell (PANC-1). Artif Cells Nanomed Biotechnol. 2019 Dec;47(1):1617-27. doi: 10.1080/21691401.2019.1594862.


[4] Lin J, Feng J, Yang H, Yan Z, Li Q, Wei L, Lai Z, Jin Y, Peng J. Scutellaria barbata D. Don inhibits 5-fluorouracil resistance in colorectal cancer by regulating PI3K/AKT pathway. Oncol Rep. 2017 Oct;38(4):2293-300. doi: 10.3892/or.2017.5892.


[5] Chen M, Wang JT, Wu ZN, Hu MY, Gao HW. [Effect of total flavonoids in Scutellaria barbata in mediating autophagy in tumor cells via PI3K/AKT/mTOR pathway]. Zhongguo Zhong Yao Za Zhi. 2017 Apr;42(7):1358-64. doi: 10.19540/j.cnki.cjcmm.20170222.003.


[6] Wei LH, Lin JM, Chu JF, Chen HW, Li QY, Peng J. Scutellaria barbata D. Don inhibits colorectal cancer growth via suppression of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Chin J Integr Med. 2017 Nov;23(11):858-63. doi: 10.1007/s11655-017-2775-3.


[7] Zhao Z, Holle L, Song W, Wei Y, Wagner TE, Yu X. Antitumor and anti-angiogenic activities of Scutellaria barbata extracts in vitro are partially mediated by inhibition of Akt/protein kinase B. Mol Med Rep. 2012 Mar;5(3):788-92. doi: 10.3892/mmr.2011.694.


[8] Dai ZJ, Lu WF, Gao J, Kang HF, Ma YG, Zhang SQ, Diao Y, Lin S, Wang XJ, Wu WY. Anti-angiogenic effect of the total flavonoids in Scutellaria barbata D. Don.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3 Jul 1;13:150. doi: 10.1186/1472-6882-13-150.


[9] Zheng X, Kang W, Liu H, Guo S. Inhibition effects of total flavonoids from Sculellaria barbata D. Don on human breast carcinoma bone metastasis via downregulating PTHrP pathway. Int J Mol Med. 2018 Jun;41(6):3137-46. doi: 10.3892/ijmm.2018.3515.


[10] Suh SJ, Yoon JW, Lee TK, Jin UH, Kim SL, Kim MS, Kwon DY, Lee YC, Kim CH. Chemoprevention of Scutellaria bardata on human cancer cells and tumorigenesis in skin cancer. Phytother Res. 2007 Feb;21(2):135-41.


[11] Zhang L, Ren B, Zhang J, Liu L, Liu J, Jiang G, Li M, Ding Y, Li W. Anti-tumor effect of Scutellaria barbata D. Don extracts on ovarian cancer and its phytochemicals characterisation. J Ethnopharmacol. 2017 Jul 12;206:184-92. doi: 10.1016/j.jep.2017.05.032.


[12] Wei L, Lin J, Wu G, Xu W, Li H, Hong Z, Peng J. Scutellaria barbata D. Don induces G1/S arrest via modulation of p53 and Akt pathways in human colon carcinoma cells. Oncol Rep. 2013 Apr;29(4):1623-8. doi: 10.3892/or.2013.2250.


[13] Jiang Q, Li Q, Chen H, Shen A, Cai Q, Lin J, Peng J. Scutellaria barbata D. Don inhibits growth and induces apoptosis by suppressing IL-6-inducible STAT3 pathway activation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Exp Ther Med. 2015 Oct;10(4):1602-8.


[14] Sun P, Sun D, Wang X. Effects of Scutellaria barbata polysaccharide on the proliferation, apoptosis and EMT of human colon cancer HT29 Cells. Carbohydr Polym. 2017 Jul 1;167:90-6. doi: 10.1016/j.carbpol.2017.03.022.


[15] Jin Y, Chen W, Yang H, Yan Z, Lai Z, Feng J, Peng J, Lin J. Scutellaria barbata D. Don inhibits migration and invasion of colorectal cancer cells via suppression of PI3K/AKT and TGF-β/Smad signaling pathways. Exp Ther Med. 2017 Dec;14(6):5527-34. doi: 10.3892/etm.2017.5242.


[16] Wang M, Chen Y, Hu P, Ji J, Li X, Chen J. Neoclerodane diterpenoids from Scutellaria barbata with cytotoxic activities. Nat Prod Res. 2018 Nov 19:1-7. doi: 10.1080/14786419.2018.1514399.


[17] Yang N, Zhao Y, Wang Z, Liu Y, Zhang Y. Scutellarin suppresses growth and causes apoptosis of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by regulating the p53 pathway. Mol Med Rep. 2017 Feb;15(2):929-35. doi: 10.3892/mmr.2016.6081.


[18] Guo F, Yang F, Zhu YH. Scutellarein from Scutellaria barbata induces apoptosis of human colon cancer HCT116 cells through the ROS-mediated mitochondria-dependent pathway. Nat Prod Res. 2019 Aug;33(16):2372-5. doi: 10.1080/14786419.2018.1440230.


[19] Zhang L, Cai Q, Lin J, Fang Y, Zhan Y, Shen A, Wei L, Wang L, Peng J. Chloroform fraction of Scutellaria barbata D. Don promotes apoptosis and suppresses proliferation in human colon cancer cells. Mol Med Rep. 2014 Feb;9(2):701-6. doi: 10.3892/mmr.2013.1864.


[20] Goh D, Lee YH, Ong ES. Inhibitory effects of a chemically standardized extract from Scutellaria barbata in human colon cancer cell lines, LoVo. J Agric Food Chem. 2005 Oct 19;53(21):8197-204.


[21] Wang M, Ma C, Chen Y, Li X, Chen J. Cytotoxic Neo-Clerodane Diterpenoids from Scutellaria barbata D.Don. Chem Biodivers. 2019 Feb;16(2):e1800499. doi: 10.1002/cbdv.201800499.


[22] Li H, Su J, Jiang J, Li Y, Gan Z, Ding Y, Li Y, Liu J, Wang S, Ke Y.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 from Scutellaria barbata and its antagonistic effect on the migration and invasion of HT-29 colorectal cancer cells induced by TGF-β1. Int J Biol Macromol. 2019 Jun 15;131:886-95. doi: 10.1016/j.ijbiomac.2019.03.053.


[23] Wei L, Lin J, Xu W, Cai Q, Shen A, Hong Z, Peng J. Scutellaria barbata D. Don inhibits tumor angiogenesis via suppression of Hedgehog pathway in a mouse model of colorectal cancer. Int J Mol Sci. 2012;13(8):9419-30. doi: 10.3390/ijms13089419.


[24] Liu F, Zu X, Xie X, Zhang Y, Liu K, Chen H, Wang T, Bode AM, Dong Z, Kim DJ. Scutellarin suppresses patient-derived xenograft tumor growth by directly targeting AKT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Cancer Prev Res (Phila). 2019 Sep 25. pii: canprevres.0244.2019. doi: 10.1158/1940-6207.CAPR-19-0244.


[25] Lin JM, Liu Y, Luo RC. Inhibition activity of Scutellariae barbata extracts against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Nan Fang Yi Ke Da Xue Xue Bao. 2006 May;26(5):591-3.


[26] Lin JM, Liu Y, Luo RC. [Effect of Scutellaria barbata extract against human hepatocellular Hep-G2 cell proliferation and its mechanism]. Nan Fang Yi Ke Da Xue Xue Bao. 2006 Jul;26(7):975-7.


[27] Tang PM, Chan JY, Au SW, Kong SK, Tsui SK, Waye MM, Mak TC, Fong WP, Fung KP. Pheophorbide a, an active compound isolated from Scutellaria barbata, possesses photodynamic activities by inducing apoptosis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ancer Biol Ther. 2006 Sep;5(9):1111-6.


[28] Kan X, Zhang W, You R, Niu Y, Guo J, Xue J. Scutellaria barbata D. Don extract inhibits the tumor growth through down-regulating of Treg cells and manipulating Th1/Th17 immune response in hepatoma H22-bearing mice.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7 Jan 13;17(1):41. doi: 10.1186/s12906-016-1551-9.


[29] Chan JY, Tang PM, Hon PM, Au SW, Tsui SK, Waye MM, Kong SK, Mak TC, Fung KP. Pheophorbide a, a major antitumor component purified from Scutellaria barbata, induces apoptosis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Planta Med. 2006 Jan;72(1):28-33.


[30] Dai ZJ, Wang BF, Lu WF, Wang ZD, Ma XB, Min WL, Kang HF, Wang XJ, Wu WY. Total flavonoids of Scutellaria barbata inhibit invasion of hepatocarcinoma via MMP/TIMP in vitro. Molecules. 2013 Jan 11;18(1):934-50. doi: 10.3390/molecules18010934.


[31] Dai ZJ, Liu XX, Xue Q, Ji ZZ, Wang XJ, Kang HF, Guan HT, Ma XB, Ren HT [Anti-proliferative and apoptosis-inducing activity of Scutellaria barbate containing serum on mouse's hepatoma H22 cells]. Zhong Yao Cai. 2008 Apr;31(4):550-3.


[32] Dai ZJ, Wang XJ, Xue Q, Ji ZZ, Liu XX, Kang HF, Guan HT, Ma XB, Ren HT. [Effects of Scutellaria Barbata drug-containing serum on apoptosis and mitochondrial transmembrane potential of hepatoma H22 cells]. Zhong Xi Yi Jie He Xue Bao. 2008 Aug;6(8):821-6. doi: 10.3736/jcim20080810.


[33] Dai ZJ, Wang XJ, Li ZF, Ji ZZ, Ren HT, Tang W, Liu XX, Kang HF, Guan HT, Song LQ. Scutellaria barbate extract induces apoptosis of hepatoma H22 cells via the mitochondrial pathway involving caspase-3. World J Gastroenterol. 2008 Dec 28;14(48):7321-8.


[34] Dai ZJ, Liu XX, Tang W, Xue Q, Wang XJ, Ji ZZ, Kang HF, Diao Y. [Antitumor and immune-modulating effects of Scutellaria barbata extract in mice bearing hepatocarcinoma H22 cells-derived tumor]. Nan Fang Yi Ke Da Xue Xue Bao. 2008 Oct;28(10):1835-7.


[35] Li L, Xu X, Wu L, Zhu H, He Z, Zhang B, Chi Y, Song G. Scutellaria barbata polysaccharides inhibit tumor growth and affect the serum proteomic profiling of hepatoma H22‑bearing mice. Mol Med Rep. 2019 Mar;19(3):2254-62. doi: 10.3892/mmr.2019.9862.


[36] Dai ZJ, Wu WY, Kang HF, Ma XB, Zhang SQ, Min WL, Kang WF, Ma XB, Zhang SQ, Min WL, Lu WF, Lin S, Wang XJ. Protective effects of Scutellaria barbata against rat liver tumorigenesis. Asian Pac J Cancer Prev. 2013;14(1):261-5.


[37] Cha YY, Lee EO, Lee HJ, Park YD, Ko SG, Kim DH, Kim HM, Kang IC, Kim SH. Methylene chloride fraction of Scutellaria barbata induces apoptosis in human U937 leukemia cells via the mitochondrial signaling pathway. Clin Chim Acta. 2004 Oct;348(1-2):41-8.


[38] Shi R, Guo SQ, Liu S, Li ZS, Li JJ. [Effects of Scutellaria Barbata on VEGF Expression in K562 Cells]. Zhongguo Shi Yan Xue Ye Xue Za Zhi. 2016 Oct;24(5):1339-42. doi: 10.7534/j.issn.1009-2137.2016.05.010.


[39] Kim EK, Kwon KB, Han MJ, Song MY, Lee JH, Ko YS, Shin BC, Yu J, Lee YR, Ryu DG, Park JW, Park BH. Induction of G1 arrest and apoptosis by Scutellaria barbata in the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HL-60 cell line. Int J Mol Med. 2007 Jul;20(1):123-8.


[40] Yin X, Zhou J, Jie C, Xing D, Zhang Y. Anticancer activity and mechanism of Scutellaria barbata extract on human lung cancer cell line A549. Life Sci. 2004 Sep 17;75(18):2233-44.


[41] Wei PY, Pu HQ, Wei X, Li CG, Nong S. [Apoptosis-inducing effect of Scutellaria barbata extract on human lung cancer SPC-A-1 cells and the expression of apoptosis associated genes]. Zhong Yao Cai. 2007 Oct;30(10):1270-3.


[42] Shiau AL, Shen YT, Hsieh JL, Wu CL, Lee CH. Scutellaria barbata inhibits angiogenesis through downregulation of HIF-1 α in lung tumor. Environ Toxicol. 2014 Apr;29(4):363-70. doi: 10.1002/tox.21763.


[43] Gong T, Wang CF, Yuan JR, Li Y, Gu JF, Zhao BJ, Zhang L, Jia XB, Feng L, Liu SL. Inhibition of Tumor Growth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Flavonoids and Scutebarbatines of Scutellaria barbata D. Don in Lewis-Bearing C57BL/6 Mice.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5;2015:630760. doi: 10.1155/2015/630760.


[44] Chen CC, Kao CP, Chiu MM, Wang SH. The anti-cancer effects and mechanisms of Scutellaria barbata D. Don on CL1-5 lung cancer cells. Oncotarget. 2017 Nov 27;8(65):109340-57. doi: 10.18632/oncotarget.22677.


[45] Shim JH, Gim H, Lee S, Kim BJ. Inductions of Caspase-, MAPK- and ROS-dependent Apoptosis and Chemotherapeutic Effects Caused by an Ethanol Extract of Scutellaria barbata D. Don in Human Gastric Adenocarcinom Cells. J Pharmacopuncture. 2016 Jun;19(2):129-36. doi: 10.3831/KPI.2016.19.014.


[46] Wong BY, Nguyen DL, Lin T, Wong HH, Cavalcante A, Greenberg NM, Hausted RP, Zheng J. Chinese medicinal herb Scutellaria barbata modulates apoptosis and cell survival in murine and human prostate cancer cells and tumor development in TRAMP mice. Eur J Cancer Prev. 2009 Aug;18(4):331-41. doi: 10.1097/CEJ.0b013e32832c3859.


[47] Shi L, Wu Y, Lv DL, Feng L. Scutellarein selectively targets multiple myeloma cells by increasing mitochondrial superoxide production and activating intrinsic apoptosis pathway. Biomed Pharmacother. 2019 Jan;109:2109-18. doi: 10.1016/j.biopha.2018.09.024.


[48] Kim DI, Lee TK, Lim IS, Kim H, Lee YC, Kim CH. Regulation of IGF-I production and proliferation of human leiomyomal smooth muscle cells by Scutellaria barbata D. Don in vitro: isolation of flavonoids of apigenin and luteolin as acting compounds. Toxicol Appl Pharmacol. 2005 Jun 15;205(3):213-24.


[49] Lee TK, Lee YJ, Kim DI, Kim HM, Chang YC, Kim CH. Pharmacological activity in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of cultured human leiomyomal cells of tropical plant Scutellaria barbata D. Don (Lamiaceae). Environ Toxicol Pharmacol. 2006 Jan;21(1):70-9. doi: 10.1016/j.etap.2005.07.015.


[50] Kim KW, Jin UH, Kim DI, Lee TK, Kim MS, Oh MJ, Kim MS, Kwon DY, Lee YC, Kim CH. Antiproliferative effect of Scutellaria barbata D. Don. on cultured human uterine leiomyoma cells by down-regulation of the expression of Bcl-2 protein. Phytother Res. 2008 May;22(5):583-90. doi: 10.1002/ptr.1996.


[51] Dai ZJ, Wang XJ, Ji ZZ, Li ZF, Tang W, Kang HF, Ma XB, Liu L. [Scutellaria barbata extract enhances efficacy and reduces toxicity of chemotherapy in hepatoma H22-bearing mice]. Zhong Xi Yi Jie He Xue Bao. 2008 Jul;6(7):720-4. doi: 10.3736/jcim20080712.


[52] Xu H, Yu J, Sun Y, Xu X, Li L, Xue M, Du G. Scutellaria barbata D. Don extract synergizes the antitumor effects of low dose 5-fluorouracil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and metabolism. Phytomedicine. 2013 Jul 15;20(10):897-903. doi: 10.1016/j.phymed.2013.03.025.


[53] Sohn SH, Lee H, Nam JY, Kim SH, Jung HJ, Kim Y, Shin M, Hong M, Bae H. Screening of herbal medicines for the recovery of cisplatin-induced nephrotoxicity. Environ Toxicol Pharmacol. 2009 Sep;28(2):206-12. doi: 10.1016/j.etap.2009.04.005.


[54] Lee SR, Kim MS, Kim S, Hwang KW, Park SY. Constituents from Scutellaria barbata Inhibiting Nitric Oxide Production in LPS-Stimulated Microglial Cells. Chem Biodivers. 2017 Aug 14. doi: 10.1002/cbdv.201700231.


[55] Liu HL, Kao TH, Shiau CY, Chen BH. Functional components in Scutellaria barbata D. Don with anti-inflammatory activity on RAW 264.7 cells. J Food Drug Anal. 2018 Jan;26(1):31-40. doi: 10.1016/j.jfda.2016.11.022.


[56] Tsai CC, Lin CS, Hsu CR, Chang CM, Chang IW, Lin LW, Hung CH, Wang JL. Using the Chinese herb Scutellaria barbata against extensively 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infections: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8 Mar 20;18(1):96. doi: 10.1186/s12906-018-2151-7.


[57] Sato Y, Suzaki S, Nishikawa T, Kihara M, Shibata H, Higuti T. Phytochemical flavones isolated from Scutellaria barbata an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Ethnopharmacol. 2000 Oct;72(3):483-8.


[58] Wu Y, Chen DF. Anti-complementary effect of polysaccharide B3-PS1 in Herba Scutellariae Barbatae (Scutellaria barbata).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009;31(4):696-701. doi: 10.3109/08923970903095314.


[59] Wang Y, Li B, Zhang X. Scutellaria barbata D. Don (SBD) protects oxygen glucose deprivation/reperfusion-induced injuries of PC12 cells by up-regulating Nrf2. Artif Cells Nanomed Biotechnol. 2019 Dec;47(1):1797-807. doi: 10.1080/21691401.2019.1610413.


[60] Wang Z, Yu J, Wu J, Qi F, Wang H, Wang Z, Xu Z. Scutellarin protects cardiomyocyte ischemia-reperfusion injury by reducing apoptosis and oxidative stress. Life Sci. 2016 Jul 15;157:200-7. doi: 10.1016/j.lfs.2016.01.018.


[61] Mei XY, Zhou LY, Zhang TY, Lu B, Ji LL. Scutellaria barbata attenuates diabetic retinopathy by preventing retinal inflammation and the decreased expression of tight junction protein. Int J Ophthalmol. 2017 Jun 18;10(6):870-7. doi: 10.18240/ijo.2017.06.07.


[62] Yang PY, Tai CJ. Chinese Medicine Treatment for Afatinib-Induced Paronychia. Case Rep Oncol Med. 2017;2017:7327359. doi: 10.1155/2017/7327359.


[63] Yeh YC, Chen HY, Yang SH, Lin YH, Chiu JH, Lin YH, Chen JL. Hedyotis diffusa Combined with Scutellaria barbata Are the Core Treatment of Chinese Herbal Medicine Used for Breast Cancer Patients: A Population-Based Study.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4;2014:202378. doi: 10.1155/2014/202378.


[64] Rugo H, Shtivelman E, Perez A, Vogel C, Franco S, Tan Chiu E, Melisko M, Tagliaferri M, Cohen I, Shoemaker M, Tran Z, Tripathy D. Phase I trial and antitumor effects of BZL101 for patients with advanced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s Treat. 2007 Sep;105(1):17-28.


[65] Perez AT, Arun B, Tripathy D, Tagliaferri MA, Shaw HS, Kimmick GG, Cohen I, Shtivelman E, Caygill KA, Grady D, Schactman M, Shapiro CL. A phase 1B dose escalation trial of Scutellaria barbata (BZL101) for patients with metastatic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s Treat. 2010 Feb;120(1):111-8. doi: 10.1007/s10549-009-0678-5.


[66] Tao G, Balunas MJ. Current therapeutic role and medicinal potential of Scutellaria barbata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Western research. J Ethnopharmacol. 2016 Apr 22;182:170-80. doi: 10.1016/j.jep.2016.02.012.


[67] Pan LT, Sheung Y, Guo WP, Rong ZB, Cai ZM. Hedyotis diffusa plus Scutellaria barbata Induce Bladder Cancer Cell Apoptosis by Inhibiting Akt Signaling Pathway through Downregulating miR-155 Expression.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6;2016:9174903. doi: 10.1155/2016/9174903.


[68] Niu C, Sheng Y, Yang R, Lu B, Bai Q, Ji L, Wang Z. Scutellarin protects against the liver injury induced by diosbulbin B in mice and its mechanism. J Ethnopharmacol. 2015 Apr 22;164:301-8. doi: 10.1016/j.jep.2015.02.031.



© 공병희 원장의 현대적 본초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