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부여 중앙시장과 시금치무침을 넣은 곰탕

 

JTG 0036-main.jpg



요 몇 년 동안 부여라는 동네가 유난히 눈에 들어왔다. 여행을 다녀와야지 하다가도 다른 일정에 밀려 못 가던 차, 우연히 부여를 방문해야 할 이유가 생겼다.



침체된 부여를 살릴 방법


“부여가 요즘 몹시 어려워요. 유명한 여행지가 있다고 하지만 좀처럼 사람이 오지 않고, 와도 잠깐 들렀다가 가는 수준이에요. 부여를 활성화시킬 방법을 찾고 있는데 같이 이야기를 나눠보면 어떨까 해서 연락드렸어요.”

이런 연락을 받은 게 지난해 12월 초였다. 연말은 언제나 늘 그렇듯 시간을 내기가 여의치 않았다. 결국 날짜를 이리저리 옮기며 부여 갈 날을 조율하다 해가 바뀐 직후에 찾아가기로 했다. 부여를 가 본 게 어언 10년도 훨씬 전이니, 요즘은 어떻게 변했는지 궁금했지만, 이번에도 여행하기에는 어려울 듯했다.


인연이라는 게 좀 묘한 구석이 있다. 몇 년 동안 그렇게 가야지 기회를 엿볼 때는 한 번을 못 가더니 이런 식으로 내려갈 인연이 맺어진다. 그래도 처음 한 번이 힘들지, 일단 내려갔다 오면 다시 내려갈 일이 계속 생기기 마련이다. 여행지의 인연이란 늘 그런 식이었다. 사실 일개 여행작가가 무슨 큰 도움이 되겠는가. 그래도 미약하게나마 이야기를 듣고 머리를 맞대다 보면 미약한 실마리라도 잡을 수는 있지 않을까 싶었다.


내려가 보니 부여는 생각보다 상황이 많이 안 좋아 보였다. 10년 사이에 이렇게까지 침체될 수 있을까 싶을 만큼 찾는 이가 없는 모양이었다. 백제 문화를 보여주는 주요 도시 중에서도 첫손에 꼽을 만한 곳인데, 좀처럼 그런 장점을 살리지 못하는 모양이었다. 똑같이 문화재 보호를 위한 개발 제한으로 손발이 묶여 있는 경주와 비교하면 극명한 대척점에 서 있는 수준이었다. 이런 현실을 조금이라도 바꿔보겠다고 부여 시민이 자발적으로 문화학교를 꾸리고 자구책을 찾다가 도움을 요청한 것이었다.


금강 변을 잠시 둘러보고 ‘부여마을문화학교 협동조합’을 만나러 부여 중앙시장으로 향했다. 이 시장은 부여읍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어 위치로는 더할 나위 없는 곳이다. 위로는 부소산성, 아래로 정림사지가 있어 도보 여행 중에 들르기 딱 좋은 시장이지만, 부여를 찾아오는 여행자는 차로 부소산성에서 정림사지로 바로 이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했다. 자연스레 갈수록 인구가 줄어가는 부여의 인구만으로는 시장을 지탱하기 어려운 모양이었다. 그들이 나를 보고 싶어 한 요지는 그것이었다. 여행자가 부여 중앙시장을 들러서 갈 수 있도록 만들 묘수가 없겠냐는 것. 침체된 부여 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시장을 살려야 한다는 게 그들의 의견이었다.


JTG 0036-img-01.jpg



시장을 여행하게 만들 밥상


문득 일본 고쿠라 여행에서 보았던 장면이 떠올랐다. 고쿠라의 탄가시장 한복판에 ‘대학당’이라 부르는 식당이 있다. 지근거리에 기타큐슈대학이 있다. 시장 상인들은 학생들이 저렴하게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시장 한가운데에 식당을 열었다. 이 식당에서는 밥만 준다. ‘돈부리’라 부르는 덮밥용 그릇에 밥을 담아 주면 반찬이며 올려 먹을 것은 직접 시장을 돌아다니며 사 오는 식이다. 그러니까 시장에서 파는 것 중에 먹고 싶은 것을 마음대로 골라서 덮밥으로 올려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이게 대학생을 중심으로 크게 인기를 끌었다.


그럴 만도 한 것이 식사할 공간을 제공하고 밥 한 공기 떠 주는데 200엔, 우리 돈으로 대략 2,000원이다. 시장을 돌아다니며 사 오는 음식도 무척 저렴하다. 고등어나 전갱이 된장조림은 160엔, 다양한 횟감을 서너 개 올려주는데 150엔, 튀김류나 어묵 같은 것도 100엔 언저리다. 어디를 가든 돈부리를 들고 다니는 사람에게는 딱 한 사람 먹을 분량만큼 소포장으로 저렴하게 팔기 때문에 식사 한 끼 해결하는 데 부담이 없다. 다양한 먹거리를 수북하게 쌓아서 돌아와도 600~700엔 수준이면 충분하다. 먹는 양이 적은 사람은 500엔으로도 부족함이 없다. 탄가시장의 이 덮밥은 여행자 사이에 입소문이 퍼지며 명물이 됐다. 이 시스템을 벤치마킹해서 명소가 된 한국의 시장도 있다. 서울 서촌의 통인시장이다. 부여 중앙시장에서도 이 사례를 잘 활용하면 여행자의 귀를 솔깃하게 만들 아이템이 될 수 있을 듯했다.


다행히 부여마을문화학교 측은 이 의견에 굉장히 긍정적인 태도을 보였다. 사실 작년에 통인시장처럼 도시락을 들고 다니면서 원하는 음식을 담아오는 상품을 운영했었다고 했다. 그런데 그때는 지금처럼 전용 공간도 없었고, 시장 내에서 살 수 있는 음식이 대체로 비슷하거나 짠 것 위주여서 금세 관심이 시들해졌다는 게 그들의 설명이다. 반면 이제는 편히 식사할 만한 공간이 있고, 이전의 실패를 거울삼아 여러 가지 대책을 마련해 볼 여지가 있다. 물론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세우고 실천해 가는 과정에서 여러 난관이 있을 테고 부여만의 무언가를 보여줄 수 있는 아이디어도 필요하다. 이는 앞으로 꾸준히 고민하면서 보완해야 할 문제다.


JTG 0036-img-02.jpg


이야기를 나누면서 이해가 가지 않았던 건 부여의 중심에 자리한 시장에 왜 유명한 식당이 하나 없느냐 하는 점이었다. 함께 자리한 이들에게 여러 번 물었지만, 다들 딱히 ‘맛집’이라고 부를 만한 곳이 없다는 반응이었다. 아무리 경기가 침체된 지역이어도 그럴 리가 없었다. 고개를 갸우뚱거리다 결국 미팅을 마치고 저녁 식사를 하기로 했다. 고기라도 같이 굽자는 이야기에 거한 메뉴는 필요 없고 국밥 한 그릇이면 충분하다고 의견을 전했다. 그랬더니 바로 옆에 지역민이 즐겨 찾는 곰탕집이 있다며 거길 추천해줬다. 그때 다시 한번 느꼈다. 사람이란 자기 손에 어떤 보석이 있는지 잘 모르는구나. ‘맛집’이 아니라 부여만의 무언가를 보여줄 식당이면 족한데, 사람은 늘 거창한 것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JTG 0036-img-03.jpg



시금치무침이 만들어내는 특별한 칼칼함


간판 곁으로 ‘40년 역사’라는 문구가 붙었다. 가게 주인에게 물어보니 여기에 자리 잡은 지 40년이 넘었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이런 식당이 대체로 그렇듯 정확히 문을 연 연도는 기억하지 못한다. 여기서 끈덕지게 더 물어보면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말싸움이 벌어지는 걸 숱하게 경험했던지라 더 길게 물어보지는 않았다. 당연히 40년이라는 문구를 있는 그대로 신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이 정도 대답이면 그 역사에 대해서만큼은 충분히 믿어봄 직하다.


메뉴는 꼬리곰탕, 도가니탕, 양탕, 곰탕 등이 있다. 수육도 마찬가지인데 운전을 해야 하는 관계로 다음 기회를 노리기로 했다. 가장 기본이 되는 곰탕을 주문했다. 처음 가는 집이 기대를 걸어볼 만하다는 판단이 설 때는 가장 기본부터 먹어보는 것도 방법이다. 실력 있는 식당은 기본 메뉴부터 남다르기 마련이니까. 그런데 깔리는 반찬 중에 수북하게 시금치를 무쳐서 내주는 게 눈에 띈다. 시금치는 날로 먹기에 조금 조심스럽다. 칼슘이 많아서 신장 결석을 일으킬 수 있다는 세간의 소문이 거슬려서다. 무침 한 그릇 먹고 그럴 리가 없다는 건 잘 안다. 시금치를 날로 한 포대쯤 퍼먹어야 그럴까 말까 하다는 것도 상식적인 선에서 이해가 간다. 그렇지만 께름칙한 건 어쩔 수 없다. 그런 논리 과정을 거쳐 도출한 결론은, ‘탕에 넣어 먹으라고 내줬겠구나’. 추론은 정확히 맞아떨어졌다. 큰 의미 없이 의기양양해져서는 탕이 나오자마자 사진 몇 장 찍고 바로 탕에 시금치무침을 넣었다.


JTG 0036-img-04.jpg


이 식당에서 사용하는 쇠고기는 호주산. 그러나 육수는 모두 한우로 낸다고 했다. 시금치무침을 넣기 전에 잠깐 국물 맛을 보았는데 육수의 맛이 생각보다 맑은 편이다. 여기에 매콤하게 무친 시금치를 넣으니 바로 칼칼한 맛이 더해졌다. 아마도 고춧가루를 제법 칼칼한 것으로 사용하는 모양이었다. 곰탕에 시금치무침을 넣는 건 어디서도 보지 못한 터라 궁금해졌다. 이게 부여 곰탕의 특징인 걸까?


JTG 0036-img-05.jpg


가게 주인장은 이 집에서만 이렇게 한다고 했다. 그러니까 이 집의 시그니처인 셈이다. 시금치가 더해진 국물은 생각보다 독특하고 좋았다. 시금치는 조금만 오래 데쳐도 금방 물러지는데, 뜨거운 곰탕 국물에 넣어 먹으니 나름의 식감이 음식을 다 먹을 때까지 잘 살아 있었다. 여기에 더해 시금치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맛이 곰탕 국물에 우러나 어디서도 먹어보지 못한 이색적인 맛을 형성했다. 시금치의 맛이 더해져 국물이 훨씬 진해지는 느낌이다. 시금치와 곰탕 국물이 이렇게 잘 어우러질 줄은 상상도 못 했다. 이 정도로 특색 있는 음식이 아직도 잘 알려지지 않은 게 신기할 따름이었다.


JTG 0036-img-06.jpg


부여에서 돌아와 이 집에 대해 더 조사하다 보니 시금치가 나오지 않는 계절에는 부추겉절이를 내는 경우도 있었다. 부추겉절이를 넣어 먹는 건 밀양의 돼지국밥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 부추와 향과 겉절이 양념의 매콤함을 더하는 건데, 이 가게의 곰탕에 더해지면 어떤 변화를 보여줄지 궁금해졌다. 이제 부여와 인연을 맺었으니 앞으로 종종 내려갈 일이 생기지 않을까 싶다. 날씨가 풀리고 더 다채로운 봄나물이 식탁에 오르는 계절이면 다시 한번 이 가게를 찾아볼 요량이다. 부여라는 지역이 아직 보여주지 못한 여러 매력이 잘 다듬어지면 충분히 세간에 화제로 오르내릴 것 같았다. 올해부터는 부여의 변화를 곁에서 지켜볼 생각이다.



JTG 0036-title.jpg


시금치는 비름과의 한해살이 혹은 두해살이 풀이다. 봄, 여름, 가을에 각각 재배하는 형태가 있는데, 요즘에는 겨울에 재배하는 경우도 흔해졌다. 특히 추위에 그대로 노출시켜 재배한 시금치는 작고 이파리가 뻣뻣한 편이지만 당도는 놀라울 만큼 높아진다. 감기 예방에 좋은 항산화 물질과 비타민 C가 풍부하고 칼슘과 철분이 많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예부터 우리 식탁에 자주 오르내리는 채소였다. 면역력 증진에도 효과가 있고 탈모에 도움을 주며 아이와 임산부에게 좋다고 알려져 있다. 시금치의 붉은 뿌리에는 인체에 해로운 요산을 분해해서 배출하는 구리와 망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잎과 함께 섭취하는 게 좋다. 시금치를 먹으면 뇌를 젊게 유지하고 치매를 막을 수 있다는 설도 있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