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단양 관방제림과 국수 한 상

 

JTG 0048-main.jpg



전라도로 출장을 나간 김에 잠시 담양에 들렀다. 10년 만인가. 그곳의 오래된 나무와 천변의 풍경은 변한 듯 변하지 않은 듯 찾아온 이를 반겨주고 있었다.



선조의 지혜가 담긴 유산


서정적이다. 이 짧은 한 문장보다 이곳을 잘 표현할 수 있는 형용사가 있을까 싶다. 계절마다, 심지어 하루에도 언제 찾아가느냐에 따라 관방제림은 서로 다른 표정을 하고 있다. 비가 오는 날에는 그런대로, 녹음이 우거진 계절에는 또 그런대로 각기 다른 맛이 있는 숲이다.


JTG 0048-img-01.jpg


관방제림은 관에서 만든 제방과 숲이라는 의미에서 그리 부르는 이름이다. 담양읍 남산리의 동정자마을을 중심으로 추정 수령 300~400년 이상의 노목이 거대한 풍치림을 형성한다. 그 길이만 2킬로미터에 면적은 49,228제곱미터(약 14,891평). 1628년(인조 6년) 영산강의 상류인 담양천 주변의 60여 가구가 홍수로 큰 피해를 보자, 당시 담양 부사인 성이성이 천 주변으로 제방을 쌓았다. 이 제방을 더 튼튼하게 유지하고자 나무를 심은 게 관방제림의 시초다. 그 뒤 1854년(철종 5년)에 부사로 있던 황종림이 숲을 재정비했다. 당시 이 공사에 동원한 관노비만 연인원으로 3만여 명이다.


보통은 이런 대규모의 정비가 이루어지고 나면 관리의 책임을 맡는 사람은 다른 곳으로 시야를 돌리기 마련이다. 뒤이어 부임하는 사람은 더욱이나 자신만의 치적을 만들기 위해 새로운 거리를 찾으려 한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담양으로 부임하는 사람마다 이 관방제림에 지극한 관심을 쏟는다. 개인의 사재까지 털어서 관리한 경우도 있었다. 이런 흐름은 마치 담양의 전통인 것 마냥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선조들이 남겨준 유산이기 때문인 걸까. 담양의 최고 어른 격인 관방제림의 나무를 어떻게 잘 보살필 것이냐가 담양군의 관심사다.


그런 보살핌 덕에 제방 위에 심은 나무들은 묵직한 존재감을 피력한다. 높이 쌓아 올린 제방은 담양천의 양쪽을 가지런하게 둘러싸고 물길을 따라 이어진다. 그 위로 나무들이 심어졌다. 가지를 넓게 뻗고 키도 껑충하게 키워서 온몸으로 햇살을 한껏 받아들인다.


JTG 0048-img-02.jpg


물론 모든 나무가 살아서 지금까지 전해오는 건 아니다. 당초에는 이 구간에 700그루의 나무가 자라고 있었지만, 현재 남아있는 건 420그루에 불과하다. 푸조나무 111그루를 비롯해 느티나무, 팽나무, 벚나무 등 15종이 숲의 주인으로 자리하고 있다. 예전보다 그 규모는 절반 가까이 줄었지만, 그럼에도 커다란 나무들은 커다란 그늘을 만들어 이곳에서만 느낄 수 있는 독특한 서정미를 자아낸다. 담양군 자체는 전라남도의 소도시에 불과하지만, 관방제림을 비롯한 곳곳의 아름다움을 만끽하려 찾아오는 여행객이 많다. 누가 오더라도 이 숲은 매력적으로 다가간다. 호불호가 없다는 말이다.


JTG 0048-img-03.jpg



늦여름의 산책로


하필이면 뙤약볕이 사정없이 머리 위로 내리꽂히는 오후였다. 천변을 따라서 관방제림으로 들어서니 이미 곳곳에 놓인 벤치에는 사람들이 저마다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벤치는 나무 그늘 아래 적당한 곳에 놓여있어 이 더위를 식히기에 안성맞춤이다. 주로 이 주변에 거주하는 어르신들인 듯했다. 길을 따라 걸음을 조금만 더 옮기면 그리 크지 않은 평상 몇 개도 보인다. 그 위에서는 바둑을 두거나 화투를 치면서 시간을 보낸다. 커다란 나무와 나무 사이 뻥 뚫린 그 공간을 따라 바람이 불어왔다. 이마의 땀을 식혀준다는 표현이 걸맞은 시원한 바람이다.


JTG 0048-img-04.jpg


가운데로 난 산책로를 따라 담양을 찾아온 여행객과 인근 주민이 산책을 즐긴다. 나무 그늘이 터널을 만들어 그림자를 드리워주니 여름에도 이곳은 최고의 산책로가 된다. 걸음을 옮기다 보니 나무마다 이름표가 달려 있는 게 눈에 띄었다. 관방제림은 역사적인 의미와 독특한 그만의 가치를 인정받아 총 420그루 중 185그루가 1991년 11월 천연기념물 제366호로 지정됐다. 국가 차원의 보호를 받는 숲은 대우도 남다르다. 나무 하나하나마다 번호를 먹이고 이름표를 달아서 각별한 보호를 받는다. 시선을 사로잡은 것이 바로 그 이름표였던 것. 나라와 지역의 관심 덕택에 앞으로도 관방제림은 오랫동안 독특한 매력을 뽐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JTG 0048-img-05.jpg


JTG 0048-img-06.jpg


이 산책로는 4킬로미터쯤을 걸어가면 그 유명한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이어진다. 차를 가져오지 않았다면, 운동 삼아 쉬엄쉬엄 걸어서 담양의 이름을 드높인 두 숲을 단번에 둘러보는 것도 현명한 선택이 될 법하다. 눈을 현란하게 만드는 인공미가 덜하니 훨씬 편안한 기분으로 산책을 즐긴다. 먼 훗날, 젊은 날의 추억을 떠올리며 언제든 찾아갈 수 있는 숲이 있다는 건 우리에게 얼마나 큰 선물인가. 10년 뒤 아니 50년 뒤에도 저 그늘 아래를 걷는 상상을 하며 관방제림의 입구로 돌아 나왔다.


JTG 0048-img-07.jpg



담양천의 명물, 국수거리


사실 관방제림을 찾아오는 사람 중에는 관방제림보다 그 곁의 국수거리를 찾는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천변으로 길게 늘어선 가게마다 국수를 팔고 있고, 비슷한 듯 저마다의 개성을 더한 메뉴를 걸어 두었다. 그중에서도 진작부터 이름을 알린 집은 ‘진우네집국수’다. 관방제림을 찾는 이가 지금보다는 적었던 2000년대 후반 한 끼를 때우자고 우연히 들어간 집이 진우네집국수였다. 그때나 지금이나 국수거리 초입에 자리하고 있다. 허기진 시간에 아무 생각 없이 바로 들어가기 딱 좋은 위치다.


국수거리는 예전의 허름해도 정겨웠던 풍경은 사라지고 전혀 다른 모습이 되어 있었다. 이미 진우네집국수를 비롯한 국수거리의 몇몇 가게가 방송에 소개되어 유명세를 치른 터라 예상은 했지만, 예전 그 느낌을 느끼기에는 어려웠다. 대신 천변을 따라 심어진 나무 아래에서 그늘에 앉아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테이블이 주르륵 놓여있다는 건 참 좋았다. 코로나19가 우리 일상을 얼마나 바꾸어 놓았는지는 여기서도 여실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사람들은 되도록 다른 이와 거리를 두기 위해 띄엄띄엄 테이블을 골라 앉는다. 이런 모습이 2020년의 여행법으로 자리 잡은 것 같았다. 자리를 골라 앉으면 종업원이 와서 주문을 받는다. 10년 전에 비해 가게 주인과 살가운 미소를 주고받는 맛은 떨어져도 몸은 확실히 편해졌다.


여기는 혼자 오든 여럿이 가든 기본은 멸치국수, 비빔국수에 사이드메뉴인 달걀까지 시키게 된다. 개별 메뉴를 따로 시켜 먹을 수 있지만 하나만 먹으면 괜스레 아쉽고 서운하다. 든든하게 배를 채우려면 국수 두 그릇을 다 먹어야 하는 개인적인 신체 여건도 주된 요인이다. 주문을 넣고 음식이 나올 때까지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테이블 위에서 하늘하늘 흔들리는 잎새의 그림자와 햇살을 우두커니 바라보고 있자니 금세 국수 한 상이 내 앞에 놓였다. 담음새는 기억 속의 모습과 별반 달라진 게 없다. 이제 남은 건 담양을 올 때면 입안에서 신기루처럼 맴돌던 추억의 그 맛이 그대로 되살아 날 것인지에 대한 기대뿐. 어떤 것부터 젓가락을 댈까 망설이다 불기 쉬운 멸치국수부터 들어 올렸다.


JTG 0048-img-08.jpg


후루룩-. 입술로 면발을 붙잡고 빨아당겼다. 담양식 우동이라고 해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통통한 면발이 한가득 들어왔다. 잘근잘근 씹어서 음미하는 동안 멸치의 고소한 국물이 입안에 배어들었다. 고소하지만 비리지 않은, 그리워하던 그 맛이다. 고명이라고 해 봐야 툭툭 썬 대파와 고춧가루 양념 정도. 화려한 꾸밈없이 멸칫국물 하나로 승부하는 셈이다. 담양에 그 많고 많은 다른 음식이 부럽지 않을 만큼 만족스럽다. 이번에는 비빔국수의 차례. 역시 똑같은 오동통한 중면이다. 흩뿌려 놓은 깨소금을 면발에 묻혀 입에 넣었다. 새콤달콤. 입안에 침이 돌았다. 역시 여름에는 비빔국수가 썩 잘 어울린다. 혼자 먹지만 국수 두 그릇이 바닥을 보이는 데까지는 불과 10분 남짓이다. 밑반찬으로 내준 김치와 단무지무침, 콩나물무침도 입맛을 돋우는 역할에 충실했다.


고춧가루 하나 남김없이 싹싹 긁어먹고 나니 입안에서 슬쩍 얼얼한 느낌이 올라왔다. 이럴 때 필요한 게 달걀이다. 담양의 국수거리의 유명세에서 국수도 국수지만 이 달걀도 당당하게 한몫을 한다. 뻑뻑하지 않게 잘 삶은 달걀은 입안을 확실하게 마무리하며 혹여 남아있을지 모를 약간의 아쉬움마저 말끔하게 거두어준다. 달걀 두 개에 1천 원. 멸치국수가 4천 원에 비빔국수가 5천 원이니까 이렇게 한 상을 받아먹어도 도합 1만 원에 불과하다. 서울에서는 점심 한 끼에 1만 원하는 식당이 널려 있는데, 이 정도면 감격의 눈물이 흐를 만한 가격이다.


JTG 0048-img-09.jpg


배를 두드리면서 잠시 산들산들 불어오는 바람을 즐긴다. 속이 든든하니 다시 길 위에 오를 기운이 솟았다. 가방을 메고 다시 걸음을 내딛는다. 얼마 남지 않은 여름이 올해는 유독 더 짧기만 하다. 마냥 아쉬운 여름의 끝자락이다.



JTG 0048-title.jpg


달걀은 완전식품이라고 불린다. 완전식품이란 인간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모두 지니고 있는 단독 식품을 말하는 것. 나트륨이 적고 비타민, 무기질, 단백질 같은 우리에게 꼭 필요한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고 가격도 저렴해 많은 사랑을 받는다. 달걀 속에 들어 있는 레시틴 (Lecithin)은 두뇌 발달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혈중 콜레스테롤을 적절히 조절해 주면서 불필요한 지방을 녹여 동맥경화 예방에 도움을 준다. 치매 예방에 좋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레시틴은 뇌에서 신경 물질을 전달하는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 성분을 촉진하기도 한다. 기억력과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칼로리가 개당 80kcal에 지나지 않아 다이어트를 돕는다. 양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은 고단백 식품이라 근육량을 늘리는 데에도 유용하다. 눈 관련 질환을 예방하는 루테인 (Lutein)과 비타민 A, 항산화 성분도 있어서 여러모로 우리 몸에 유익한 식품이라 할 수 있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