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공주 공산성과 공주국밥

 

JTG 0076-main.jpg



구름 한 점 없이 가을 하늘이 높고 푸르던 날. 공주 공산성을 찾았다. 산들산들 불어오는 바람에 기분마저 좋아지는 가을의 초입이었다.



공주가 훤히 보이는 세계문화유산


공산성 하면 처음 떠올리게 되는 건 전 야구선수 박찬호였다. 한국을 대표하는 투머치토커로 완전히 자리매김한 듯한 그이지만, 어린 시절 그는 무시로 공산성을 찾았다고 한다. 그곳에서 죽을힘을 다해 연습했고, 그 결과 한국 최초의 메이저리거가 됐다. 오래전 텔레비전에서 보았던 그의 이야기가 공주로 내려가는 내내 머릿속에 새록새록 떠올랐다.


보통 산성 하면 다 무너져가는 산성의 흔적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남한산성 같은 곳을 제외하면 대체로 산성 유적지는 그런 식으로 옛 흔적을 보존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서다. 그런 의미에서 공산성은 유달리 반갑다. 주차장에 차를 대고 5분 남짓 걸으면 잘 단장해 놓은 공산성의 위용이 눈에 들어온다. 그때 입에서 튀어나오는 첫 마디가 딱 이랬다.

“와, 잘해놨네.”


JTG 0076-img-01.jpg


세계적으로 인정받는다는 건 이래서 좋은 거다. 공산성은 사적 제12호다. ‘어쩌면’, 사적 12호에 그쳤다면, 공산성의 모습은 지금과는 적이 달랐을지도 모른다. 2015년 7월 이곳은 백제 역사 유적지구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세계적으로 그 의미와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것인데, 지금 우리가 보듯 이토록 훌륭하게 잘 단장해 놓은 건 그 영향이 컸다고 이야기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산성 아래의 관광안내소를 비롯해 산성으로 오르는 길목까지 깨끗하게 정비돼 있다. 어디를 둘러봐도 요소요소가 완벽한 구성이다. 이쯤 되면 오르막일지언정 오르는 이의 마음도 한결 가벼워지기 마련이다. 터벅터벅 발걸음을 내디뎌 오르면 산성의 서쪽 출입구인 금서루(錦西樓)의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JTG 0076-img-02.jpg


공산성은 원래 입장료가 있다. 성인 1,200원, 청소년 800원, 어린이 600원이다. 그렇지만 지금은 코로나19로 인해 내부 시설물의 운영을 하지 않고 있어 무료로 개방해 놓았다. 그러니까 공산성으로 여행을 생각한다면 바로 지금이 적기다. 선선한 가을 날씨에 산성을 오르는 수고로움도 잊을 수 있으니 말이다. 다만 공산성의 여러 출입구 중 금서루로만 출입할 수 있다는 점은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공산성 최고의 매력은 산성의 성벽을 따라 걸으면 만날 수 있다. 살짝 가파른 오솔길을 따라 오르면 눈앞으로 펼쳐지는 풍경. 공주가 한눈에 담기는 아름다움이 가슴을 탁 트이게 한다. 발아래로 유유히 흐르는 금강에 시선을 뺏기다가도 강을 가로질러 놓인 배다리에 눈이 휘둥그레진다.


JTG 0076-img-03.jpg



과거를 상상하며 여행하는 공간


아래에서 올려다보면 공산성의 위용은 제법 당당하다. 높이도 있어 보이는데 실제로는 해발 110미터의 구릉 위에 쌓은 성벽이다. 금강 변에 인접해 있어 계곡과 산정을 함께 두른 형태를 일컫는 포곡형 산성으로 구분한다. 이곳에 성을 쌓은 것은 475년으로 보고 있다. 백제의 21대 문주왕이 지금의 공주인 웅진으로 천도했고, 24대 동성왕이 산성을 쌓은 것으로 추정한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그 뒤로 26대 성왕 16년 사비로 도읍을 다시 옮길 때까지 웅진을 수비하는 핵심 방어시설로 기능했다.


JTG 0076-img-04.jpg


석축과 토축을 모두 사용해서 축조했다는 것도 눈에 띈다. 석축으로 쌓은 구간은 1,810미터, 흙으로 쌓은 토축 구간은 약 380미터. 공산성을 여행하는 동안 주로 보게 되는 구간은 석축 구간이다. 노란 깃발이 펄럭이는 그 성벽 위를 따라 걷는 것이 공산성 여행의 백미다. 금서루로 들어온 사람들 대부분은 성벽 위로 발걸음을 옮긴다. 금강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이르러서는 너도나도 사진 삼매경. 그곳에서 조금만 더 위로 올라가면 공북루(拱北樓)가 나오는데, 이곳의 2층에 올라가면 공산성에서 가장 너른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JTG 0076-img-05.jpg


JTG 0076-img-06.jpg


성의 안쪽에는 웅진 초기의 왕궁터로 추정하는 왕궁지(王宮址)가 있다. 1985년부터 2년간 시행한 발굴조사 결과 커다란 건물터와 돌로 쌓은 연못 터가 나왔고, 인근에서 각종 유물이 출토됐다고 한다. 왕궁지의 남쪽에 있는 백제 연못은 인공연못인데, 빗물을 받아 저장해 두었다가 불이 났을 때는 소방용으로 사용했다는 설명이 눈에 띈다.


그 뒤편으로도 볼거리가 많다. 공산성의 남쪽 문인 진남루(鎭南樓)를 지나 동쪽으로 올라가면 백제 동성왕 22년에 지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임류각(臨流閣)이 나온다. 과거 연회 장소로 쓰였다는 이 누각은 1980년 발굴조사를 기초로 해서 1993년에 복원한 것이다. 성곽의 오솔길을 따라 곡선과 곡선이 이어지는 위를 걸으면 공주의 이곳저곳이 연이어 눈에 담긴다. 성곽의 북쪽에는 아래로 돌계단이 나 있는 독특한 모양의 연지와 만하루(挽河樓)가 있다. 이 연지는 금강의 물을 가둬서 성안의 물을 확보하기 위한 용도로 쓰였다고 한다. 영조 30년(1754년)에 지금처럼 단을 쌓아서 가지런하게 정비했다.


JTG 0076-img-07.jpg


서쪽에 있는 잠종 냉장고도 이색적인 시설이다. 이름만 봤을 때는 서빙고나 동빙고 같은 얼음 저장시설인가 했는데, 알고 보니 잠업 농가에 누에씨를 보급하기 위한 지하 저장고란다. 겨울에 금강의 얼음을 왕겨에 싸서 넣어두면 여름에도 녹지 않아 누에의 부화 시기를 늦출 수 있다는 것. 1914년에 지었다고 하지만 이곳을 빙고재라고 부르고 기록에도 공산성 안에 빙고가 있었다고 남아 있는 걸 보면 원래는 조선시대의 빙고가 아니었을까 싶다.


공산성을 전부 돌아보는 데 걸리는 시간은 한 시간 남짓. 천천히 산책하듯 걸어도 한 시간 반이면 충분하다. 걷다 보면 세계문화유산에 걸맞게 잘 보존된 옛 시간의 흔적에 자꾸만 발길을 멈추게 된다. 푸른 숲과 광장이 있어 나들이로 제격인 이곳에도 서서히 가을이 내려앉고 있다. 앞으로 1~2주, 단풍이 찬란한 색채를 드러내면 공산성의 안팎은 절정의 순간을 맞이하게 되지 않을까. 가을 여행을 생각한다면 공산성은 꼭 한번 고려해 봄 직한 곳이다.


JTG 0076-img-08.jpg


JTG 0076-img-09.jpg



시원한 맛이 일품, 공주국밥


공산성에서 도보로 5분 남짓한 곳에 공주를 대표할 만한 음식이 있다. 공주국밥이라 부르는, 평범한 듯하지만, 공주에서만 맛볼 수 있는 개성 있는 한 그릇이다. 이 국밥으로 명성을 날리고 있는 곳은 금강 변에 위치한 새이학가든. 1954년부터 공주 오일장에 오는 사람을 상대로 국밥을 팔던 집이다. 3대째를 이어서 지금은 막내며느리가 따로 분가해서 전통을 잇는다. 원래 새이학가든은 국밥과 함께 석갈비가 아주 유명했다. 그러나 지난해 코로나19로 손님의 발길이 뜸해지면서 식재료 관리가 어려워 지금은 석갈비를 취급하지 않는다. 아쉬울 따름이다.


JTG 0076-img-10.jpg


자연스레 국밥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는데, 공주국밥이라는 음식의 유래부터 궁금해졌다. 식당 한쪽 벽에 걸린 ‘재미있는 국밥 이야기’라는 안내판을 보니 이 음식의 대략적인 이야기를 파악할 수 있었다. 공주국밥은 공주장국밥에서 이어진다. 장국밥을 두고 장날 먹는 국밥이라고 이해하고 있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간장으로 간을 해서 장국밥이다. 대구의 육개장처럼 따로국밥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것도 흥미롭지만, 음식의 구성도 무척 유사하다. 대구 육개장이 그렇듯 소고기와 대파, 이 두 가지가 공주국밥에서도 핵심이다.


두 국밥의 차이는 맛을 보면 확연히 느껴진다. 주문을 넣은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바로 국밥이 나왔다. 그래서 공주국밥은 ‘뚝딱국밥’이라고도 불렀다고. 보기에도 대구 육개장에 비해 국물이 말간 편이다. 맛도 그렇다. 공주 쪽이 훨씬 맑고 가벼운 편이다. 이건 아마도 토란대와 무 등 여러 재료가 들어가는 육개장에 비해 양지, 사태, 대파만으로 맛을 내기 때문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빨간 빛깔 때문에 칼칼한 맛을 연상하게 되지만, 정작 성격이 아주 유순하다. 어린아이에게 주어도 무리 없이 먹을 만큼 맵지 않다. 국밥을 먹을 때는 밥 따로 국 따로 먹다가 밥공기가 반쯤 줄었을 때 말아 먹는 걸 선호한다. 밥알의 전분이 풀리지 않은 맑은 국물 자체의 맛을 즐기다가 밥을 말면 일순간 묵직하게 돌변하는 변화를 좋아해서다. 국물만 먹을 때는 그 자체로, 밥을 만 이후에는 또 그것대로 매력적이다. 그러나 확실히 이 국밥의 기원이 장터의 국밥이었음을 느낀 건 밥을 말고 나서다. 연신 푹푹 떠먹는 숟가락질을 좀처럼 멈추기가 어려울 만큼 맛있다. 제법 큼지막한 고기도 숟가락을 들 때마다 딸려 나온다. 대파의 단맛은 입안에서 감칠맛을 더한다. 여기에 알싸하고 시원한 깍두기를 깨물면 국밥과 깍두기는 떼놓을 수 없는 단짝이라는 걸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된다. 밤으로 유명한 공주니만큼 밤으로 만든 알밤 묵무침을 함께 먹는 것도 추천할 만하다.


JTG 0076-img-11.jpg


조금은 느즈막이 찾아가서 한 그릇을 뚝딱 비웠는데 배가 든든하다. 공주에 여행을 왔다면 공주국밥의 시원한 맛은 보고 가는 게 좋겠다. 그 오랜 시간 사랑받은 음식은 이유가 있는 법이니까. 너무 짜거나 달거나 혹은 맵지 않은, 맛의 밸런스를 기가 막히게 잡는 충청남도의 음식은 역시 매력이 넘친다.



JTG 0076-title.jpg


대파는 한줄기로 이루어져 있지만, 위아래의 영양성분이 다르다. 흰 아랫부분은 담황색 채소에 가깝고, 녹색의 윗부분은 녹황색 채소에 가깝다. 이파리에는 베타카로틴 (β-carotene)이 풍부해 노화의 주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준다. 칼슘도 풍부해서 관절 건강에도 좋다. 흰 줄기인 연백부는 비타민 C의 함량이 높다. 사과보다 5배가 더 많다고도 한다. 대파 뿌리에 많은 알리신 (allicin)은 혈액순환을 돕고 면역력을 높여주며 신경을 안정시켜 불면증을 개선하고 완화해 준다. 또 비타민 B1의 흡수를 도와주는 기능을 해서 비타민 B1이 많은 효모, 오트밀, 현미, 호밀 등의 잡곡류나 아스파라거스, 감자, 오렌지, 돼지고기, 쇠고기, 햄, 간, 달걀 등과 함께 먹는 것이 효과적이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