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08. 어떻게 사랑이 변하니?

 

LGJ 0008-main.jpg



변화는 이해하기 쉽다


예전에 한동안 영화잡지 『씨네21』을 정기 구독했던 적이 있다. 그때 생긴 건지 책장에 「봄날은 간다」의 시나리오가 있다. 안을 열어 보니 2002년 10월 특별부록으로 제작된 것이다. 「봄날은 간다」는 한석규, 심은하 주연으로 1998년에 개봉한 「8월의 크리스마스」에 이어 허진호 감독이 두 번째로 만든 영화이다. 배우 이영애와 유지태가 주연을 맡았고 2001년에 개봉하였다. 사운드 엔지니어인 상우(유지태 분)는 지방방송국 라디오 프로그램 프로듀서인 은수(이영애 분)와 업무 때문에 만나게 되고, 소리를 채집하며 녹음되는 소리가 늘어가면서 둘의 사랑이 싹트게 된다.


이 영화에는 아주 유명한 대사(장면)가 나온다. 상우의 대사인 “어떻게 사랑이 변하니?”이다. 2019년 6월 15일에 시흥시 신천동주민센터에서 ‘8체질의 특징’이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했다. 그때 강연 준비를 하면서 영화 영상도 다시 찾아보고 시나리오도 자세히 보게 되었다.


시나리오 대부분이 촬영 현장에서 여러 번 수정된다고 하는데, 상우의 저 대사가 나오는 장면도 실제 영화 내용과 원래 시나리오는 많은 부분에서 달랐다. 일단 장면(scene)의 설정에 큰 차이가 있다. 시나리오에서 이 장면은 100번째 scene인데 상우의 차 안에서 둘이 대화를 나눈다. 그런데 영화에서는 은수가 버스를 타고 떠나다가 버스를 세우고 내려서 두 사람이 길에 서서 대사를 나누는 것으로 바뀌었다. 


LGJ 0008-img-01.jpg


그리고 실제 영화 속의 대사는 아래와 같이 표현이 압축되고 간결해졌다.


LGJ 0008-img-02.jpg


이 장면을 표현한 시나리오의 내용과 실제 영화 속의 느낌도 다르다. 시나리오에서는 은수가 상우에게 미안하다고 하지만, 실제 영화 속에서는 은수가 상우에게 훨씬 쌀쌀맞고 단호하게 행동한다.


LGJ 0008-img-03.jpg


은수의 사랑은 변했고, 시나리오의 내용과 감독의 생각과 느낌도 영화로 만들어지는 동안에 변했다. 그래 봄날은 간다.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는 것 같다. 우리 눈앞에 보이는 것, 우리 옆으로 지나가는 것은 모두 변한다. 우리 자신도 계속 변하고 있다. 그래서 변한다는 현상은 이해가 쉽다. 사실 남녀 사이의 사랑도 그렇다. 열정적인 사랑에 빠진 당사자에게는 둘의 사랑이 영원무궁할 것만 같지만, 시간의 흐름 앞에서 무너지지 않는 것은 없다는 것을 나중에 삶을 통해서 깨닫게 된다.



체질은 변하지 않는다


지금 막 세상을 향해서 첫울음을 터뜨린 아이는 자기 부모에 대한 선택권이 없다. 아무개와 아무개가 이 아이의 부모라는 사실(fact)은 고정되어 있고 절대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아이는 태어나면서 이 아이에게 생명을 전한 부모가 지녔던 인자를 물려받는다. 그것이 바로 유전적 인자이고 아이의 선천적인 특성을 결정하게 된다.


8체질론에서 규정한 체질(體質, constitution)은 바로 위와 같다. 아이의 체질은 어머니 혹은 아버지 한쪽으로부터 물려받는 것이다. 즉 체질은 유전된다. 그러므로 체질은 스스로 선택할 수도 바꿀 수도 없다. 그리고 죽는 날까지 변하지 않는다. 체질이란 인간 개체에 절대적으로 고정된 특성이다.


체질이란 다른 말로 구조인데 8체질론에서 이것은 내장구조(內臟構造)이다. “8체질이란 심장, 폐장, 췌장, 간장, 신장, 소장, 대장, 위, 담낭, 방광 그리고 자율신경의 교감신경, 부교감신경의 12기관의 기능적인 강약 배열의 8개 구조를 말한다.” 8체질이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체질적인 특성 즉 체형, 체취, 음성, 성품, 기호, 취미, 행동, 재능, 질병, 필체 등은 바로 이 내장구조로부터 발현되는 것이다.



고정과 이동


출근길에 시흥 톨게이트가 가까워지면 내비게이션에서 “고정형 이동식 카메라 단속구간입니다.”라고 알려준다. 그런데 고정과 이동이라는 이율배반적인 개념을 함께 가진 이 단속카메라 박스는 내가 이 노선을 달린 지난 3년여간 늘 덮개로 닫혀 있었다. 이 카메라가 이런 명칭을 갖게 된 이유와 역사를 이곳에 옮길 필요는 없을 것이고, 내가 매일 만나는 이 카메라는 규정된 속도를 위반하는 자동차를 단속해야 할 고유한 임무는 수행하지 못하는 멀리서 보이는 외형만 그럴듯한 장치일 뿐이다.



체질이동론


박성일 원장은 홍채진단과 사상의학, 그리고 8체질 분류와 체질침의 치료 이론을 결합하여 임상에 활용하는 한의사이다. 1998년 7월 12일에 한의사, 의사, 과학자, 교수 등 80여 명과 함께 대한홍채의학회(KIMA)를 설립하였고, 2015년에는 대한홍채유전체질의학회를 창립하였다.


2012년 6월에 그때까지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여 소개하는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을 펴냈다. 박성일 원장은 홍채진단은 유전적 체질진단법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일단 “홍채진단으로 결정한 체질은 변하지 않는다.”라고 전제했다. “홍채에 나타나는 신호(sign)는 놀랄 정도로 일관성이 있다.”라는 것이다. 그러다가 책의 3장에서 체질이동론을 말한다. 154쪽에 이렇게 썼다.


“인간의 타고난 고유 체질은 평생 변함이 없다. 다만 성장과 노화라는 시간 축에 따라 오장육부의 기능은 변한다. 그러므로 시간의 변화, 즉 나이 듦에 따라 소양인은 태음인처럼, 태음인은 소음인처럼, 소음인은 태양인처럼 바뀐다. 즉 기질과 체질이 이동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환경과 영양, 심리적 요소, 유전적 약점에 따라 약간의 생리적•병리적 이동도 일어난다.~어린 시절 성질이 급하고 활달하던 소양인 아이가 성년이 되면서 듬직한 태음인처럼 변하는 것이다.”


이 내용을 읽는 순간에는 제법 그럴듯하다. ‘고유 체질은 평생 변함이 없다.’라는 ‘고정’인데, 또 ‘기질과 체질’이 ‘이동’한다는 것이다.


박성일 원장이 2004년에 완성하여 2009년 6월 5일에 발명특허를 획득했다는 [R.S.I.A. 홍채유전체질표]가 있다. 이 또한 그럴듯하다.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태양인에 각각 충동(R, Response), 우울(S, Stimulus), 불안(I, Intelligence), 분열(A, Awareness)을 배당했고, 그리고 열(熱), 습(濕), 한(寒), 조(燥)로 구분하였다. 이 네 가지를 다시 여덟 개(8체질)로 나누었다. 그래서 이 구분에 의하면 금양체질은 AR 조열(燥熱), 금음체질은 AI 조한(燥寒), 수양체질은 IA 한조(寒燥), 수음체질은 IS 한습(寒濕), 목양체질은 SI 습한(濕寒), 목음체질은 SR 습열(濕熱), 토양체질은 RS 열습(熱濕), 토음체질은 RA 열조(熱燥)의 특성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위 단락에서 밝혔듯이 홍채유전체질표에서 목음체질의 속성은 습열이다. 이런 규정은 인접한 체질인 토양체질을 열습으로 정한 것과 관계가 있다.


『동의수세보원』 권지일(卷之一)이나 이하의 사상인 병증론(病證論)을 제대로 살펴본다면 이제마의 태소음양인(太少陰陽人)과 권도원의 8체질은 한•열•조•습으로 구분하여 도식화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이 가능하다면 동무(東武) 공과 동호(東湖) 선생이 벌써 그렇게 했을 것이다. 이 홍채유전체질표는 박성일 원장이 수세보원의 사상인 구분에 서양학자들의 이론과 개념을 무리하게 대입하려고 시도한 결과물이다.


8체질 중에서 목음체질(木陰體質, Cholecystonia)의 기원은 태음인 한증(寒證)이다. 즉 태음인의 위완수한표한병론(胃脘受寒表寒病論)이 이 체질의 질병 특성에 관한 논설이다. 표한(表寒)이 이 체질의 기본적인 속성이고 습을 추가한다면 습열보다는 한습으로 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그래서 처방은 조위탕(調胃湯) 계열이 된다.


박성일 원장은 체질의 이동을 말하면서 “청소년기에는 누구나 소양인 기질이 넘친다.”라고 했다. 이것은 ‘한국인은 누구나 성질이 급하다’라는 말과 닮은 편견이다. 인격적으로 성숙한 것과 약물의 부작용으로 정서적인 상태가 변화한 것에 체질의 이동을 연결한 것은 무리한 전개라고 판단한다.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