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21. [특별편] 자성당 서점

 

LGJ 0021-main.jpg


내가 행림서원 100주년을 기념할 이벤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생각을 한 때는 2019년이다. 이갑섭 사장이 2019년 6월 5일에 별세하고, 그분이 크게 기대했던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이 10월 20일로 정해 둔 발행일을 앞두고 미리 나왔다.


책이 나왔다는 소식을 들은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의 김남일 교수가 강의를 맡고 있는 한의예과 학생들을 위한 특강을 해달라고 초대해 주었다. 강의 초청을 받고 강의안을 꾸리면서 체질침의 역사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내 책을 펴낸 행림서원의 역사도 정리해서 알려주면 좋을 것 같았다. 의사학 시간이니 말이다.


2019년 10월 17일 목요일, 한의예과 2학년 A반은 오전 10시부터 11시까지 258호 강의실인 남천실(楠梴室)에서, B반은 11시에서 12시까지 259호 강의실인 지호실(芝湖室)에서 특강을 하였다.


LGJ 0021-img-01.jpg

2019년 10월 17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특강 모습


LGJ 0021-img-02.jpg

강의안 ‘역사 속의 체질침’ 중 행파 이태호와 『의서총목록』



서울약령시한의약박물관


이후에 창원시에서 주최하여 2020년 11월 20일에 열린 「동무 이제마의 삶과 창원」 학술심포지엄 일로 만나게 된, 당시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원장이던 권영규 교수가 임기를 마치고 2021년에 동교의 한의학교육역사박물관장을 맡았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래서 그에게 행림서원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를 추진해 보라고 제안했던 적이 있다. 그런데 국립기관은 미리 예산을 확보해야 하므로 2021년에 행사를 여는 것은 어렵다고 했다.


그러다가 2021년 10월에 서울한방진흥센터 (서울약령시한의약박물관)에서 2022년 전반기에 전시를 추진한다는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 동일한 전시를 두 곳에서 열 필요는 없겠기에 이 소식을 권 교수에게 알렸다.


반가운 마음에 전시 실무를 맡고 있다는 윤성준 학예연구사에게 연락해서 돕고 싶다는 뜻을 전했다. 그가 행림서원에 대한 특별한 이슈들을 모아 정리해서 서울약령시한의약박물관 블로그에 올린 것도 뒤늦게 보았다. 이 블로그의 2020년 6월 27일 포스팅이 아마도 행림서원 100주년 이벤트에 대한 공개적인 첫 천명일 것이다. 내가 한의대 후배들 앞에서 말한 것은 강의실이라는 닫힌 공간의 한계가 있었다.


LGJ 0021-img-03.jpg

서울약령시한의약박물관 블로그 게시글


서울약령시한의약박물관의 2022년 전반기 전시계획이 후반기인 10월로 밀렸다. 2022년 2월에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주관한 근현대사박물관협력망 지원사업 공모에 ‘행림서원 100주년 도록 제작’으로 참여하여 4월에 최종 선정된 것이다. 도록을 위한 자료를 수집, 정리, 제작하는 시간이 필요해 10월에 ‘행림서원 100주년 자료집’을 발간하고 그 후에 ‘행림서원 100주년 특별기획전’을 진행하기로 한 것 같다. 특별전은 2022년 10월 하순에 시작해서 100주년인 2023년까지 1년간 지속한다고 한다.


경희대학교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와 민족의학신문 1341호와 1343호에 실을 원고를 2022년 7월 23일에 완성했다. 민족의학신문은 매주 목요일이 종이신문 발행일이고 이를 위한 편집 작업은 화요일에 한다. 편집진은 작업이 끝나면 내 원고 해당 면의 PDF 파일을 보내준다. 7월 26일 오후 5시쯤에 파일을 받고 문득 윤성준 학예사 생각이 나서 그의 카톡으로 파일을 보냈다. 이전에 공개된 행파 선생과 관련한 정보 중에 이번에 내가 몇 가지 교정한 것이 있어서 그것을 참고하라고 알린 것이다.



자성당


그가 나에게 메시지를 보내와 대뜸 물었다. “혹시 일제강점기 자성당(自省堂)이라는 서점을 아십니까?” 그러면서 자성당에서 펴낸 1920년대 출판물에 이태호라는 이름이 등장한다는 것이다. 아! 자성당 처음 들어본다. 이 글은 그렇게 출발했다.


LGJ 0021-img-04.jpg

발행 겸 편집인 이태호, 『신의학요감』 자성당 서점, 쇼와 3년 (1928년)


『신의학요감』은 간기면에서 보면 1927년에 초판이 발행되었는데, 이 책은 기초적인 의약지식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의생 시험을 위한 수험준비서이다. 계속 수정되면서 출간된 것을 보면 인기가 많았던 것 같다. 편집 겸 발행인이 이태호이고 자성당 서점에서 발행했다. 신문 광고 면을 통해서 확인해 보니, 더 빠른 시기에 나온 다른 출판물로는 『조선어사전』, 『전과모범정해』가 있었다.



출판법과 저작권


일제강점기에는 「출판법」에 의해서 출판이 강력하게 통제되고 있었다. 출판을 위한 모든 원고는 사전 검열을 통과해야 출판 허가를 받을 수 있었고, 출판한 후에도 납본을 통해서 사후 검열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판매되는 도중에도 제재를 받을 수 있었다.


한국에서 저작권법은 일본의 저작권법으로 시행했기 때문에 법규는 존재하였지만, 조선어 저작권을 등록할 수 없어서 사실상 유명무실한 상태였다. 그래서 민간 차원에서 저작권 매매가 방조 되고 관행이 되었다. 출판사 발행인은 종종 저작자 겸 발행자라고 이름을 올렸는데, 이때 저작자 겸 발행자는 작품의 원저작자가 아니라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는 자를 지칭한 것이다. 어떤 책의 저작권과 발행권을 가진 사람은, 그 발행권을 가진 채로 자신이 관련된 출판사가 아닌 다른 출판사의 이름으로 책을 출판하기도 했다. 예를 들면 보급서관의 김용준이 박문서관에서 『동의수세보원』을 발행한 경우가 있다.



삼중당


구암 서재수(龜巖 徐載壽 1907~1978)는 도서 출판과 잡지, 서적 도매상과 소매업에서 선두를 개척한 출판인이다. 그는 1931년 3월에 관훈동에 있던 지신당이라는 고서점을 인수하면서 출판계에 정식으로 발을 들였다. 이전에는 잠깐씩 근화당 서점과 동양서원에서 일한 경험도 있었고, 책을 자전거에 싣고 행상도 하면서 출판업의 요령을 익힌 경력이 있다. 구암은 지신당을 시작한 지 3개월이 지난 5월 1일, ‘삼중당(三中堂)’이란 이름으로 『하얼빈(哈爾賓) 역두의 총성』을 처음 출판한다.


이 책은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사건의 재판 기록을 바탕으로 작가가 희곡 작품으로 창작하여, 일본 잡지 『중앙공론』 1931년 4월 호에 게재된 것을 번역한 것이다. 이 책을 첫 출판물로 삼은 것을 보면 서재수의 출판 정신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책에 저자 겸 발행인으로 서재수가 아닌 이태호로 표시되어 있고, 삼중당은 발행소 및 총판매소로만 판권에 표기하고 있다. 삼중당이란 이름을 표시하지 않고 회사 주소와 판매처만 표시한 것이다. 이태호는 구암의 출판사 창업을 도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출판 자금은 전액 구암이 출자해 출판했다. 그런데도 발행인의 이름을 그렇게 밝힌 이유가 분명치 않다고 서지(書誌) 연구자들은 말한다.


저작권과 발행권을 가진 사람이 그 발행권을 가진 채로 자신이 관련된 출판사가 아닌 다른 출판사의 이름으로 책을 출판하는 것이 당시에는 그리 어색한 일이 아니었다. 아마도 행파 선생은 희곡을 번역한 번역가로부터 저작권을 구매했지만, 이것을 행림서원에서 출판하는 것에 부담을 느꼈던 것 같다. 그러던 중에 평소 친분이 있던 서재수가 이 사실을 알고 자신이 출판 자금을 대고 출판하겠다고 나섰던 것으로 생각한다.


LGJ 0021-img-05.jpg

『하얼빈 역두의 총성』 삼중당서점, 1931년 5월

자료 출처: 반거들충이 한무릎공부


이런 경우를 자성당 출판물에 이태호의 이름이 들어간 문제와 연관해서 보자고 윤성준 학예사에게 말했다. 그와 나는 27일 온종일 톡을 나눴다. 그는 명확하게 근거가 있어야 한다면서 근거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일단은 이번 도록에 자성당과 관련한 내용은 넣지 않을 예정”이라고 했다. 자신은 지금 처리해야 할 일도 너무 벅차서 이 문제는 전문 연구자의 몫으로 남겨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제시했다.



돋보기


퇴근하고 집에 가서 저녁 먹고 걷기 운동 1시간 하고 씻고 노트북을 열었다. 그리고 그동안 찾아서 모아둔 그림 파일들을 살폈다. 그간 짬이 안나 그림 파일들을 확대해서 보지 못했다. 무엇이 숨어 있을까? 내 눈에는 돋보기안경이 있고 모니터 화면을 키우니 이중으로 확대되는 셈이다. 1927년 12월 25일 자 『동아일보』에 실린 자성당 서점 광고 를 키운다. 그랬더니 왼쪽 아래에 ‘자성당 서점 주 이태호’가 보였다. 행파 선생이 자성당 서점의 주인이었다. 아이고.


이현재 선생은 포목상인 흥일사에 사원으로 들어가서 지배인으로 승진했고 나중에는 흥일사를 인수해서 사주(社主)가 된다. 행파 선생의 경우도 이와 비슷하지 않았을까 짐작한다. 행파 선생은 자성당 서점의 주무(主務)가 된 후에 주인이 되었다.



주소


궁금증이 해소된 다음에는 그간 흩어져 있던 정보들 즉 자성당 서점의 주소와 행림서원의 주소 그리고 행파 선생의 자제들과 연관된 정보들이 착착 맞춰지기 시작했다. 아래에 표로 정리해 보았다. 아마도 이것이 윤성준 학예사에게 필요한 근거로써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침 7월 27일 밤에 이정옥 대표가 행파 선생의 제적등본 파일을 보내주어서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LGJ 0021-img-06.jpg


그런데 막상 더 큰 문제에 직면했다는 걸 깨닫게 되었다. 지난 세월을 오래 지탱했던 ‘행림서원과 1923년 그리고 안국동’이라는 근거가 허물어진 것이다. 이 세 가지는 행림서원을 말하는 여러 글과 자료에 공통으로 들어있었다. 물론 그 정보의 출처는 대부분 이갑섭 사장이었다. 이제 1923년과 자성당 그리고 행파 이태호를 연결해 줄 근거를 찾아야 하는 새로운 과제를 안게 된 것이다. 1923년을 기준으로 삼아 창립 100주년을 기념한다는 기획에서 이런 일이 생길 줄은 예상하지 못했다. 이 또한 삶의 아이러니이다.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