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29. Rocket Man

 

LGJ 0029-main.jpg



로켓맨 (Rocket Man)은 영국 가수 엘튼 존 (Elton John 1947. 3. 25.~ )의 별명이다. 1972년에 발표한 그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 〈Honky Château〉에 수록된 곡인 「Rocket Man」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노래의 가사는 엘튼 존과 많은 곡 작업을 함께 했던 버니 토핀 (Bernie Taupin)이 1951년에 발표된 SF 작가 레이 브래드버리 (Ray Douglas Bradbury)의 단편에서 영감을 받아서 썼다. 2019년에 개봉한 엘튼 존의 생애를 다룬 뮤지컬 영화의 제목이기도 하다.


2022년 6월 19일에 MBC TV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한 사람의 생애에 대한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 여기에 나오는 미국인 마이크 휴즈 (Mike Hughes)의 별명도 로켓맨이다. 리무진 운전기사로 일했던 휴즈는 2002년에 최장 거리 리무진 점프로 기네스에 오르기도 했다. 그런데 21세기에 휴즈는 ‘지구는 둥글다’는 것은 거대한 음모론이라고 굳게 믿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손수 로켓을 만들어 고도 100㎞로 지구와 우주의 경계인 칼만 라인 (Karman line)으로 올라가 지구가 둥근지 평평한지 직접 눈으로 보고 사진을 찍는 것이 평생 목표였다.


그는 스스로 로켓을 제작하려고 공부를 시작했다. 넉넉하지 않은 형편으로 고물상에서 재료를 찾아 증기 로켓을 제작하던 그는, 2012년에 첫 실험이 완전히 실패로 돌아간 후 2년 뒤 첫 비행에 성공했다. 2014년 1월 30일에 혼자서 만든 로켓에 몸을 싣고 420m 상공까지 도달했으나, 낙하산을 타고 착륙하면서 상처를 입어 한동안 목발 신세를 져야만 했다. 다시 로켓을 제작하고 발사 실험을 하기 위해 후원자를 찾았지만 여의치 않다가, 사이언스 채널의 텔레비전 시리즈인 「홈메이드 우주비행사」에 출연하게 되었다.


LGJ 0029-img-01.jpg


LGJ 0029-img-02.jpg

로켓맨 마이크 휴즈


2020년 2월 22일, 캘리포니아주 사막도시인 바스토 (Barstow) 근처 모하비사막 (Mojave Desert)에서 그의 로켓을 발사하는 행사가 촬영되었다. 나중에 공개된 영상에서 그의 로켓은 처음 발사되자 낙하산이 나가떨어졌고, 휴즈를 태운 발사체는 발사 10초 후 그대로 사막에 추락했다. 이날 발사는 1.5㎞ 상공까지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는데, 휴즈의 로켓은 약 600m 상공까지 도달했다가 시속 56㎞ 속도로 추락했다.


LGJ 0029-img-03.jpg


엘튼 존은 피아노를 치면서 “나는 로켓맨이야 (I'm a rocket man).”라고 외친다. 노래 속의 로켓맨은 집으로 돌아갈 것을 생각하면서 그곳에서, “혼자서 퓨즈를 다 태우고 있다 (Rocket man burning out his fuse up here alone).”고 노래한다. 그리고 또 다른 로켓맨 마이크 휴즈는 로켓과 함께 64년을 지탱했던 자신의 몸과 생명을 태워버렸다.


LGJ 0029-img-04.jpg



창의


8체질론에서 금양체질의 특징을 말할 때 가장 중요한 단어는 창의(創意)라고 생각한다. 창의란 새로운 생각이다. 8체질론에서 금양체질을 말할 때 ‘새로운 생각’이란 기존의 질서와 체제를 뛰어넘는 것이라고 흔히 이해되고 있다. 그래서 니콜라 테슬라, 토머스 에디슨, 칼 마르크스, 스티브 잡스같이 인류의 역사를 바꾼 인상 깊은 발명가나 혁명가를 떠올리는 것이다. 지미 핸드릭스나 마이클 잭슨, 이소룡 같은 대중 예술가도 있다.


그런데 금양체질과 창의를 연결하면, 대중은 마치 “금양체질은 모두 천재인가 보다.”라고 오해할 여지가 있다. 8체질론에서 각 체질의 특징을 나열하면서 비교하여 설명하거나 보기 쉽게 정리된 특징 표를 제시하는 것은, ‘체질이란 다름’이라는 체질론의 기본적인 원리를 잘 이해시키기 위함이다. 결론적으로 말한다면 금양체질인 사람들이 모두 특별히 천재적인 창의성을 가진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그리고 지극히 평범하게 보이는 금양체질도 많다.



엉뚱한 생각


새로운 생각이란 흔히 엉뚱한 생각이기도 하다. 천동설이 상식이던 시대를 살았던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지동설은 종교재판에 회부될 정도로 불경스럽고 엉뚱한 생각이었다. 그러므로 개명한 세상이 된 21세기에 지구 평평설 (Flat Earth)을 믿는 것 또한 엉뚱한 생각이다. 로켓맨 마이크 휴즈의 사례로 본다면 ‘금양체질은 엉뚱한 생각을 품은 사람’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금양체질을 좀 더 쉽고 부담 없게 바라보는 방법이 아닐까 생각한다.


‘엉뚱하다.’를 상정하면 금양체질이 ‘비현실적이고 비노출적이며 비사교적인 사람’이라는 설명도 쉽게 받아들여진다. 금양체질이 품은 엉뚱한 생각이 꼭 실현될 필요도 없는 것이다.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