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35. 허식의 이파리

 

LGJ 0035-main.jpg



하나의 나뭇잎이 흔들릴 때


LGJ 0035-title-01.jpg

하나의 나뭇잎이 흔들릴 때 나는 하나의 공간이 흔들리는 것을 보았다.

조그만 이파리 위에 우주의 숨결이 스쳐 지나가는 것을 보았다.

하나의 나뭇잎이 흔들릴 때 나는 왜 내가 혼자인가를 알았다.

푸른 나무와 무성한 저 숲이 실은 하나의 이파리라는 것을...

Lgj 0035-title-02.jpg


LGJ 0035-img-01.jpg

이어령, 『하나의 나뭇잎이 흔들릴 때』 玄岩社


1980년 가을, 내가 다닌 계성고등학교 도서관의 서가에서 책을 하나 집어 들었다. 순전히 제목 때문이었다. 현암사에서 펴낸 『하나의 나뭇잎이 흔들릴 때』이다. 이어령(李御寧) 선생의 어린 시절에 관한 이야기였다. 그렇게 이어령을 처음 알았고 청년기 이어령의 삶 속으로 자연스럽게 스며들었던 추억이다.


이어령 선생은 ‘한국의 대표적인 지성’으로 꼽히던 분이다. 문학평론가, 언론인, 교수, 소설가, 수필가, 희곡 작가, 올림픽 개폐회식 총괄 기획자, 장관 등 다양한 역할로 인생을 살았고, 2022년 2월 26일에 작고했다. 1933년 12월 29일 출생이니 향년 88세였다.



남이 어떻게 볼까?


2019년 10월에 조선일보 문화전문 기자인 김지수 씨와 인터뷰를 했다. “건강해 보이십니다.”라는 김 기자의 첫인사에 이어령 선생은 이렇게 받았다. “나 같은 환자들은 하루에도 듣는 코멘트가 여러 가지야. 수척해 보여요. 건강해지셨네. 시시각각 변하거든.” 그러면서 “알고 보면 가까운 사람도 사실 남에겐 관심이 없어요. 허허. 왜 머리 깎고 수염 기르면 사람들이 놀랄 것 같지? 웬걸. 몰라요. 남은 내 생각만큼 나를 생각하지 않아.”라고 하고, “그런데도 남이 어떻게 볼까? 그 기준으로 자기 가치를 연기하고 사니 허망한 거지.” 하면서 또 ‘허허’했다고 기사에 보인다.


선생이 한국 사회에서 살아오는 동안 그 분만한 관심을 받았던 사람은 그리 많지는 않을 것이다. 그런데도 남들이 자신을 생각해 주지 않았다고 말한다. 오래도록 밀리고 쌓인 서운함이 묻어나는 말이다. ‘허허’ 그렇다. 사실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의 삶을 유지하고 살피기에도 버겁다. 상대가 당대의 슈퍼스타가 아닌 다음에야 남에 대한 관심은 그리 크지 않다. 이어령 선생은 스스로 답을 알고 있었다. ‘남이 어떻게 볼까? 그 기준으로 자기 가치를 연기하고 살았다.’는 것이다.


그러고는 ‘허허’에다가 그간의 서운함을 매달아 날려버린 것이다. 선생은 160권이 넘는 방대한 저작물을 남겼다. 저작이란 노출(露出)이다. 그런 드러냄의 이면에는 관심에 대한 욕구가 있다. 선생은 끊임없이 남들의 관심을 욕망했던 것이다. 그리고 많은 날을 홀로 노심초사했을 것이다. 세상의 평가 말이다. 물론 그것을 어느 정도는 극복했으니 저렇게 말할 수 있다.



평등


선생은 말년에, 기독교에 귀의했다. 선생보다 일찍 떠난 따님의 영향도 있었다. 선생은 “신은 생명을 평등하게 만들었어요. 능력과 환경이 같아서 평등한 게 아니야. 다 다르고 유일하다는 게 평등이지요.”라며 생명의 평등함에 대해서 말했다. 그러면서 “햇빛만 받아 울창한 나무든 그늘 속에서 야윈 나무든 다 제 몫의 임무가 있는 유일한 생명이에요. 그 유니크함이 놀라운 평등이지요.”라고 하면서 “살아있는 것은 공평하게 다 죽잖아.”하고 덧붙였다. 생명은 저마다 유일하고, 또 모두 죽는다는 평등이라는 것이다.


1900년 경자년 가을에 편집되었다고 추정되는 〈보제연설〉에서 편집자 자신인 ‘나(余)’는 이렇게 썼다. “당인의 시에, 세상에 공평한 이치는 백발이라는 구절이 있다. 내가 이 부분을 모방하여 적어 보면 세상에 공평한 이치는 목숨이다 (唐人詩曰 公道世間有白髮 余倣而足之曰 公道世間有壽命).” 이어령 선생의 인터뷰 기사를 읽다가 이 부분이 떠올랐다. 한 살에도 죽고 열 살에도 죽고 백 살에도 죽는다. 남들은 내게 관심이 없지만 죽음은 삶에 항상 직면해 있는 것이다.


모든 생명은 이 세상에 온 저마다의 임무가 있다. 그것을 따라 말하고 또 표현해야만 한다. 선생이 ‘삶은 선물’이었다고 고백한 것이 아름답다.



허식의 이파리


열여덟 살, 선생의 글을 처음 읽었을 때 나는 하나의 나뭇잎이 되었고, 나란 공간 전체가 그분의 글을 따라서 흔들렸었다. 책 속의 구절구절이 내 몸 구석구석에 가서 박혔다. 그리고 그런 곳으로부터 새로운 가지가 뻗으면서 여린 이파리들을 펼쳐내는 것만 같았다. 그때까지 내가 만났던 어떤 글도 그렇게 공감되지 않았던 것이다.


선생의 인터뷰 기사에서 “알고 보면 가까운 사람도 사실 남에겐 관심이 없어요.”를 보던 순간 깨달았다. 선생이 목음체질이라는 것을. 그리고 그 문장이 나를 다시 세게 흔들었다. 이미 말라비틀어졌지만, 여전히 내 몸의 가지마다 붙어 버티고 있던 허식(虛飾)의 이파리들이 떨어져 나가는 것이 보였다.



References


[1]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이어령 마지막 인터뷰 "죽음을 기다리며 나는 탄생의 신비를 배웠네" 2019.10.19. 조선일보


[2]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선한 인간이 이긴다는 것, 믿으라” 이어령, 넥스트 2022.01.01. 조선일보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