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40. 먹다

 

LGJ 0040-main.jpg



사람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일은 먹고 싶은 것을 참는 일보다는 훨씬 어렵고 힘들다. 동무 이제마 공은 깊은 병의 근원이 감정(哀怒喜樂)과 욕심임을 알았고 그것을 강조했다. 권도원 선생은 대중에게 그것을 강조하는 일이 어려운 것임을 일찍 깨닫고 ‘먹는 것에 대한 절제’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방법도 그리 녹록하지는 않다.


오늘 오신 여든 살 어르신은 고혈압에 당뇨 그리고 고지혈증 약을 오래 드시고 있다. 또 관절이 아파서 진통제도 종종 드시고 근래에는 초기 알츠하이머병으로 진단을 받고 그 약도 드신다. 거기에 변비약은 경동시장에서 파는 환약이란다. 먹는 약이 많다. 귀가 어두워서 보청기 신세다. 얼굴에 가까이 다가가서 “식사는 잘하시냐?”고 여쭸더니, “다 늙어도 입은 안 늙는다.”고 하신다. 오호, 순간 한 방 먹은 기분이 되었다.


먹는 것은 기본적으로 생존을 위한 본능이다. 유튜브 (YouTube)는 현시대의 창(窓)이다. 그리고 대세는 먹방이다. 그런데 한편으로 연합뉴스가 2023년 7월 13일에 보도한 ‘지구촌 식량난 악화’ 기사에서 「2023 세계 식량안보 및 영양 현황 (SOFI)」보고서에 따르면, 기아에 직면한 인구는 평균 7억 4천만 명 정도이며, 식량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지 못한 인구도 24억 명 정도라고 한다. 2022년 11월 15일에 세계 인구가 80억 명을 돌파했는데, 세계 인구 중 9.3% 정도는 기아에 직면해 있고 30%에게는 정상적으로 식량이 공급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글로벌 지구의 중요한 특징인 양극화는 이곳에서도 여지없이 통한다.


탐욕스러운 먹보들에게 절제하고 또 가려서 먹으라고 참견하기도 어렵고, 눈앞에 절박한 생존 문제에 직면한 사람에게 체질식을 권고한다는 것은 애당초 시도해 보기가 쉽지 않으며 욕먹을 일인지도 모른다.


LGJ 0040-img-01.jpg



말과 문화


아래의 문장들을 보고,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을 생각해 보자.


⦁ 아편을 (    ).

⦁ 연탄가스를 (    ).

⦁ 그는 벌써 여러 여자를 (    ).

⦁ 나는 마음을 독하게 (    ) 그녀를 외면하였다.

⦁ 네 살 (    ) 아이.

⦁ 솜이 물을 (    ) 무겁다.

⦁ 하루 종일 욕만 되게 (    ).

⦁ 체육 대회에서 우리 반이 일 등을 (    ).

⦁ 남은 이익은 모두 네가 (    ).

⦁ 뇌물을 (    ) 탈세를 눈감아 주다.

⦁ 상대편에게 먼저 한 골을 (    ).

⦁ 경리 직원이 회사의 공금을 (    ).

⦁ 사과에 벌레가 많이 (    ).

⦁ 이 고기에는 칼이 잘 (    ) 않는다.

⦁ 약속을 잊어 (    ).

⦁ 얼굴에 화장이 잘 (    ) 않고 들뜬다.

⦁ 노예처럼 부려 (    ).

⦁ 공사에 철근이 생각보다 많이 (    ) 걱정이다.

⦁ 야구공으로 유리를 깨 (    ).

⦁ 그 노릇도 이젠 해 (    ) 힘들다.

⦁ 부모님의 유산으로 사업을 시작하니 내가 너보다는 한 수 (    ) 들어가는 셈이지.

⦁ 내가 시키는 대로만 하면 적어도 천만 원은 (    ) 떨어질 수 있을 거야.

⦁ 음식을 배불리 (    ).


우리가 익히 알고 있듯이 괄호 안에 들어갈 말들의 기본형은 ‘먹다’이다. 먹는다는 말을 이렇게 다양한 의미로 쓰는 민족은 아마도 우리 한민족 말고는 없을 것 같다. 들어가고 삼키는 유형무형의 모든 행위에 쓰는 것도 모자라, 차지하고 정복하고 심지어는 망치는 행위까지도 ‘먹다’를 쓴다.


왜 그럴까? 어떤 학자는 이런 현상의 원인을 보릿고개로 표현하는 우리 민족의 오랜 배고픔의 역사에서 찾았다. 그리고 그것을 보편적인 한국인들의 식탐 경향과 연결 지어서 말한다. 즉, 옛날에 지지리도 못 먹고 살아서 대리만족 삼아 먹다와 유사한 행위를 무조건 먹다로 표현하고, 오랜 배고픔의 기억이 유전자로 남아서 이것저것 먹을 것을 탐한다는 것이다. 제법 그럴싸한 해석이다. 과연 그럴까? 사실 인류의 역사 속에서 어떤 민족, 어느 나라든지 소수의 지배층을 제외하고 배불리 먹고산 서민들은 없었을 것이다. 유독 한반도에 정착한 우리 민족만 배고팠던 건 아니라는 말이다.


체질학은 역사와 문화 속에서 체질이 남긴 단서를 잡는다. 우리의 언어 속에서 먹다가 ‘음식을 먹다’라는 기본적인 의미를 넘어 다방면에 광범위하게 쓰이는 현상에는, 우리 민족의 구성원 중 다수가 먹는 것을 대단히 즐기는 사람들이라는 의미가 숨어 있다고 생각한다. 배가 고팠기 때문에 먹다에 목을 맨 게 아니라, 늘 잘 먹기 때문에 먹다와 연관된 것이라면 무심코 먹다를 붙여서 이해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즉 우리 민족은 넘치는 섭취 욕구를 지닌 사람들의 분포가 많다는 뜻이다.


무엇이든지 잘 먹고 소화를 잘 시키는 사람들은 비교적 여유롭고 너그럽지만, 음식에 탈이 잘 나는 사람들은 비교적 까칠하고 까다롭다.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잘 먹고 소화를 잘 시키기 때문에 너그러워졌다거나, 먹는 것마다 탈이 잘 나서 까칠해졌다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잘 먹고 여유로운 경향이나, 먹는 것에 탈이 잘 나고 까다로운 특징은 그런 사람들이 본디 지닌 성질이다. 바로 그런 사람들의 체질이다.



일침이약삼식


한의학에 일침이구삼약(一鍼二灸三藥)이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해석하는 사람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로 푼다. 질병을 치료할 때 선택하는 순서로 보기도 하고, 급한 병과 만성병에 대처하는 방법의 순서이기도 하며, 침과 뜸 약이 하늘과 땅 그리고 사람을 상징한다는 천지인(天地人) 사상을 동원하기도 한다. 나는 침과 뜸 그리고 약이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신속함의 순위를 매긴 것이라고 이해한다.


8체질의학의 치료 도구는 체질침과 체질한약 그리고 체질영양 이렇게 세 가지이다. 그래서 나는 일침이구삼약을 변형해서 일침이약삼식(一鍼二藥三食)이라고 해 보았다. 물론 이것은 각각의 치료법이 나타내는 치료 효과의 빠르기 순서이다. 하지만 세 번째에 놓인 체질영양(법)이 세 번째로 중요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체질침을 시술하는 행위는 우리 몸에 대한 가장 적극적인 개입이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조절하기 때문이다. 체질침은 우리 몸이 처한 불균형을 해소하는 방법인 억강(抑强)과 부약(扶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보법(補法)과 사법(瀉法)의 두 가지 치료가 가능한 것이다.


체질약물이나 체질영양법에는 사법이 없이 보법만 있다. 그러므로 체질침에 비해서 치료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 그런데 우리는 침을 맞지 않고도, 약을 먹지 않아도 살 수 있지만 영양을 섭취하지 않고는 살 수 없다. 8체질 치료에 있어 영양법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인 것이다. 침과 약으로 제아무리 훌륭한 치료를 한다고 해도 체질영양법 즉 체질식사법을 잘 지키지 않으면 그 치료 효과를 지속시키기가 어렵다.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한 만성병, 난치병일수록 체질식사법을 철저하게 지켜야 한다.


만약 체질식사법을 잘 지키는 바탕 위에서 체질침과 체질약물 치료를 받으면, 침과 약과 밥이 삼위일체가 되어 그의 몸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체질영양


8체질의학에서 보는 영양은 서양 과학의 영양과는 개념이 다르다. 체질이란 내장 구조이고 내장 구조에서 각각의 내장은 강약의 순서에 따라 배열된다. 그리고 모든 음식은 몸 전체와 전 내장을 하나로 보는 영양공급이 아니고, 위의 영양이 되는 음식, 간의 영양이 되는 음식, 폐의 영양이 되는 음식 등 장기별 영양의 공급이라는 것이다. 즉 사람이 섭취하는 음식물은 그 음식물을 필요로 하는 장기가 각각 정해져 있다는 뜻이다.


권도원 선생은 1996년 6월에 일본 자연의학회 강연에서 “영양분은 인간의 내장 기능을 돕는 역할을 한다는 인식과 인간의 내장은 8체질별로 강약의 배열에 의해서 각각 다르다는 것을 인식해야만 한다. 약한 장기에는 영양소를 공급해야 하고, 강한 장기에는 영양소를 공급할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또 1999년 10월 28일에 연세대학교 송암관에서 열린 강연에서는 “선천적으로 위를 강하게 타고난 체질은 위의 영양이 되는 음식을 단절하고, 폐를 강하게 타고난 체질은 폐의 영양이 되는 음식을 단절하는 반면에, 그 체질들이 약하게 타고난 장기들의 영양이 되는 음식을 공급하므로 병의 원인이 되는 후천적인 과불균형을 미연에 막아야 한다.”고 하였다.


그런데 이렇게 실천한다면 혹 영양이 결핍되지 않을까 염려할 수 있겠지만, “체질적인 영양공급이 지속될수록 오히려 균형 짜인 영양이 될 뿐 결핍이 될 수 없으며 환자의 경우에도 치유 속도가 가속화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런 체질영양법을 위해서 장기별로 음식 분류가 선행되어서, 각 체질이 먹어야 하는 음식과 먹어서는 안 되는 음식이 결정되어 있다.



체질식


체질식(體質食)이란 체질별로 분류된 유익한 식품과 해로운 식품에 따라서 유익한 방향으로 식생활을 하는 것이다. 이것은 일반적인 영양법에서 보면 아주 극단적인 편식이다. 그렇다. 체질식은 매우 적극적인 편식이다.


먹는 것은 생존을 위한 본능이고, 한민족은 본디 먹는 것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의 비율이 높다. 그러니 어떤 목적 어떤 이유로 먹는 것을 억제해야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설사 그것이 자신의 건강과 질병 치료를 위해 중요하다고 설득한다고 하여도 실천해야 하는 당사자에게는 대단히 어렵다.


체질침은 의사가 직접 시술하고 체질약물도 치료하는 사람이 준비해서 준다. 하지만 체질식은 오로지 치료받는 사람의 몫이다. 의사가 관여할 수 있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좁다. 그러니 의사는 환자를 만날 때마다 계속 잔소리할 수밖에는 없다. 8체질의학을 기반으로 해서 환자를 치료하려고 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이 체질식 지도라고 생각한다. 많은 환자가 이것을 견디지 못하고 치료 과정에서 탈락한다.


그래서 8체질의학 치료를 표방하는 의사들이 체질식 지도를 적극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참 애석한 현실이다. 8체질 의사는 질병과도 싸워야 하지만, 기존에 구축된 ‘상식이라는 거대한 벽’과도 싸워야만 하는 것이다. 8체질의학 치료는 의사에게도 환자에게도 어려운 길이다.



마음 바꿔 먹기


권도원 선생이 체질식을 열심히 하라고 강조한 것은 체질식을 열심히 해야 장수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체질식을 잘 실천하면 건강해진다는 것은 맞지만, 환자에게 이렇게 권고하는 것이 편하고, 환자들이 듣고 싶어 하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권도원 선생은 삶에서 실천의 방도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체질식을 열심히 하면, 장수라는 목표에 앞서서 몸이 먼저 변하는 것을 느끼게 된다. 질병에 빠진 상태였다면 병을 이겨낼 힘이 생기고 병세가 호전된다. 병이 없었다면 몸과 마음이 깨끗해졌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 바탕은 바로 절제를 실천한 힘이다. 먹고살아야 하는 본능을 넘어선 성취이다. 그렇게 자기 몸을 변화시킨 건 바로 마음의 변화였다는 것도 알게 된다. 그건 바로 애초에 품은 체질식 실천의 의지였다. 그리고 또 그에 앞섰던 것은 믿음이었다. 체질식이 자신을 건강하게 해줄 거라는 믿음 말이다.


먼저 믿었다. 이것이 시작이다. 믿지 않으면 실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욕심을 참으며 버텼다. 그리고 반드시 먹어야 할 것을 지켰다. 그 일을 지속했다. 그런 다음에 자신의 몸이 깨끗하게 변한 것을 느끼게 된다. 또 체질식을 더 지속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충만해진다. 그런 후에는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삶이다. 장수는 그다음이다. 체질식의 근본원리는 자기 절제이다. 아울러 출발은 ‘마음 바꾸기’였다.


체질식을 철저히 하면 할수록 당연히 몸은 건강해진다. 그런데 체질식을 철저히 하면 할수록 삶은 좀 불편해진다는 아이러니가 있다. 내가 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의 영역과 범위는 점점 더 축소되고, 잘못 섭취한 음식으로 인한 민감(敏感) 반응은 더욱더 선명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내 몸의 면역이 제 할 일을 제대로 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