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41. 이간 離間

 

LGJ 0041-main.jpg



우애


장성한 아들과 딸 둘을 둔 어머니다. 작은딸과 사위가 혼자되신 어머니를 살펴드리러 왔다. 여러 가지 맛난 반찬도 장만해서 말이다. 셋이 함께 있는데 먼 곳에 사는 아들에게서 전화가 온다.

“어머니 잘 계세요?”

“응, 나 혼자 있어.”

다음에 이어진 통화 내용은 생략한다. 작은딸이 따진다.

“엄마, 우리랑 함께 있는데 왜 혼자 있대?”

“응, 니 오빠가 널 싫어하잖니? 그래서 그랬어.”


작은딸은 나중에 “딸들이 가까이 있어도 아무 소용도 없다.”는 이야기를 어머니가 오빠에게 했다는 것을 다른 사람을 통해서 듣게 된다. 명절에 모이면 “형제들이 우애 좋게 지내라.”는 말씀을 버릇처럼 하시는 분이 말이다. 아들과 딸들을 이간(離間)하여 당신에게 무슨 좋은 일이 있는지 참으로 궁금하다.


LGJ 0041-img-01.jpg



도반


체질의학을 공부하면서 10년 넘게 함께 고민하고 의견을 나누던 동료가 있었다. 서로 도반(道伴)이라 칭하면서 친했다. 내가 그를 추천해서 같은 기관에서 근무하기도 했다. 어느 날 나를 따르는 후배 한 사람이 고민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톡 대화를 캡처해서 내게 보냈다. 그 안에는 그 도반이 나를 험담한 내용으로 가득했다. 나는 평소 남에게 부탁하거나 싫은 소리를 잘 못하는데, ‘아니다’ 싶으면 굉장히 단호해진다. 후배와의 대화 이후에 도반과 나의 관계는 끝났다. 그래서 (물론 내게도 원인이 있었겠지만) 그가 왜 그랬는지 아직도 이유를 모른다.



제갈량


동무 공이 남긴 원고 중 하나인 〈사상초본권〉 제2권 제4통에 중국 역사에서 유명한 인물 30인을 예로 들어 사상인으로 분류한 것이 있다. 《삼국지》의 여러 영웅 사이에서 가장 빛나는 인물은 제갈량(諸葛亮)일 것이다. 동무 공은 제갈량을 소음인(少陰人)으로 보았다. 그 이유는 아마도 삼고초려(三顧草廬) 일화 때문이 아닌가 한다. 이 이야기에는 여기에 나오는 두 사람의 성품과 태도를 보여주는 중요한 정보가 담겨 있다. 물론 주인공은 유비(劉備) 현덕이 아니라 제갈량 공명(孔明)이다.


유비는 제갈량을 얻기 위해 그의 오두막으로 세 번 찾아간다. 일단 유비에게는 끈기가 있다. 그가 절실하게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제갈량은 가볍게 움직이는 사람이 아니다. 그리고 자신을 쉽게 드러내려 하지 않는다. 그러니 쉽게 표출하려는 욕구는 없다고 보아야 한다. 이는 토성(土性)이 강하지 않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토양체질, 토음체질, 금양체질은 아니다.


소음인은 수양체질과 수음체질이다. 제갈량은 세밀하고 철저하며 직관력을 지닌 사람이었다. 직관력은 금기(金氣)이다. 금기가 강한 소음인은 수양체질이다. 수양체질은 삶의 기본적인 태도가 의심(懷疑)이다. 제갈량은 유비의 의도와 진심을 선뜻 믿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사촌의 땅


지난 34편 「사촌이 산 땅」에서 《영추》 「통천」에 있는 소음지인(少陰之人)과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속담을 연결했었다. 소음지인에서 소음인이라는 용어가 유래했는데, 명칭뿐만 아니라 이천몇백 년 전의 개념도 그대로 유효하다. 「통천」에 나오는 태음지인, 소음지인, 태양지인, 소양지인에 대한 설명이 「통천」 편집자의 상상력에 의해 도출된 것이 아니고 모델이 된 인물을 관찰한 기록이었기 때문이다. 「통천」에 묘사된 인물들은 훈육(訓育)되지 않은 날 것 그대로의 사람을 보여준다. 그래서 더 생생하다.


소음지인은 ‘다른 사람이 잘 되는 것을 보면 오히려 성질을 내고, 질투하는 마음이 있으면서 인정이 없는’ 사람이다. 또한 ‘탐욕은 적은데 다른 사람을 해치고 싶은 마음이 있다. 다른 사람이 망하는 것을 보면 항상 무엇을 얻은 것처럼 좋아하고, 다른 사람의 마음에 상처를 입히고 해코지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이다.


「통천」의 소음지인은 사상인으로는 소음인이다. 소음인은 8체질에서 수양체질(水陽體質)과 수음체질(水陰體質)로 나뉜다. 두 체질을 구분하는 요소 중의 하나로 너그러움(寬)이 있다. 너그러움은 목기(木氣)이다. 두 체질을 비교한다면 수음체질이 상대적으로 너그러울 수 있으니, ‘사촌의 땅 소식에 배가 아파지는 사람’은 수양체질에 가장 가까울 것이다.



이간계


이간계(離間計)란 두 사람 사이에서 서로를 헐뜯어서 관계가 멀어지도록 만드는 계책이다. 위험을 무릅쓰고 상대를 힘들게 공격하는 것보다 말을 통해서 손쉽게 상대를 무너뜨리는 방법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약한 쪽에서 강한 적을 분열시키고 자기들끼리 싸우게 하여 자멸하도록 만드는 고도의 책략이다.


《삼국지》에서 이간계는 결정적인 순간에 자주 등장한다. 거짓으로 나쁜 소문을 퍼트려 서로 의심하게 만드는데, 소문이란 주로 ‘왕권을 노린다’라거나 ‘남의 여인과 애정 관계에 있다’라거나 ‘적진에 투항했다’라는 내용 등이다.


제갈량은 뛰어난 전략가인데 이간계도 잘 썼다. 제갈량은 북벌을 강행하면서 위나라 장군인 강유와 부딪친다. 강유의 전략 전술이 뛰어났으므로 이간계를 쓰기로 한다. 위나라 장수인 강유가 촉나라에 야심을 가지고 투항했다는 거짓 소문을 퍼트린다. 강유는 위나라로 돌아가지 못하고 떠돌다가 결국은 제갈량에게 항복한다.


《삼국지》의 클라이맥스인 적벽대전도 제갈량의 이간계와 황개(黃蓋)의 지략이 연합하여 강대한 조조(曹操)에게 치욕적인 패배를 안겼던 전투이다.


이간계는 인간에게 내재한 욕망과 불안을 자극한다. 욕망이란 결국 남의 것을 빼앗으려는 탐욕이고 불안이란 가까운 사람에 대한 의심이다. 권력의 상층부에 도달한 사람일수록 더욱 거대한 힘을 원하고, 자신을 보좌해 주는 측근에 대한 의심은 오히려 더 깊을 수 있다. 전쟁에서 이간계는 이런 곳에 침투하는 것이다.



수양체질


체질적 성향이란 그 사람의 바탕에 있다. 수양체질에게는 분명 이간하려는 욕망이 있다. 성질이 급하지 않다면 토양체질이 아니고, 엉뚱한 생각을 품지 않는다면 금양체질일 수 없다. 수양체질이 가진 이간의 욕망은 질투와 의심과 불안의 표출인 듯하다.


수양체질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확실하고 안정되며 예측할 수 있는 현실이다. 그가 세상에서 처음 만난 돌다리는 비록 단단한 듯 보이지만 안전이 확보된 것은 아니다. 미리 두드려 보지 않고 무심코 딛고 건너가다가 어느 순간 바닥 돌이 무너질 수도 있는 것이다. 다른 사람도 그렇다. 의심한다. 세상의 재화나 성공은 한정되어 있다. 누군가 부자가 되거나 출세한다면 자신은 상대적으로 부족하거나 낮은 처지가 되는 것이다. 설사 그가 내 남편이라 하더라도 그가 그렇게 될는지 미심쩍고 또 그가 잘될 것을 질투한다. 혹시 그가 잘 되기라도 해서 자신을 무시하게 될까 봐 불안해지는 것이다.


자기 속에 본디 있는 것은 자연스럽게 잘 발휘된다. 제갈량이 이간계를 씀에 뛰어났던 것처럼 말이다.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