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저자 한창훈은 1963년 여수시 삼산면 거문도에서 태어나면서 바다와 떨어질 수 없는 인생이 시작되었다.
세상은 몇 이랑의 밭과 그것과 비슷한 수의 어선, 그리고 끝없는 바다로만 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일곱 살에 낚시를 시작하고 아홉 살엔 해녀였던 외할머니에게서 잠수하는 법을 배웠다.
이런 저런 일을 하며 젊은 시절을 보냈고, 그 뒤로는 한국작가회의 관련 일을 하고 대학에서 소설창작 강의를 하기도 했다.
바다를 배경으로 한 변방의 삶을 주로 써왔다.

먼바다에 대한 갈증을 풀기 위해 대양 항해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동료 작가들과 현대상선 컨테이너선을 타고 부산-두바이, 홍콩-로테르담 두 번의 대양 항해를 했고
2013년에는 아라온호를 타고 북극해를 다녀왔다.

8년 전 고향으로 돌아와 원고 쓰고, 이웃과 뒤섞이고, 낚시와 채집을 하며 지내고 있다.
대산창작기금, 한겨레문학상, 제비꽃서민소설상, 허균문학작가상, 요산문학상을 받았다.

소설집 <바다가 아름다운 이유> <청춘가를 불러요> <그 남자의 연애사>,
장편소설 <홍합> <나는 세상 끝을 산다> <꽃의 나라>,
산문집 <한창훈의 향연>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내 술상 위의 자산어보> 등을 썼다.
어린이 책으로는 <검은섬의 전설> <제주선비 구사일생 표류기>가 있다.

KMCRIC은 출판사와 저자의 게재 허락을 받아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중에서 생선과 해조류 편 일부를 연재합니다.
지면을 빌어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바다의 생명 기운과 맛이 독자 여러분께 듬뿍 전해지길 빕니다.

한창훈
한창훈

우리가 식탁에서 그저 식재료로만 여겼던 온갖 갯것들이 <내 밥상위의 자산어보> 칼럼을 통해 저마다의 생명력을 얻어 고유한 이력과 맛들을 뿜어냅니다. 육지사람은 잘 모르는 생선과 해조류의 효능을 소개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04. 미역, 어김없는 물오름의 맛

 

HCH02-02.png



섬으로 다시 들어온 나는 숲 속 외따로 떨어진 집을 얻어들었다. 전 주인이 두고 간 고양이가 있었다. 녀석은 나를 새로운 파트너로 정했고 끼니때마다 현관문을 긁으며 울었고 그리고 받아먹었다. 오로지 고양이 밥을 장만하기 위해 낚시를 가기도 했다.


녀석은 종종 두더지를 잡아오는 것으로 자신의 밥값을 증명해 보이곤 했다. 그러지 말라는 말은 듣지 않았다. 심지어는 멀리 치워놓은 두더지를 찾아내 현관 앞에 다시 갖다두기도 했다.


여러 날 불편한 울음소리를 내더니 한참 뒤 아무도 모르게 새끼를 낳았다. 아무도 모르게 만들되 동네방네 모두 알게 자식을 낳는 사람과는 반대였다. 아랫배가 축 처져 있기에 찾아봤더니 창고 속 합판 무더기 아래 눈도 못 뜬 다섯 마리가 꼬물거리고 있었다.


내가 바라보고 있자 녀석은 어색하게 울어댔다. 그래, 고생했다 싶어 마침 남은 미역국을 데워주었다. 이곳에서는 쇠고기 대신 우럭이나 노래미를 넣기 때문에 그것 골라 먹으라는 소리였다.


그런데 생선살은 그냥 두고 미역부터 쭉쭉 뽑아먹기 시작했다. 고양이와 미역. 그것은 개와 마늘만큼이나 어색한 조합 아닌가. 낯선 것 탐하는 모습을 보며 나는 고개를 끄덕였다. 습관이나 환경을 한순간에 뛰어넘어버리는, 생명 메커니즘의 중심에 미역이 있었다.
 
우리의 어머니들도 그랬다. 산모 첫국밥으로 쓰이는 해산미역은 그렇다 치고 일상에서도 그렇게 쓰였다. 


그 시절, 집집마다 어머니와 할머니는 먹을 것 준비하느라 모든 시간을 보냈다. 파래무침 하나를 해도 바다에 나가 뜯고 잡물 골라 씻어내고 다듬는 데에만 종일 걸렸다. 꼼지락 낑낑 꼬무락 끙끙, 만들어놓으면 자식 손자들은 오 분 만에 먹어치웠다.  


그러면서 당신들은 입을 아꼈다. 대충 때우고 다음 끼니 준비를 시작할 뿐이었다. 하긴, 중국집 주방장이 라면 끓여 먹는 이유가 단지 즐겨해서만은 아닐 것이다. 만들다 보면 질리기도 하니까. 


어느 날인가 나이든 여인네들이 둘러앉아 미역국 먹는 것을 보게 됐다. 세수를 해도 될 정도로 큰 양푼에 국을 가득 담아 먹는데 어떻게 저걸 다 먹을 수 있을까 싶을 정도였다. 조용히 그러고 있어서 그것은 식사라기보다는 음식에 대한 샤먼적인 제의(祭儀) 같았다. 


국이나 무침은 흔히 먹는 것이라 따로 덧붙일 필요는 없겠다. 생미역 먹는 방법만 말해보면 이렇다. 


겨울 바닷가를 가면 돌에 붙어 있는 미역이 보인다. 찬바람이 불면서 하루 다르게 자라난다. 칼로 뿌리와 미역귀 사이를 잘라낸다. 미역귀는 말려서 나물을 해먹는데 그게 귀찮으면 귀 윗부분을 자른다. 미역귀는 우리 어렸을 때 간식거리였다. 하나씩 들고 아귀가 미어터지게 뜯어먹었다. 


바닷물이 났다 하더라도 파도를 잘 보며 따야 한다(파도는 일정한 리듬이 있는데 대략 열 번에 한 번 정도 힘이 모아진 큰 파도가 친다. 꼭 염두에 두어야 한다). 물론 수산물 채취권은 그 마을 주민의 권리이다. 마을에 따라서는 쳐다보지도 못하게 하는 곳이 있지만 대부분 약간의 채취는 눈감아줄 것이다.  


미역이 확보되었으면 끓는 물에 통째로 집어넣는다. 데쳐낸다고 생각하면 틀리지 않다. 미역이 푸른색으로 변하면 수저 따위로 슬슬 저어준다. 물이 다시 끓기 시작하면 건져내어 찬물에 헹군다. 손으로 비벼 빨고 찬물에 헹구는 것을 서너 번 해야 떫은맛이 없어진다. 체에 밭쳐 물기를 뺀 다음 적당한 크기로 자른다. 가위가 좋다. 초고추장이나 간장에 찍어 먹는다. 젓국간장에 밥을 싸 먹어도 훌륭하다.    


마을 아낙들이 발에 미역 너는 모습도 보일 것이다. 직접 사면 싸다. 양식장이 있는 곳에서는 양식 미역을, 이곳 거문도 같은 곳은 자연산으로 건미역을 만든다. 이거, 엄청 손 많이 간다. 따오는 것도, 너는 것도, 마르는 동안 일어난 거죽을 일일이 손으로 눌러주는 것도 다 일이다. 그 과정 다 거쳐야 겨울 바다와 사람의 손과 햇볕의 공동작품이 나온다.  



봄 중의 봄
                                       이면우

아침으로 한번은 꼭 미역국을 먹자고
여편네와 거듭 다짐했다
미역이 일하는 사람의 피를 맑게 한다더라
고래도 새끼를 배면
깊은 바다 미역 숲부터 보아둔다더라

(…) 공장 잔업으로 더 늦게 들어오는 여편네가
스뎅양푼 가득 맑은 물에
배배 꼬인 마른 미역 몇 오라기 담그고
새벽이면 더 멀리 가야 하는 내가
먼저 촉수 낮은 부엌 등을 켰다 (…)

한 줌 마른 미역이 깊은 밤 한잠 새
맑은 꿈 속 뒤채며 몸을 풀고
이 아침 양푼 가득 파랗게 되살아나는 일
이른 봄 우리네 사는 일의
어김없는 물오름이여 (…)
쾌조의 봄이여


연구자들에 따라서는 해대를 다시마로 보는 이도 있다. 크기 부분에서 사실 다시마에 가깝기도 하다. 한의학에서는 미역을 해대라 부른다. 『자산어보』에는 해초가 모두 35종이 나오는데 해대 외에는 딱히 미역이라고 볼 만한 게 없다. 무엇을 가리키는지 짐작이 어려운 것들도 있다. 



미역.jpg



© 한창훈 작가의 산문집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