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저자 한창훈은 1963년 여수시 삼산면 거문도에서 태어나면서 바다와 떨어질 수 없는 인생이 시작되었다.
세상은 몇 이랑의 밭과 그것과 비슷한 수의 어선, 그리고 끝없는 바다로만 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일곱 살에 낚시를 시작하고 아홉 살엔 해녀였던 외할머니에게서 잠수하는 법을 배웠다.
이런 저런 일을 하며 젊은 시절을 보냈고, 그 뒤로는 한국작가회의 관련 일을 하고 대학에서 소설창작 강의를 하기도 했다.
바다를 배경으로 한 변방의 삶을 주로 써왔다.

먼바다에 대한 갈증을 풀기 위해 대양 항해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동료 작가들과 현대상선 컨테이너선을 타고 부산-두바이, 홍콩-로테르담 두 번의 대양 항해를 했고
2013년에는 아라온호를 타고 북극해를 다녀왔다.

8년 전 고향으로 돌아와 원고 쓰고, 이웃과 뒤섞이고, 낚시와 채집을 하며 지내고 있다.
대산창작기금, 한겨레문학상, 제비꽃서민소설상, 허균문학작가상, 요산문학상을 받았다.

소설집 <바다가 아름다운 이유> <청춘가를 불러요> <그 남자의 연애사>,
장편소설 <홍합> <나는 세상 끝을 산다> <꽃의 나라>,
산문집 <한창훈의 향연>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내 술상 위의 자산어보> 등을 썼다.
어린이 책으로는 <검은섬의 전설> <제주선비 구사일생 표류기>가 있다.

KMCRIC은 출판사와 저자의 게재 허락을 받아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중에서 생선과 해조류 편 일부를 연재합니다.
지면을 빌어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바다의 생명 기운과 맛이 독자 여러분께 듬뿍 전해지길 빕니다.

한창훈
한창훈

우리가 식탁에서 그저 식재료로만 여겼던 온갖 갯것들이 <내 밥상위의 자산어보> 칼럼을 통해 저마다의 생명력을 얻어 고유한 이력과 맛들을 뿜어냅니다. 육지사람은 잘 모르는 생선과 해조류의 효능을 소개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20. 숭어, 고관대작 부럽지 않은 서민의 맛

 
HCH020-01-숭어.jpg


『자산어보』 숭어 편을 읽으며 나는 빙그레 웃었다. 흑산도 바닷가에서 숭어 그물 치는 것을 직접 보고 있는 손암 선생의 모습이 눈에 선했던 것이다. 눈이고 입이고 모두 동그래지셨을 것이다. 본문에는 숭어의 민첩성에 대한 묘사가 더 이어진다.


숭어잡이는 한번 볼만하다. 요즘은 주로 정치망(고정해놓은 그물)으로 잡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배 두 척이 숭어떼를 둘러싸 잡았다. 숭어떼를 찾으면 그물을 친 다음 돌멩이(이것을 빵돌이라 불렀다. 소음기를 떼어내고 엔진 굉음을 쓰기도 하는데 이것을 빵친다, 라고 한다)를 던지며 한쪽으로 몬다.


그러다보면 자갈밭 가까운 곳에 그물을 칠 때도 있다. 이 녀석들이 해안으로 곧잘 모이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빠른 배가 없어 거의 이랬을 것이다. 이거, 보기만 해도 재미있고 생동감 넘친다. 해안가로 밀린 수백, 수천 마리가 파닥거리는 장면을 떠올려보시라.
 
선생의 묘사대로 놈들은 아주 영악하다.
그물이 좁혀오면 바닥에 딱 붙어 눈치를 살핀다. 그러다 틈이 보이면 줄지어 빠져나간다. 퐁당퐁당, 뛰기도 잘한다. 한번 뛰기 시작하면 보통 다섯 번 정도 한다. 버릇이다. 그러니 숭어와 관련된 말이 많다. 이름도 백 가지가 넘는다. 신화에서 보면 이름이 많으면 능력도 뛰어나고 의미도 다양하다. 아무튼 맛에 관한 것 하나. 숭어 앉았다 떠난 자리 펄만 먹어도 달다, 는 말이 있다. 얼마나 맛있으면.


그런데 요즘은 흔한 생선 취급이다. 숭어 잡는 어법이 너무 심하게 발달되어버린 듯하다. 양식도 한다. 항구 회센터에 가면 이것저것 섞어 3만 원, 5만 원 하는데 숭어가 없으면 양이 확 줄어들어버린다. 한창 철에는 씨름선수 팔뚝만한 놈이 몇천 원까지 떨어진다. 반대로 생각하면 원 없이 먹을 수 있다는 소리. 가난한 우리 서민에게는 아주 고마운 존재이다.


생선에 대한 영양 분석을 보면 보통은 서너 줄이지만 숭어는 거의 한 페이지다. 좋다는 것은 모두 들어 있다고 봐도 된다. 회는 달고 찰지며 살짝 데친 껍질은 고소하고 쫄깃쫄깃하다. 숭어 껍질에 밥 싸먹다가 논까지 팔아먹었다는 말이 있으니 정말 그런 사람 한둘 없지도 않았을 것이다.


내장 중에 절구통같이 생긴 게 위인데(닭 모래주머니 비슷하다) 잘라내어 반으로 가른 다음 씻으면 오돌오돌 씹히는 맛이 별미이다. 숭어회 남은 것으로 전을 지져도 좋다. 살짝 튀긴다는 생각으로 하면 된다. 


싸고 맛있고 몸에 좋은 것으로 숭어만한 거 없다. 초겨울부터가 제철이다. 많이 먹어놓을 수 있는 기회이다. 봄철이 지나면 눈에 백태가 끼고 기름기가 빠져 볼품없이 변한다. 그러니 여름 숭어는 개도 안 먹는다고 한다.   
 
보통, 머리가 더 납작하고 눈이 희고 기름눈꺼풀이 또렷하게 발달한 것을 참숭어라고 하고 그렇지 못한 것을 개숭어(가숭어)라 하는데(옛 문헌에는 강에서 나는 것만 참숭어라고 했다) 이런 구분, 사실 별 의미 없다. 서해안 사람은 서해안 숭어가 펄을 먹어 맛이 달다고 하고 남해안 사람은 깊고 푸른 바다에서 사는 남해안 것이 흙내가 없어 더 맛있다고 한다. 다들 제 마을 훈장 똥이 더 굵다는 소리이다. 어디서나 다 맛있다.



HCH020-03-숭어.jpg


2,3월은 낚시꾼에게 가장 가난한 계절이다. 낚시의 보릿고개이다. 수온이 떨어질 대로 떨어져 물고기가 깊은 바다로 들어가버린데다가 움직임도 약하기 때문이다. 탓에 이 철에는 굵은 놈 딱 하나만 노리고 종일 낚시를 하기도 하는데 생계형 낚시를 하는 나는 그럴 처지가 못 된다. 그러면 숭어 낚시를 간다.


파도치는 날에는 숭어가 깊이 들어가버리기 때문에 잔잔한 날이 좋다. 수심 1.5미터 정도 두고 크릴로 낚는다. 마릿수가 많을 때는 훌치기(봉돌을 매단 세 가닥 바늘을 이용해서 잡아채는 낚시 방법. 몸통이 걸려나온다)를 하기도 한다.

이 녀석은 힘도 세다. 원통 모양의 몸이 꿈틀꿈틀 팔딱팔딱 뛰는 것을 보면 힘찬 남성성의 발현으로 제격이다. 
내게 몇 마리 얻어먹던 친구가 어느 날 제가 낚아오겠다고 갔다. 잘됐다 싶어 나는 안 갔다. 겨울철 낚시는 춥고 손 시려 고생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친구, 빈손으로 돌아왔다. 왜 못 잡았느냐고 하자 잡긴 잡았는데 잡힌 놈마다 용왕 아들이라고 빌어서 놔주었단다. 허참, 용왕은 힘도 좋지.


슈베르트 피아노 5중주 <숭어>는 송어의 잘못이다.



HCH20-02.jpg



© 한창훈 작가의 산문집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