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적 본초 읽기

2000년 전부터 약용으로 쓰인 본초에 대한 연구는 역사 속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는 광물 등을 포함해 약 1만개 정도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대본초의 연구는 현대과학과 한의학을 결합해 본초의 전통적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새로운 조합과 사용법 등에 관한 연구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현대본초의 지식은 전통한의학과 만나,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현 사랑채움한의원 원장
- 대한한의진단학회 회원
- 민족의학신문 명예기자 (2012.07-2013.07)
-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우수 IP (2013.05-2018.04)

공병희
공병희

본초에 대한 지식은 오래전부터 꾸준히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과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과거와는 다른 형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칼럼을 통해 현대본초라는 이름으로 본초의 현대과학적 연구, 새로운 제형, 배오 등에 관한 지식을 전하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금은화(Lonicera japonica)

 
메인 금은화.jpg


금은화는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속(genus lonicera)에 속하는 인동덩굴(L. japonica Thunb.)의 꽃봉오리 또는 막 피기 시작한 꽃입니다. 중국 역시 한국과 동일하게 인동덩굴(L. japonica Thunb.)의 꽃봉오리와 꽃을 금은화의 기원식물로 사용하고 있지만, 이외에도 회전모인동(L. macranthoides), 홍선인동(L. hypoglauca), 화남인동(L. confusa), 황갈모인동(L. fulvotomentosa)의 본초를 산은화로 사용하고 있습니다.(한국의 경우 산은화는 인정하지 않습니다.)


금은화는 동아시아의 재래종으로, 1500년전 중국 하남성(河南省) 봉구현(封邱縣)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었다고 기록되고 있습니다. 현재 금은화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멕시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미국 등의 동아시아 이외 국가의 귀화식물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금은화가 재배지를 넘어 광범위하게 번식하는 탓에 북아메리카 및 뉴질랜드 등은 금은화를 유해식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1].


전통적 사용


금은화는 다양한 약리작용으로 한의학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는데, 한의학의 초기 본초서인 『신농본초경』 에서도 금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본초강목』, 『명의별록』 등의 다양한 본초서가 금은화를 수록하고 있으며, 1995년 이후 중국약전에도 등재되어 있습니다. 또한 금은화는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 sars)의 유행 시, 사스(코로나바이러스)의 치료제로 유명세를 타기도 했습니다.


또한 금은화는 중국에서 식품 및 음료에 사용됩니다. 청나라 『연수방단(燕守方丹)』은 "금은화는 피부를 촉촉하고, 젊어지게 한다"고 적고 있으며, 이러한 금은화의 효과로 인해 중국에는 금은화차, 금은화주, 금은화 음료, 금은화 요구르트 등이 판매됩니다. 더불어 금은화는 화장품 등에도 사용되는데 금은화 마스크, 금은화 치약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국에서도 금은화를 이용한 화장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1].


성분


1. 에센셜 오일
2. 유기산(organic acids)
3. 플라본(Flavones)
4. 이리도이드(Iridoids)
5. 사포닌(Saponins)


에센셜 오일은 금은화의 주요 성분 중 하나입니다. 재밌는 점은 금은화의 서식 환경, 수확 시기, 이용 부위, 추출 방법, 포제에 따라 각기 다른 함량을 보인다는 점입니다. 몇몇 연구에 따르면 지역은 중국 중부, 시기는 꽃이 완전 백색 또는 은색일 때, 부위는 꽃을 수확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합니다. 또한 금은화는 건조 시 에센셜 오일이 감소하기 때문에 저온이면서 빛이 없는 건조 및 추출이 좋다고 합니다.


현재 chlorogenic acid(유기산)과 luteolin(루테올린) 두 성분을 금은화의 지표물질로 삼고 있지만, chlorogenic acid는 식방풍, 회향, 광동금전초 등의 본초에서도 발견됩니다. 특히 금은화보다 많은 함량이 보고되기도 하기 때문에 금은화의 지표물질로 적당한지에 대한 반론이 존재합니다.[1]


금은화 4개.jpg

약리작용


1. 항염증 작용
    1) 비만세포 활성억제
    2) 염증 매개인자의 억제
    3) 부종억제
2. 항바이러스 작용
3. 항균활성
4. 항산화 활성
5. 간보호(hepatoprotective) 활성
6. 항암 활성
7. 살충 및 항-진드기
8. 항-임신(Anti-pregnant) 활성
9. 항고지혈증 및 항혈전 활성
10. 항-리파아제 활성


많은 in vivo, in vitro 연구에서 금은화 추출물이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다양한 염증 인자를 억제한다는 점이 밝혀졌습니다. 이러한 항염증 작용으로 금은화는 다양한 피부질환에 사용되고 있으며, 근골격계 질환 치료제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2, 3].


1980년대 이후로 금은화의 항바이러스 작용이 연구되었는데,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4],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5], HSV(단순포진바이러스), PRV(가성광견병바이러스), NDV(뉴캐슬병바이러스)에 대한 억제작용이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인플루엔자에 감염시킨 실험동물에 chlorogenic acid를 처치하면 증상이 호전된다는 보고도 존재합니다 [1]. 이와 같은 금은화의 항바이러스 활성으로 인해, 중국약전에는 쌍황련과립과 같은 금은화제제를 상기도감염 약물로 등재하고 있습니다 [6].


금은화 연구에서 흥미로운 부분은, 금은화의 항-임신 활성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금은화 추출물은 쥐, 개, 원숭이에서 항-임신 효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특히 임신 쥐의 혈청 프로게스테론을 감소시켰습니다. 이러한 결과로 연구의 저자는 금은화 추출물의 임신 방해효과는 혈청 프로게스테론 감소 그리고/또는 프로스타글란딘-유사 작용에 기인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1986년 보고된 이후, 추가로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추가 연구 및 사람에도 동일하게 항-임신 작용을 보이는지 확인되어야 합니다 [1].


이외에도 금은화는 가벼운 소화성 궤양을 예방하며, 해열작용 등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1].


주의사항


금은화는 4-15g정도의 용량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무독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독성연구는 중국에서 시행된 몇 건의 급성 및 아급성 독성연구가 있습니다. 금은화 5000mg/kg의 단일처치에 변화 및 사망은 없었으며, 1000mg/kg의 14일간 처치에도 장기의 무게변화 및 혈액독성, 조직학적 변화는 없었습니다. 그러나 만성독성연구 등이 요구됩니다 [1].


참고문헌


[1] Shang X et al. Lonicera japonica Thunb.: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an important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 Ethnopharmacol. 2011 Oct 31;138(1):1-21. doi: 10.1016/j.jep.2011.08.016. Epub 2011 Aug 16.


[2] Park KI et al. Regula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via NF-κB and p38 MAPK-Dependent Mechanisms in RAW 264.7 Macrophages by Polyphenol Components Isolated from Korea Lonicera japonica THUNB.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2;2012:828521. doi: 10.1155/2012/828521. Epub 2012 May 7.


[3] Kim SJ et al. HS-23, Lonicera japonica extract, attenuates septic injury by suppressing toll-like receptor 4 signaling. J Ethnopharmacol. 2014 Aug 8;155(1):256-66. doi: 10.1016/j.jep.2014.05.021. Epub 2014 May 24.


[4] Ma SC et al. Antiviral Chinese medicinal herbs against respiratory syncytial virus. J Ethnopharmacol. 2002 Feb;79(2):205-11.


[5] Chang CW et al. Differential inhibition of reverse transcriptase and cellular DNA polymerase-alpha activities by lignans isolated from Chinese herbs, Phyllanthus myrtifolius Moon, and tannins from Lonicera japonica Thunb and Castanopsis hystrix. Antiviral Res. 1995 Aug;27(4):367-74.


[6] Xu K et al. A clinical observation on the effect of irrigating solution of Shuang Huang Lian on ESS for chronic sinusitis. Lin Chuang Er Bi Yan Hou Ke Za Zhi. 2005 Dec;19(23):1077-9.



ⓒ 공병희 원장의 현대적 본초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