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적 본초 읽기

2000년 전부터 약용으로 쓰인 본초에 대한 연구는 역사 속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는 광물 등을 포함해 약 1만개 정도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대본초의 연구는 현대과학과 한의학을 결합해 본초의 전통적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새로운 조합과 사용법 등에 관한 연구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현대본초의 지식은 전통한의학과 만나,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현 사랑채움한의원 원장
- 대한한의진단학회 회원
- 민족의학신문 명예기자 (2012.07-2013.07)
-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우수 IP (2013.05-2018.04)

공병희
공병희

본초에 대한 지식은 오래전부터 꾸준히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과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과거와는 다른 형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칼럼을 통해 현대본초라는 이름으로 본초의 현대과학적 연구, 새로운 제형, 배오 등에 관한 지식을 전하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

 
메인 두충.jpg


두충은 두충나무과(Family Eucommiaceae) 두충속(genus Eucommia)에 속하는 두충(E. ulmoides Oliv.)의 줄기껍질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입니다. 즉 한의학에서 두충은 수피를 지칭하지만, 두충의 잎 및 수꽃(웅화; staminate flower) 역시 약용으로 사용됩니다. 특히 다수의 연구들이 이들의 약용가치를 지지하고 있습니다.


전통적 사용


두충은 『신농본초경』 중편에 수록된 본초로, 약물로 사용된 역사가 가장 오래된 본초 중 하나입니다. 『본초강목』에서는 두충이 신, 골 및 건을 강화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현대의 중국약전에는 두충의 줄기와 수피를 고혈압, 발기부전, 요통 및 좌골신경통에 사용한다고 나와있습니다. 한국 및 일본에서는 두충의 잎을 약용 및 음료로 사용했는데, 최근에는 두충의 수꽃(웅꽃)을 차로 마시고 있습니다 [1].


성분


두충에서는 현재까지 112종의 성분이 확인되었는데, 주요 활성성분은 lignans와 iridoids입니다. 이외에도 Phenolics, Steroid, terpenoids, Flavonoids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성분은 수확시기, 약용부위, 포제 등의 처리 및 추출과정에 따라 함량의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1, 2].


두충 5개.jpg

약리작용


공병희-두충약리.jpg

두충의 약리 작용 중 많은 관심을 받은 연구는 항-고혈압, 지질강하, 항-비만, 항-당뇨 작용 등의 대사증후군과 연관된 영역입니다. 특히 일본 후생성은 두충을 고혈압 예방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1]. 고혈압에 대한 두충의 작용의 기전은 NO 조절 및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의 조절 [3], 혈관이완 [4, 5] 등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또한 고혈압 동물모델에서 고혈압-유도 혈관 리모델링을 역전시켰습니다 [6].


또한 두충은 지질저하 및 항비만 작용이 유명합니다. 이러한 작용은 두충잎을 사용한 연구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본초의 사용 부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1]. 두충잎 추출물은 동물연구에서 간의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억제했으며 [7], 지방세포의 교감신경 활성을 증가시켰습니다 [8]. 이러한 효과를 보이는 성분을 찾는 연구도 진행되었는데, 두충잎에 존재하는 Asperuloside 성분이 실험동물의 체중, 백색지방의 무게, 혈중 중성지방 및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켰습니다 [9, 10].


두충잎은 항-당뇨 활성도 가지는데, 사실 두충은 전통적으로 당뇨에 사용되는 민간요법의 하나이기도 했습니다. 두충잎의 in vivo, in vitro 연구에 따르면 두충은 전-당뇨 인슐린 저항성 [11] 및 비정상적인 혈관주위 신경분포의 개선 [12], 해당과정의 증가 및 당신생 합성과정의 억제 [13] 그리고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억제 [7]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두충은 대사증후군에 대한 작용 이외에도 다양한 약리 작용을 보이는데, 두충이 전통적으로 사용된 골관절에 대한 연구 역시 진행되었습니다. in vivo, in vitro 연구에서 두충 추출물은 뼈모세포(osteoblast)의 증식을 강화했으며 [1], 뼈모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억제하고 [14], 뼈파괴세포의 생성을 억제했습니다 [15]. 또한 두충은 암컷쥐의 BMP-2, IGF-1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성장판의 연골형성(chondrogenesis)을 증가시켜 장골의 성장을 촉진했습니다 [16].


이외에도 신경계질환 등의 모델에서 신경보호효과를 보였으며 [1, 17], Aβ-유도 기억손실을 개선하고 [18], 파킨슨병 모델에서도 보호효과를 나타냈습니다 [19, 20]. 두충은 피부의 콜라겐 합성을 개선하는 등의 작용을 보고하기도 했는데 [21], 건선에 대한 병리와 양한방의 치료를 리뷰한 Rahman M 연구팀의 보고에 두충을 포함시키고 있어 향후 건선에 대한 두충의 효과 및 기전연구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22].


주의사항


두충은 장기간 약물 또는 음료 등의 식품으로 사용되어왔습니다. 그러나 독성 및 안전평가가 부족한데, 세포 및 설치류에 대한 독성연구는 존재하지만 개, 원숭이 및 인간에 대한 평가는 없습니다 [1]. 한 임상연구에 따르면, 두충의 사용군에서 두통, 현훈, 부종 등의 가벼운 부작용의 케이스가 보고되었습니다 [23].


참고문헌


[1] He X, Wang J, Li M, Hao D, Yang Y, Zhang C, He R, Tao R. Eucommia ulmoides Oliv.: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an important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 Ethnopharmacol. 2014;151(1):78-92. doi: 10.1016/j.jep.2013.11.023. Epub 2013 Dec 1.


[2] Zhang Q, Su Y, Zhang J. Seasonal difference in antioxidant capacity and active compounds contents of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Molecules. 2013 Feb 1;18(2):1857-68. doi: 10.3390/molecules18021857.


[3] Luo LF, Wu WH, Zhou YJ, Yan J, Yang GP, Ouyang DS. Antihypertensive effect of Eucommia ulmoides Oliv. extract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Ethnopharmacol. 2010 May 27;129(2):238-43. doi: 10.1016/j.jep.2010.03.019. Epub 2010 Mar 27.


[4] Kwan CY, Chen CX, Deyama T, Nishibe S. Endothelium-dependent vasorelaxant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s of the Eucommia ulmoides Oliv. leaf and bark: implications on their antihypertensive action. Vascul Pharmacol. 2003 Dec;40(5):229-35.


[5] Kwan CY, Zhang WB, Deyama T, Nishibe S. Endothelium-dependent vascular relaxation induced by Eucommia ulmoides Oliv. bark extract is mediated by NO and EDHF in small vessels. Naunyn Schmiedebergs Arch Pharmacol. 2004 Feb;369(2):206-11. Epub 2003 Dec 13.


[6] Gu J, Wang JJ, Yan J, Cui CF, Wu WH, Li L, Wang ZS, Yu M, Gao N, Liu L, Ouyang DS. Effects of lignans extracted from Eucommia ulmoides and aldose reductase inhibitor epalrestat on hypertensive vascular remodeling. J Ethnopharmacol. 2011 Jan 7;133(1):6-13. doi: 10.1016/j.jep.2010.08.055. Epub 2010 Sep 15.


[7] Choi MS, Jung UJ, Kim HJ, Do GM, Jeon SM, Kim MJ, Lee MK. 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extract mediates hypolipidemic action in hamsters fed a high-fat diet. Am J Chin Med. 2008;36(1):81-93.


[8] Horii Y, Tanida M, Shen J, Hirata T, Kawamura N, Wada A, Nagai K. Effects of Eucommia leaf extracts on autonomic nerves, body temperature, lipolysis, food intake, and body weight. Neurosci Lett. 2010 Aug 2;479(3):181-6. doi: 10.1016/j.neulet.2010.05.030. Epub 2010 May 16.


[9] Hirata T, Kobayashi T, Wada A, Ueda T, Fujikawa T, Miyashita H, Ikeda T, Tsukamoto S, Nohara T. Anti-obesity compounds in green leaves of Eucommia ulmoides. Bioorg Med Chem Lett. 2011 Mar 15;21(6):1786-91. doi: 10.1016/j.bmcl.2011.01.060. Epub 2011 Jan 21.


[10] Fujikawa T, Hirata T, Hosoo S, Nakajima K, Wada A, Yurugi Y, Soya H, Matsui T, Yamaguchi A, Ogata M, Nishibe S. Asperuloside stimulates metabolic function in rats across several organs under high-fat diet conditions, acting like the major ingredient of Eucommia leaves with anti-obesity activity. J Nutr Sci. 2012 Sep 5;1:e10. doi: 10.1017/jns.2012.12. eCollection 2012.


[11] Lee MK, Kim MJ, Cho SY, Park SA, Park KK, Jung UJ, Park HM, Choi MS. Hypoglycemic effect of 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 leav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Diabetes Res Clin Pract. 2005 Jan;67(1):22-8.


[12] Jin X, Amitani K, Zamami Y, Takatori S, Hobara N, Kawamura N, Hirata T, Wada A, Kitamura Y, Kawasaki H. Ameliorative effect of Eucommia ulmoides Oliv. leaves extract (ELE) on insulin resistance and abnormal perivascular innervation in fructose-drinking rats. J Ethnopharmacol. 2010 Apr 21;128(3):672-8. doi: 10.1016/j.jep.2010.02.019. Epub 2010 Feb 26.


[13] Park SA, Choi MS, Kim MJ, Jung UJ, Kim HJ, Park KK, Noh HJ, Park HM, Park YB, Lee JS, Lee MK.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action of 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er) leaves water extract in C57BL/KsJ-db/db mice. J Ethnopharmacol. 2006 Oct 11;107(3):412-7. Epub 2006 Apr 18.


[14] Lin J, Fan YJ, Mehl C, Zhu JJ, Chen H, Jin LY, Xu JH, Wang HM. Eucommia ulmoides Oliv. antagonizes H2O2-induced rat osteoblastic MC3T3-E1 apoptosis by inhibiting expressions of caspases 3, 6, 7, and 9. J Zhejiang Univ Sci B. 2011 Jan;12(1):47-54. doi: 10.1631/jzus.B1000057.


[15] Zhang R, Pan YL, Hu SJ, Kong XH, Juan W, Mei QB. Effects of total lignans from Eucommia ulmoides barks prevent bone loss in vivo and in vitro. J Ethnopharmacol. 2014 Aug 8;155(1):104-12. doi: 10.1016/j.jep.2014.04.031. Epub 2014 Apr 28.


[16] Kim JY, Lee JI, Song M, Lee D, Song J, Kim SY, Park J, Choi HY, Kim H. Effects of Eucommia ulmoides extract on longitudinal bone growth rate in adolescent female rats. Phytother Res. 2015 Jan;29(1):148-53. doi: 10.1002/ptr.5195. Epub 2014 Aug 2.


[17] Kwon SH, Ma SX, Joo HJ, Lee SY, Jang CG. Inhibitory Effects of Eucommia ulmoides Oliv. Bark on Scopolamine-Induced Learning and Memory Deficits in Mice. Biomol Ther (Seoul). 2013 Nov;21(6):462-9. doi: 10.4062/biomolther.2013.074.


[18] Zhou Y, Liang M, Li W, Li K, Li P, Hu Y, Yang Z. Protective effects of Eucommia ulmoides Oliv. bark and leaf on amyloid β-induced cytotoxicity. Environ Toxicol Pharmacol. 2009 Nov;28(3):342-9. doi: 10.1016/j.etap.2009.05.012. Epub 2009 May 30.


[19] Kwon SH, Ma SX, Hong SI, Kim SY, Lee SY, Jang CG. Eucommia ulmoides Oliv. bark. attenuates 6-hydroxydopamine-induced neuronal cell death through inhibition of oxidative stress in SH-SY5Y cells. J Ethnopharmacol. 2014 Feb 27;152(1):173-82. doi: 10.1016/j.jep.2013.12.048. Epub 2014 Jan 15.


[20] Guo H, Shi F, Li M, Liu Q, Yu B, Hu L. Neuroprotective effects of Eucommia ulmoides Oliv. and its bioactive constituent work via ameliorating the ubiquitin-proteasome system.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5 May 21;15:151. doi: 10.1186/s12906-015-0675-7.


[21] Li Y, Kamo S, Metori K, Koike K, Che QM, Takahashi S. The promoting effect of eucommiol from Eucommiae cortex on collagen synthesis. Biol Pharm Bull. 2000 Jan;23(1):54-9.


[22] Rahman M, Alam K, Ahmad MZ, Gupta G, Afzal M, Akhter S, Kazmi I, Jyoti, Ahmad FJ, Anwar F. Classical to current approach for treatment of psoriasis: a review. Endocr Metab Immune Disord Drug Targets. 2012 Sep;12(3):287-302.


[23] Greenway F, Liu Z, Yu Y, Gupta A. A clinical trial testing the safety and efficacy of a standardized Eucommia ulmoides Oliver bark extract to treat hypertension. Altern Med Rev. 2011 Dec;16(4):338-47.



ⓒ 공병희 원장의 현대적 본초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