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재 교수의 한국의 건강문화

나의 전공은 한의학 중에서도 예방 한의학이다.

옛날 사람들의 건강법.
의료 이전에 불로장생, 무병장수를 꿈꾸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에서 비롯된 건강문화-양생.
최첨단 의료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는 오늘날이지만 현대인들에게 옛날 사람들이 수천 년 동안 끊임없는 몸 관찰을 통해 알아낸 ‘몸에 대한 이야기’와 이를 바탕으로 한 ‘몸을 위로하는 방법’이 더더욱 절실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확신으로 바뀌고 있다.

내가 운영하는 건강문화연구센터에서는 우리의 전통문화 속에 내재된 건강지향적 요소를 발굴하고 콘텐츠화하여 보급하는 일을 한다. 사실 티테라피도 우리의 전통 다도(茶道), 다례(茶禮) 문화와 몸에 좋은 것을 끓여 마시는 우리의 주전자 문화를 현대적으로 만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철 식재료를 이용한 한국식 약선을 재정리하고 있으며 우리 조상들의 풍류 사상과 조선의 유학자들이 평생을 바쳐 몰두한 수양법 등을 재해석해서 현대인들을 위한 스트레스 케어법으로 만드는 시도를 하고 있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박사학위 취득 (한의학)

[경력]
- 현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교수
- 현 건강문화연구소 소장
- 전 티테라피(카페+한의원+건강문화교실) 대표이사

[저서]
- 2011 『한의사의 다방』

이상재
이상재

최첨단 의료기술이 발전해가고 있지만, 현대인들에게는 선조들의 끊임없는 관찰로 알아낸 방법을 통해 몸을 위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제가 운영하는 건강문화연구센터에서는 한국전통문화에 내재된 건강지향적 요소를 발굴하고 콘텐츠화하여 보급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약을 차처럼 마시다: 약차(藥茶) 문화

 

LSJ10-01.jpg



한국에는 차가 많다?


몇 년 전 일본의 한 방송국에서 한국에 차 종류가 많은 이유를 알고 싶다고 인터뷰 요청을 해왔다. 그들이 말하는 차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 L.)의 잎으로 만든 차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다. 오미자차, 모과차, 대추차, 인삼차, 율무차, 쌍화차 등 일본에서는 한방약이라고 불리는 것들을 한국에서는 차라는 이름을 붙여 마시는 것이 특이하게 생각되었던 모양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에는 전통차, 대용차, 한방차 등으로 불리는 많은 종류의 차가 있다. 『식품공전』에서도 차를 ‘식물의 어린싹이나 잎, 꽃, 줄기, 뿌리, 열매 또는 곡류 등을 가공하여 물에 침출해서 그 여액을 음용하는 기호성 식품’이라고 정의하여 차의 의미를 넓게 사용하고 있다.


녹차가 아닌 것을 차라고 하는 우리나라의 독특한 차 문화는 언제부터 시작된 것일까? 먼저 19세기 후반 일본 동경대 교수를 지낸 미국인 W.E.그리피스가 쓴 〈Corea, the Hermit Nation(1882)〉에 나오는 내용을 보자.


LSJ10-02.png


당시 우리나라 사람들이 중국이나 일본과 달리 녹차를 거의 마시지 않고 숭늉이나 인삼, 귤피, 생강, 꿀 등을 사용하고 있었음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무엇을 섞어서 달인 것을 ‘차’라고 부르는 우리의 언어습관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나라 녹차는 선물용


지금도 우리나라 사람들은 녹차를 거의 마시지 않는다. 하동녹차연구소에서 제공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7년 기준 1인당 연간 녹차 소비량이 일본 1,150g, 중국 450g인데 비하여 한국은 70g으로 현저히 적다. 70g이면 시중에 판매되는 지관에 담긴 녹차 한 통(100g) 정도의 양인데 이마저도 실제로 우리가 마시는 양에 비하면 많은 느낌이다.


우리나라에서 녹차라고 하면 주로 선물하는 것, 선물 받는 것의 이미지가 강한 듯하다. 선물로 받은 녹차를 한 두번 우려 마시고는 잊어버리고 있다가 몇 년 후에 어디에선가 발견되어 ‘이거 먹어도 되나’하고 고민하게 하는….
한국에서의 녹차는 여전히 이런 이미지다.



‘차 아닌 차 문화’의 탄생


한국에서 녹차 문화가 처음부터 없었던 것은 아니다. 한국의 차 문화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 ‘고려 시대 융성했던 차 문화가 조선으로 오면서 쇠퇴하게 되었다’고 결론짓고 있다. 쇠퇴이유에 대해서는 숭유억불정책 때문이라고도 하고, 식후에 숭늉을 마시는 문화 때문이라고도 하고, 과도한 차 세금 때문이라고도 하고, 금수강산의 땅에 물이 너무 좋아서 굳이 차를 마실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한편으로,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녹차 문화는 쇠퇴했지만 그로 인해 우리나라의 독특한 ‘차 아닌 차’ 문화가 만들어졌다고 주장하고 싶다. 조선 왕실에서는 150여 가지의 다양한 차가 건강관리의 목적으로 사용되었고, 18세기 이후에는 민간에 약초에 대한 지식이 보급되고 민중들의 약초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주위에서 구하기 쉬운 약초를 차처럼 끓여 마시는 문화가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이런 문화는 오늘날까지도 우리나라의 독특한 약초 활용의 문화로 이어져 오고 있다.


약초활용의문화와 함께 발전한 약차문화.png



약재를 간단하게 끓인 것을 차라고 부르다


조선 시대의 차 아닌 차 문화에 대한 내용을 다산 정약용이 쓴 <아언각비(1819)>라는 책의 차 설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LSJ10-03.jpg

정약용 선생은 녹차가 들어 있지 않고 약재만을 단조롭게 끓인 것을 차라고 하는 우리의 언어습관을 잘못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이 중국과 어법이 다르기 때문에 잘못되었다고 하기보다는 오히려 약재 한 두 가지를 간단하게 끓인 것을 차라고 하는 전통을 한국차의 독창적인 모습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Korean Tea


지금까지도 그 전통이 이어져 한방차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대용차라고 하찮게 부르기보다는 그것이 바로 한국차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외국사람들이 인삼차, 유자차를 한국의 차라고 생각하는 것처럼.


이런 인식 전환을 통해 Chinese Tea, Japanese Tea처럼 세계 속에서 Korean Tea의 브랜드를 구축해 나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 경쟁력 있는 한국차는 수백 년 동안 우리나라 사람들의 삶 속에서 ‘어디 어디에 좋은’이라는 인식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온 바로 그 차일 것이다.


Korean Tea의 경쟁력.png



© 이상재 교수의 한국의 건강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