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

약을 더 이상 쓸 수 없거나 아예 약을 쓸 단계를 넘어 선 환자, 혹은 장기간 약을 써도 몸만 상할 뿐 호전이 되지 않는 만성 질환, 면역 질환 등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요양을 하면서 여러 가지 자연의 혜택을 누리려 하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이 음식이다.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食治方)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도 있고 맛도 있게 하겠다는 의도로 - 선택한 식치방의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는 객관적인 논리 제시가 없는 채로 -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藥膳, Curative Food)이다. 필자가 십여 년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Planning of curative food)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박사학위 취득(한의학)

[경력]
- 현 한국약선연구원 원장
- 현 안문생한의원 원장
- SBS 중국약선여행 전문연사
- MBC 라디오 동의보감 전문연사
- 경원대학교 사회교육원 약선강좌 외래교수
-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약선학 석사과정 겸임교수
- 원광한의대, 경원한의대, 상지한의대, 동의한의대 외래교수 및 강사(10년)
- 약선설계 관련 앱 개발

[저서]
- 2012 『약선설계학』
- 2012 『약선설계본초』
- 2003 『안문생 약선기』
- 『식의기초연구』
- 약선재료사전(App)
- 이안평가(App)

안문생
안문생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와 맛을 둘 다 충족시키고자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이다. 하지만 객관적인 논리의 제시는 없었다. 필자가 십여 년간의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다.

프로필 바로가기

2019 기해년(己亥年) 제6기 건강음식

 

AMS0026-main-01.jpg



일 년을 6기로 나누었을 때 소설(小雪) 11월 22일에서 대한(大寒) 전날 2020년 1월 19일까지의 기간은 마지막 제6기에 해당하고 계절로는 한겨울이다. 기후는 당연히 가장 추워서 식물은 뿌리에 모든 영양 물질을 저장한 상태로 복지부동하고 동물들은 겨울잠을 잠으로써 생명을 연장한다. 끊임없이 인체 내부에서 빠르게 퍼져 나갔다 서서히 움츠러들기를 반복하는 생명 물질들이 겨울 추위의 특성에 의존하여 체내의 깊은 곳으로 더 많은 물질들을 저장할 수 있는 계절이다.

 

그런데 애석하게도 기해년 제6기에 수시로 찾아오는 반갑지 않은 손님은 뜨거운 열기이다. 날씨가 추우니까 그 열기를 피부로 느끼지는 못하지만 겨울이 겨울답지 않을 때가 많아진다. 위장에서 음식물을 계속 아래로 내리면서 소화 흡수해야 하는데 열기가 방해를 하여 배 속에서 소리가 나고 아랫배가 아프면서 가스가 찬다. 대소장의 열기로 적백 이질, 대소변 출혈 등이 발생하고, 열기가 폐의 진액을 말리면 숨이 차오르는 천식으로 오래 서 있지를 못한다. 구강과 비강에 열기가 침범하면 치통에 시달리고 콧마루가 붓는다. 간혈(肝血)에 열기가 스며들면 추웠다 더웠다 하면서 피부가 아픈 증상이 발생한다.


이런 병증들은 그래도 치료가 가능한데, ‘전염성 열병’이라는 치명적인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수천 년 전의 천문학자들은 『황제내경』을 통하여 경고하고 있다. 전염성 열병은 ‘사스(SARS)’와 같은 병으로 아무리 큰 병원에 입원하고 있어도 죽을 사람을 의학으로는 살릴 수 없는 무서운 병이다. 이 병은 왜 오는 것이며 어떻게 하면 살 수 있는지 『황제내경』에 기록되어 있다.


단적으로 표현해서 겨울철에 더 많이 체내 깊은 곳에 저장되어야 하는 생명 물질이 손님처럼 찾아오는 열기의 방해로 저장되지 못한 상태에서 열병에 이환되면 살 수 없고, 사전에 충실하게 저장되어 있으면 열병에 걸려도 살 수 있다. 이 물질은 한의학적으로 신(腎)에 저장되는 정(精)인데, 흡사 뿌리에 모든 생명 유지 물질들을 저장하고 겨울을 나는 식물처럼 사람도 그렇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음식의 맛이 짜고 성질이 찬 것 위주로 먹으면 생명 물질이 체내 깊은 곳으로 들어가는 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이런 식품을 주재로 하고 쓴맛, 매운맛, 신맛의 식품들을 소량씩 첨가하라고 기록되어 있다. 성질이 차다는 것은 내부로 깊이 들어가도록 유도할 수 있고, 짠맛은 입자 간격을 넓혀 그사이에 주변 물질들을 흡수하여 내부의 신(腎)으로 들어가게 한다. 즉, 신(腎)에 정(精)을 축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전에 “신(腎)은 응집하여 단단하게 뭉치려는 욕구가 있으니 쓴맛을 먹어서 그렇게 되도록 하라”고 되어 있다. 소량의 쓴맛으로 그 욕구에 부응하면 자리를 잃은 열기는 밖으로 빠져나갈 수밖에 없게 된다. 역시 고전에 “신(腎)은 건조한 상태를 힘들어하니 급히 매운맛을 먹어서 윤활하게 만들라”고 하였으므로 매운맛을 첨가하고, “심(心)은 늘어지는 것을 힘들어하니 급히 신맛을 먹어서 늘어진 심장을 수렴되게 하라”고 하였으므로 신맛을 첨가하여 침범한 열기에 심장이 상하지 않도록 하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한국약선연구원에서는 이 시기에 적합한 6가지 음식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있는데 그중 가장 바람직하고 대표적인 음식은 ‘간장게장’이다. 이 밖에도 게간랍, 게찜, 김자반, 미역자반, 다시마자반을 교육하고 있다. (조리 : 송동진 부원장) 


AMS0026-img-01.jpg


※ 본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 견해로, KMCRIC의 공식적 견해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