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

약을 더 이상 쓸 수 없거나 아예 약을 쓸 단계를 넘어 선 환자, 혹은 장기간 약을 써도 몸만 상할 뿐 호전이 되지 않는 만성 질환, 면역 질환 등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요양을 하면서 여러 가지 자연의 혜택을 누리려 하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이 음식이다.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食治方)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도 있고 맛도 있게 하겠다는 의도로 - 선택한 식치방의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는 객관적인 논리 제시가 없는 채로 -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藥膳, Curative Food)이다. 필자가 십여 년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Planning of curative food)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박사학위 취득(한의학)

[경력]
- 현 한국약선연구원 원장
- 현 안문생한의원 원장
- SBS 중국약선여행 전문연사
- MBC 라디오 동의보감 전문연사
- 경원대학교 사회교육원 약선강좌 외래교수
-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약선학 석사과정 겸임교수
- 원광한의대, 경원한의대, 상지한의대, 동의한의대 외래교수 및 강사(10년)
- 약선설계 관련 앱 개발

[저서]
- 2012 『약선설계학』
- 2012 『약선설계본초』
- 2003 『안문생 약선기』
- 『식의기초연구』
- 약선재료사전(App)
- 이안평가(App)

안문생
안문생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와 맛을 둘 다 충족시키고자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이다. 하지만 객관적인 논리의 제시는 없었다. 필자가 십여 년간의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다.

프로필 바로가기

온역(溫疫, febrile pestilence)과 음식 생활의 대원칙

 

AMS 0027-main.jpg



『황제내경•소문』 본병론편에 삼허(三虛)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세 가지 상황을 동시에 만나면 갑자기 죽는다는 경험적 이론이다.


그중 하나는 신정(腎精)이 부족하여 방위력이 약화된 상황을 의미하고, 둘째는 인체의 방어 체계를 뒤흔들 정도로 계절에 크게 어긋난 기후의 변화 즉, 운기(運氣)의 필연성을 말하고 있으며, 셋째로는 그 운기 변화에 가장 피해가 큰 장기의 질환을 앓고 있는 상황을 말하는데 예컨대 COVID-19가 처음 발생한 기해년(己亥年)에 간(肝)이나 비(脾)의 질환을 앓고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번 COVID-19를 경험하면서 운기학은 이제 우리의 생활에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학문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내용을 보면 그 필요성이 얼마나 큰지 알게 된다.


SARS나 COVID-19와 같은 열성 전염병을 한의학에서는 통칭하여 온역(溫疫, febrile pestilence)이라 하는데, 『황제내경』 육원정기대론편에서 온역이 창궐할 수 있는 운기학적 시기를 명시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생각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수백 년 혹은 수천 년 동안의 통계를 정리하여 그 주기성을 요약한 경험적 통계 발표이다.


첫째, 온역은 한 해도 빠짐없이 매년 한 번 혹은 두 번씩 왔음을 말하고 있다. 운기학적으로 요약하면 사년(巳年)과 해년(亥年)에는 소설(小雪, 양력 11월 중순)에서 대한(大寒, 양력 그 이듬해 1월 중순) 사이에 발병했고, 자년(子年)과 오년(午年)에는 추분(秋分, 양력 9월 중순)에서 소설(小雪, 양력 11월 중순) 사이에 발병하였으며, 축년(丑年)과 미년(未年)에는 춘분(春分, 양력 3월 중순)에서 소만(小滿, 양력 5월 중순) 사이에, 인년(寅年)과 신년(申年)에는 대한(大寒, 양력 1월 중순)에서 춘분(이상 참조) 사이에 발병했는데, 묘년(卯年)과 유년(酉年)에는 춘분과 소만 사이에 매우 심한 온역으로 사망자가 매우 많았고 소설과 대한 사이에도 온역이 발생하였음을 말하고 있다. 끝으로 진년(辰年)과 술년(戌年)에는 대한과 춘분 사이에 발병하였었다고 한다.


COVID-19가 전 세계를 침몰시킨 2019년 이후 60년을 묶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AMS 0027-img-01.png


물론 매년 COVID-19처럼 전염력이 강력한 온역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그동안 밝혀지지 않을 정도로 미약하게 왔다가 사라진 온역이 많았듯이 앞으로도 그리될 경우가 많겠지만, 문명이 발달하면서 이전과 많이 달라진 인류의 생활 형태 변화나 환경의 변화가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이상의 도표에서 알 수 있는 흥미로운 사실로서 온역이 발생하는 시기는 육기 중 1, 2, 5, 6기이고 3, 4기는 없었다는 것이다. 3기는 5월 중순에서 7월 중순 사이이고 4기는 7월 중순에서 9월 중순 사이이므로 종합하면 5월 중순에서 9월 중순까지는 온역이 없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매년 항상 일정한 ‘주인 기후’ 즉 주기(主氣)가 상화(相火)와 습토(濕土)일 때이므로 몹시 무더운 기간에 속한다. 그러나 1기와 2기는 음기(陰氣) 속에서 양기(陽氣)가 점점 솟아 나오는 시기이고, 5기와 6기는 양기(陽氣)가 소멸하면서 음기(陰氣)가 내부에 저장되어 가는 기간이다. 매년 달라지는 ‘손님 기후’ 즉 객기(客氣)가 이러한 자연의 순환에 심한 장애를 초래할 때 온역이 찾아온다.


셋째, 역사에 기록된 수많은 한의학자가 장구한 세월 동안 온역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에서 치료하였고 그 결과를 기록으로 남겼다. 그야말로 보고가 아닐 수 없다. 요즘 세상이라면 임상 통계로 발표하여 학계에서 인정을 받았겠지만 그러지 못했을 뿐인 보물 같은 기록들이다.


이상의 내용을 상기하면서 향후 우리는 온역이라는 지독한 손님들을 어떻게 대하여야 하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번 사태에서도 알 수 있지만, 인류에게는 그 손님들을 적으로 삼고 대항하여 무찌를 방법이 없다. 그나마 가능성이 있는 수 천 년 동안의 임상 경험들은 안타깝지만 쓰이지도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남은 건 서두에 밝힌 삼허(三虛)가 모두 구비되지 못 하도록 예방하는 것만이 살길이다. 물론 안 걸리도록 노력은 해야 하지만 어쩔 수 없이 걸려도 죽지 않을 방법이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필자는 이상 온역이 발생하는 시기의 특성을 분류하고 그에 맞는 예방 및 치료의 대원칙을 내경의 다른 편에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는데, 이는 약물을 사용하든 음식을 사용하든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첫째, 제1기와 2기 즉 1월 중순에서 5월 중순 사이에 발생하는 온역은 신한(辛寒)으로 다스려야 한다. 맵다는 것은 작용하는 위치가 폐(肺)라는 뜻이고 차다는 것은 인체 내부로 침투하는 방향성을 지녔다는 의미이다.


둘째, 제5기와 6기 즉 9월 중순에서 그 이듬해 1월 중순 사이에 발생하는 온역은 함한(鹹寒)으로 다스려야 한다. 짜다는 것은 작용하는 위치가 신(腎)이라는 뜻이고, 차다는 것은 인체 내부로 침투하는 방향성을 지녔다는 의미이다.


AMS 0027-img-02.jpg


※ 본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 견해로, KMCRIC의 공식적 견해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