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이다.
모든 병은 인간의 본능인 ‘움직임’을 하지 못하는 가운데 시작을 하며, 치유는 그 움직임의 첫 단추인 ‘걷기’에서 시작을 한다.
한의학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연치유력을 극대화하여 고통과 질병에서 벗어나 건강과 행복을 찾아가도록 도와준다. 또한 한의사는 자연 현장에서 이러한 길을 인도하는 데 최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저자는 걷기 여행의 스텝으로 참여하여 트레킹을 인도하면서 걷기가 힐링을 위한 최고의 작업임을 확인하였다. 동반자와 함께 걸으며 명상을 할 수 있고, 상담을 해줄 수 있으며, 트레킹을 하면서 자연을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고, 힘든 몸과 마음을 치료하며, 밤 시간 진정한 이완과 행복을 위한 조언을 해줄 수 있는 모든 역량을 가지고 있는 직업이 한의사다.
본 칼럼에서는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한다.
[경력]
- 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
- 현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화병클리닉 담당의
- 현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개발사업단 부단장
- 한방신경정신과학회장
- (사)한국명상학회 부회장

[저서]
- 2017 『마흔넘어 걷기 여행』
- 2016 『한의학상담』
- 2013 『화병 100문 100답』
- 2011 『기와 함께 하는 15분 명상』

김종우
김종우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입니다. 저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명상, 누가 잘 할 수 있나요? 한의사는 어떤가요?

 

KJW 0005-main.jpg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전공선택제 수업에 “명상과 실습” 강의 개설을 하면, 대략 3년에 한 번꼴로 강의가 열린다. 한마디로 그다지 인기 있는 과목은 아니다. 그런데 정작 명상이 교양과목이나 선택과목으로 설치된 다른 대학, 다른 전공의 얘기를 듣다 보면 꼭 그런 것은 아니다. OO 대학교의 교양과목에는 명상을 세반으로 나눠서 100여 명 정도 신청을 받는데, 새벽이면 모두 마감이 된다고 한다. OO 의대 선택과목에서도 늘 인기 있는 과목이라고 한다. 심리학과와 의학과, 심지어는 단순 교양과목에서도 인기가 있는 “명상”이 왜 한의학과에서는 그다지 인기 없는 과목일까?


물론, 그 첫 번째 원인은 강의하는 사람의 능력일 수 있다. 강의가 재미있고, 또 도움이 된다면 입소문이 퍼져 인기가 있는 과목이 되어야 할 텐데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 이유일 수 있다. 그런데 외람되게도 강사는 명상학회에서도 베테랑이고, 또 학생을 직접 만나는 교수이기도 하다. 더구나 2020년부터는 아예 명상학회에서 회장직도 맡을 예정이다. 하지만, 정작 학생들에게 강사가 누구인지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일단은 그 원인을 직접적으로 과목에서 찾아보아야 할 것 같다. 최소한 강사가 능력이나 지명도는 있다는 가정을 하고 말이다.


그렇다면 왜 “명상”이라는 주제를 한의대 학생들은 외면하는 것일까? 학생들은 본과 1학년 때 “양생과 기공”이라는 수업을 들었다. 그래서 명상이 그것과 중복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미 배운 것이고 아는 것을 또 들을 필요가 없다고 느끼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수업 시간에 학생들과 “기”나 “기공”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의외로 알고 있는 지식이라기보다는 관심 없는 지식으로 여기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정작 한의학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개념을 도리어 무관심, 심지어는 터부시되는 개념으로 여기는 학생들을 만나게 되면 당황을 넘어, 황당하기도 하고, 그래서 한의대 학생들은 “명상”이라는 것에 관심이 없다는 추론에 이르게 된다.


2016년 지은 책 <한의학 상담>의 부제로 ‘나의 몸과 마음을 가장 잘 알아주는 한의사와의 대화’와 ‘자생력 회복을 위한 치유 상담’을 뽑았다. 한의사의 여러 역량 가운데 다른 의료인에 비하여 가장 뛰어난 역량이 공감(共感)과 교육이라는 생각에서 그 제목을 뽑은 것이다. 환자의 질병을 극복하고 건강해지기 위한 최적의 상태를 만들기 위하여 환자를 이해하고, 환자에게 공감하고, 또 환자에 맞춰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을 조절해 주는 양생 교육을 잘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를 가지고 말이다. 그리고 이러한 것을 달성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으로 바로 “명상”을 추천하고 있다. 상담과 명상은 분명 임상 현장에서 한의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는 분야다.


2019년 11월 명상학회 10주년의 행사를 1박 2일간 진행하였다. 교수, 연구원, 수련자, 상담센터 및 요가센터에서 명상을 가르치는 사람들, 그리고 5~6명의 한의사를 포함해 전국에서 200여 명이 모였다.


KJW 0005-img-01.jpg


명상학회는 명상의 과학화와 대중화를 모토로, 그리고 사람들이 건강과 행복을 스스로 찾기 위한 방법으로의 명상을 연구하고, 수련하고, 교육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다. 명상학회의 참가자는 심리학자들이 가장 많다. 미국에서는 명상을 요가 전공자들이 많이 하지만, 한국에서는 유독 심리학자들이 많이 한다. 그것은 마음수련의 전통과도 맥을 같이 한다. 미국에서는 명상이 의료 현장에서 먼저 시작하여 일반인으로 퍼져 나가고 있다. 하버드대 벤슨 박사의 집중 명상이나 매사추세츠의과대학 카밧진 박사의 마음챙김 명상 모두 병원을 기반으로 심장병이나 고혈압 환자, 그리고 암이나 만성 통증 환자를 주 타깃으로 하여 활용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이와 달리, 심리상담센터 혹은 요가센터에서 명상을 심리적인 문제의 해결이나, 이완을 통한 건강을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을 달리하고 있다. 그곳에 아직은 한의사들이 자신의 공간을 구축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KJW 0005-img-02.jpg


우리 병원에서는 매일 오후 5시에 명상이 진행된다. 화병클리닉에서 진료를 받고 있는 우리 과의 환자들, 암센터에서 의뢰를 받은 암 환자분들이 주로 대상이다. 환자들이기에 오랜 시간 동안 명상을 할 수는 없지만, 명상은 매우 직접적으로 도움이 된다. 짧은 시간이지만 집중도는 대단하다. 그리고 그만큼의 성과도 있다.


KJW 0005-img-03.jpg


미국에서 명상이 저변으로 퍼지기 전, 진행되었던 곳이 병원이다. 특히 복합적인 증후를 가진 사람들, 1차적인 의학에서도 효과를 보지 못한 사람들, 스스로 자신의 병을 이겨내려는 사람들 등이 우리나라에서 한의원을 주로 찾는다. 그들이 명상을 통하여 고통에서 벗어나면서 점차 생활에서의 명상으로 범위가 넓어져 가고 있다.


여기서 거듭 드는 의문!

한의사는 왜 명상에 관심이 없을까? 명상을 가장 잘 할 수 있는 의료인인데 말이다.



© 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