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이다.
모든 병은 인간의 본능인 ‘움직임’을 하지 못하는 가운데 시작을 하며, 치유는 그 움직임의 첫 단추인 ‘걷기’에서 시작을 한다.
한의학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연치유력을 극대화하여 고통과 질병에서 벗어나 건강과 행복을 찾아가도록 도와준다. 또한 한의사는 자연 현장에서 이러한 길을 인도하는 데 최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저자는 걷기 여행의 스텝으로 참여하여 트레킹을 인도하면서 걷기가 힐링을 위한 최고의 작업임을 확인하였다. 동반자와 함께 걸으며 명상을 할 수 있고, 상담을 해줄 수 있으며, 트레킹을 하면서 자연을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고, 힘든 몸과 마음을 치료하며, 밤 시간 진정한 이완과 행복을 위한 조언을 해줄 수 있는 모든 역량을 가지고 있는 직업이 한의사다.
본 칼럼에서는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한다.
[경력]
- 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
- 현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화병클리닉 담당의
- 현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개발사업단 부단장
- 한방신경정신과학회장
- (사)한국명상학회 부회장

[저서]
- 2017 『마흔넘어 걷기 여행』
- 2016 『한의학상담』
- 2013 『화병 100문 100답』
- 2011 『기와 함께 하는 15분 명상』

김종우
김종우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입니다. 저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이런 수련 어떤가요?

 

KJW 0006-main.jpg



한의사나 한의대생들은 한의학 공부를 시작하면서 자신의 몸에, 친구의 몸에 침을 놓아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약초를 캐서 냄새를 맡고, 맛을 보고, 심지어 먹어보기도 했을 것이다. 기공 실습을 하면서 기를 느껴보고 또 다른 사람에게 기를 방사해 본 경험도 있을 것이다. 한의학 공부는 이렇게 스스로 느끼고 경험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그런데 임상에서 한의사 생활을 하면서 침이나 약, 그리고 기와 같은 것을 스스로 체험하는 시간은 줄어들고, 특히 수련이라는 경험은 이제 익숙하지도 않다.


심리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자기 점검은 매우 중요한 과정 가운데 하나다.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를 위해 자신을 알아가는 것은 필요한 일이기도 하지만 어쩌면 수련 과정이라고 할 수도 있다. 슈퍼바이저에게 임상 장면에서의 사례에 대하여도 지도를 받지만, 또한 그런 임상 장면에서 변화하는 자신에 대하여도 점검을 받게 되는데, 이것이 일종의 수련 과정인 것이다.


한의학 치료 방법에서 침이나 약은 굳이 다른 사람에게 시술되는 것이라 하여 자기 경험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기공이나 상담은 분명 본인이 확인하고 점검해야 하며 지도를 받아야 하는 수련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런 기회는 매우 한정적이고 별다른 체계가 갖춰져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기공이나 상담은 명상과도 매우 비슷하다. 한의사들이 임상에서 활용하는 방법 역시 유사하다. 그런데 정작 명상에 대하여는 꾸준한 수련이 이뤄지고 있고 자기 점검뿐 아니라 지도자로부터의 피드백도 활성화되어 있다.


연말 명상수련에 대한 경험은 한의사 입장에서 수련과 자기 점검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생각해 볼거리가 된다.


명상 모임이 다른 모임에 비하여 독특하기는 하지만, 이번 연말 모임은 또 다른 재미와 의미를 가질 수 있었다. 이른바 “명상 송년회 철야 명상” 송년회라고 한다면 으레 모여서, 재미있게, 소란스럽게, 그리고 식사에, 술에 뭐 이런 것들이 생각날 수 있는데, 이번 모임은 철야 명상을 주 테마로 잡고, 명상을 끝내고 송년회를 가지는 형태로 개최되었다.


KJW 0006-img-01.jpg


전체 일정은 밤 10시 모임과 인사로 시작하여, 1차 30분 정좌 명상 - 10분 걷기 명상 - 2차 30분 정좌 명상 - 10분 걷기 명상 - 3차 30분 정좌 명상이 이어진다. 이어 1시간 오체투지 절 명상이 있고, 1년을 돌아보는 명상 그리고 철야 명상의 소감 나누기로 새벽 4시까지 이어진다. 정작 송년회는 새벽 4시에 시작을 한다.


10시부터 시작된 모임의 특징은 시작과 함께 나눈 대화에서도 여실하게 드러났다. 이미 여러 번 밤샘 명상을 경험한 사람들은 별다른 말없이 명상 준비를 하는데, 처음으로 밤샘 명상을 도전하는 사람들은 걱정이 앞서 있다. 밤샘 명상과 용맹정진에 대하여 "걱정과 두려움은 마음이니, 자신은 그저 명상을 늘 해왔던 것처럼 그저 충실하게 수행합시다."라는 지도자의 설명과 함께 이번 밤샘 명상은 묵언으로 진행됨을 말씀해 주셨다. 30분으로 시작해서 정좌한 자세를 유지하며 세 차례의 반복, 거기다가 처음 주제로 삼았던 것에서 벗어나지 않고, 계속해서 한 가지 주제로 반복, 또 반복하는 작업이 2시간여 진행되었다.


바디 스캔을 주제로 삼은 사람은 2시간 이상의 몸 관찰을 통해 자신의 몸 곳곳을 관찰한다. 호흡을 주제로 삼은 사람은 숫자 세기를 200까지 세는 것도 몇 차례 반복하면서 집중 또 집중해 본다. 첫 번째로 떠오르는 생각에 대하여 마음챙김을 하기로 한 나는 그래도 계속해서 꼬리를 무는 다른 생각들로 밤을 지새웠다. 첫 30분은 1시간처럼, 두 번째 30분은 30분처럼, 마지막 30분은 15분 정도로 여겨졌고, 머리는 점점 더 맑아지고, 생각은 더 선명해지고, 마음은 더 편안해져 갔다.


정좌 명상을 한 이후에 시작되는 오체투지는 오히려 반가웠다. 정좌의 자세를 2시간여 한 이후에 만나는 움직임은 인간이 움직이는 동물임을 여실히 알 수 있듯 도리어 즐길 수 있었다. 절 명상보다 한 두 동작이 추가된 방법으로, 티베트에서 시행하는 방법인데 손발과 함께 이마까지 바닥에 완전히 닿음으로써 자신을 끝없이 낮추는 동작의 반복이다. 천천히 하면 1분에 3회~5회 정도를 하는 것 같으니, 1시간을 한다면 180번~300번의 절 동작을 하게 된다. 처음에 반갑던 움직임이 반복되면서 피로감이 밀려오기도 하고, 그렇지만 깨어 있음에 감사하며 반복을 한다. 동작은 전신을 웅크렸다, 완전하게 펼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완전한 수축과 팽창을 하게 되어 몸이 할 수 있는 모든 자세를 자연스럽게 만들어 낸다. 1시간 이어졌지만, 대부분의 참가자가 지나가는 시간이 너무 짧다고 아쉬워할 정도로 밤샘 수련에서는 매력적 작업이었다.


KJW 0006-img-02.jpg


다시 시작된 정좌 명상은 살아온 1년을 "사띠(sati)"하는 작업이다. 1년을 1달씩 나누고, 3분마다 12월부터 1월까지 "사띠", 즉 기억하고 알아차리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다. 세월이 흘러갈수록 기억은 드러나지 않고, 도리어 도대체 기억나지 않는 그 순간을 오로지 사띠하는 것이다. 빈 공간, 도저히 찾아지지 않는 그 기억을 사띠하고 정작 비어있음을 깨달아 가는 과정이다. 한해를 돌아보면서 힘들게 살아온 자신, 재미있게 살아온 자신, 고통스러웠던 자신의 모든 모습을 하나씩 만나본다.


그리고 늘 하는 소감 나누기는 일종의 피드백 시간이다. 우선 밤샘 명상의 경험에 대하여 모두 뿌듯해한다. 잠시 졸았던 적도 있지만, 명명적적(冥冥寂寂)한 시간을 보낸 것에 대하여 명상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고들 한다. 명상학회에서 매번 집중수련회 때 했던 철야 명상, 이른바 용맹정진을 송년회에서 하면서 한 해를 돌아볼 기회를 가짐에 감사했다. 오체투지를 통해 자신의 몸이 고통에서 벗어나는 과정, 즉 자신을 한없이 낮추고, 자애로움을 키워나가면서 통증도 사라지는 경험을 함으로써 신체 작업의 독특한 효능을 알 수 있게 하였다.


새벽 4시가 넘어서야 송년회가 시작되었다. 철야 명상, 용맹정진을 모두 끝내고 하는 송년회라서 그런지 일 년을 열심히 살아온 뿌듯함과 내년에는 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다고 기대하는 마음이 가득 찼다. 그 마음을 일 년 후 다시 읽을 편지에 담아 보낸다. 지난 일 년처럼 내년을 또다시 의미 있고, 행복하게 살아갈 것을 다짐해 보았다. 그리고 그 일 년 동안 명상이 함께 할 수 있음에 감사의 마음을 가져 보았다.


KJW 0006-img-03.jpg


이번 명상학회 연말 명상수련 모임에는 한의사 6명이 함께 했다. 그동안 기초 교육을 받았지만, 정작 수련과는 거리를 두고 임상 현장에서 진료를 열심히 하였다. 그렇지만, 명상을 임상에 적용할 때마다 수행이라는 것을 소홀히 한 아쉬움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우리는 늘 이런 수련의 시간이 부족함을 느끼게 된다. 체계적이면서도 지속할 수 있는 피드백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이다.


같이 수련한 한의사의 소감이다.


KJW 0006-title-01 30.jpg 

오랜만에 밤샘 용맹정진이었습니다. ^^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맛있었다~~!!!
나 자신에게 정말 필요했던 소중한 시간을 선물해주었습니다.


마음을 바라보는 정좌 명상
지금 여기에서 마음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바라보는 시간
현재에서 관찰하는 자를 관찰하는 경험은 오랜만에 자신을 위한 치유의 시간이었습니다.


오체투지 시간은 처음 해보는 아주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오체투지를 하면서 생각에서 빠져나와 현재 느껴지는 몸의 감각을 바라보는 명상이었습니다.
저는 오체투지를 만들어내고 수행했던 사람들의 마음이 떠올랐습니다.
잠깐이나마 자신의 생리적인 모든 욕심을 포기하고 내려놓는 경험을 해보는 것은 정말 굉장한 경험이었습니다. (중략)


그리고,
송년회를 밤새고 해보기는 처음입니다. ^^ ㅎㅎㅎ
그것도 용맹정진과 함께 하는 송년회라니...
엄청 신선했고 전통으로 삼아도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KJW 0006-title-02 30.jpg 


© 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