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중국 왕소군의 고향마을과 생강콜라

 

JTG 0034-main-A.jpg 



이곳에서 뜻밖의 이름을 듣게 될 줄은 몰랐다. 중국의 절세 미녀 왕소군(王昭君). 그녀의 고향이 이곳 선눙자(神農架)에 있었다.



나라를 위해 흉노에 시집간 천하절색


한국인에게 왕소군이라는 이름은 조금 낯설게 들릴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중국에서는 양귀비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미인이다. 중국에서는 양귀비, 서시, 초선과 더불어 왕소군을 더해 4대 미녀라고 부른다. 이쯤 되면 “아!”하는 사람 좀 있을 거다. 그만큼 중국 미인의 전형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JTG 0034-img-01.jpg


명성과 다르게 왕소군은 비극적인 생애를 살았던 편이다. 그는 전한 시대의 사람으로 원제의 후궁이었다. 당시 황실의 후궁 사이에서는 화공에게 뇌물을 주고 초상화를 최대한 아름답게 그리는 유행이 있었다. 황제가 초상화를 보고 마음에 드는 후궁을 간택했기 때문인데, 그러지 않고서는 좀처럼 황제를 만날 기회도 눈에 들 방법도 없었단다. 당연히 너도나도 조금이라도 예쁜 초상화를 얻겠다고 경쟁을 벌였는데, 왕소군은 그러지 않았던 모양이다. 편법을 쓰지 않고 정도를 고집하는 게 선한 자의 덕목이어서 그런 걸까. 생각해 보면 군자는 길이 아니면 가지 않는다는 말씀과도 일맥상통하는 면이기도 하고, 중국인이 칭송해 마지않는 자는 대체로 성품이 이런 편이다.


문제는 왕소군의 이런 성품이 파란만장한 일생을 만들었다는 것. 화공은 그에게 받은 것이 없으니 초상화에 공을 들이지 않았음이 명약관화하다. 기록에는 왕소군을 추하게 그렸다고까지 하는데, 실제 그리했는지까지는 알 수 없으나 남들보다 못한 초상화를 가지게 된 건 맞는 듯하다. 당시 황제였던 원제는 서북의 흉노족의 호한야선우에게 시집보낼 후궁을 찾았는데, 초상화를 보고 개중 미모가 떨어지는 후궁을 골랐으나 하필 그게 왕소군이었다. <한서>의 ‘원제기’에 나오는 내용으로 경녕 원년(기원전 33년) 봄 정월의 일이었다.


JTG 0034-img-02.jpg


흉노로 보내지던 날, 원제는 후궁과 만난다. 아마도 변방에서 고생할 게 뻔히 보이는 그를 위로하겠다는 생각이었을 테다. 그런데 이게 웬걸. 왕소군은 세상에 다시없을 천하절색이었다. 원제는 넋이 나갈 만큼 그녀에게 마음을 빼앗겠지만, 이미 때는 늦었다. 분노한 원제는 화공인 모연수를 참형에 처했다는 뒷이야기도 함께 전한다.


중국의 4대 미녀 중에서도 왕소군은 비교적 덜 알려진 편이다. 미모가 너무 뛰어나 나라를 파국으로 몰았던 다른 세 명과 달리 중국인들이 왕소군을 대하는 감정은 애틋한 쪽에 가깝기도 하다. 나라를 위해 한 몸 바쳐 비극을 택한 미녀라고 보는 시선이다. 춥디추운 북방의 날씨에 ‘봄이 와도 봄 같지 않다’는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라는 유명한 시구의 주인공, 그가 바로 왕소군이다.


JTG 0034-img-03.jpg



한나라 시대의 생활상을 복원한 마을


선눙자라는 곳이 워낙 한국에 잘 알려지지 않기도 하지만, 이곳에서 왕소군의 이름을 듣게 될 줄은 정말 몰랐다. 버스에 올라, 한 시간 남짓. 중국 여행 중에는 굉장히 짧은 거리를 이동했을 뿐인데 왕소군의 고향이라는 곳에 도착했다. 선눙자로 들어가는 길목인 후베이성(湖北省) 이창시(宜昌市) 싱산현(興山縣) 바오핑촌(宝坪村)이라는 지역인데, 소군촌(昭君村)이라고도 불린다.


JTG 0034-img-04.jpg


이곳은 예전부터 왕소군의 고향이라고 해서 옛 마을의 모습을 보존하고 있었다. 하지만 옛 마을의 모습이 낡은 데다 여행자가 찾아오기에는 적잖이 불편할 만큼 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었던지라 정부 측에서 이 마을 전반을 손을 봤다. 꽤 오랫동안 복원 및 중수 작업이 이루어진 끝에 재작년 경에 다시 문을 열었다고 했다. 이 마을에는 왕소군의 원래 집터를 중심으로 기념관과 한나라 당시의 민속문화를 살필 수 있는 자료관 등을 만들어 두었는데 꽤 볼만한 편이다.


JTG 0034-img-05.jpg


그중에서도 가장 인상적이었던 곳은 마을 초입에 있는 주조장. 타고나길 향긋한 술 냄새에 끌리게끔 타고난 것은 역시 어쩔 수 없는 모양인지, 인근에 발을 들이자마자 콧속으로 향긋한 내음이 스며들었다. 내부를 둘러보니 꽤 멋들어지다. 마을에 복원해 둔 민속문화관 중에서도 단연 돋보인다. 이곳에서는 실제로 술을 빚어 파는지 한쪽에서 바이주 특유의 향기가 계속 흘러나왔다.


JTG 0034-img-06.jpg


다음으로 눈길이 가는 공간은 당시의 민가를 재현해 둔 공간이었다. 당시 사람들은 어떤 주방문화를 가지고 있었고, 어떻게 식사를 했는지를 보여주는데 지금까지 중국을 여행하면서 본 자료관 중에서도 수위로 꼽을 수 있을 만큼 실제에 가깝게 복원했다. 여러 가지 형태의 민가를 지나는 동안 알록달록 원색의 작은 꽃이 만발한 정원을 지난다. 늦가을에서 초겨울로 들어가는 시기에도 이곳은 양귀비를 닮은 꽃이 드넓게 피어 있었다. 현지 관계자에게 물어보니 이쪽 일대가 사시사철 서로 다른 풍광을 자아내는데, 그중에서도 계절마다 피어나는 꽃들이 볼 만하단다.


JTG 0034-img-07.jpg


여러 다양한 공간을 지나 마침내 왕소군의 집터에 들어섰다. 왕소군을 후궁으로 삼는다는 황제의 명을 읽는 자와 그 앞에 엎드린 왕소군의 부모가 그날의 분위기를 보여주는 것처럼 실감 나게 만들어져 있다. 그녀가 뛰어놀았을 법한 마당과 부모와 함께 식사하던 주방, 거실 등을 찬찬히 살펴본다. 왕소군이라는 인물에 크게 관심을 가졌던 것은 아니지만, 이 정도로 훌륭하게 공간을 구성해 놓았다면 없던 관심이 생길 법도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옛 역사문화유적을 복원하는 중국의 수준이 몇 년 사이에 정말 몰라보게 달라졌다는 생각도 함께.


JTG 0034-img-08.jpg



중국 최고의 감자와 생강콜라


선눙자는 중국 의학의 시조인 신농씨(神農氏)가 살던 곳답게 식재료가 매우 좋다. 음식도 자극적이지 않고 간이 적당하다. 짠맛과 단맛 쓴맛 등 맛의 밸런스도 상당했다. 물론 이번 여행에서 다녔던 곳이 선눙자 안에서도 맛있기로 손에 꼽는 곳만 다닌 것도 있겠지만, 식사할 때마다 감탄스러울 만큼 맛깔난 요리가 연이어 나왔다.


JTG 0034-img-09.jpg


현지 관광업 관계자와 식재료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나누었는데, 선눙자에서 나오는 특산물 중에서도 최고로 치는 건 감자라고 했다. 배추니, 시금치 같은 푸성귀류도 선도가 아주 좋고 당근, 우엉 같은 뿌리채소도 매우 튼실한데 선눙자 하면 감자를 빼놓을 수 없다는 게 그들의 설명이다. 중국 전역에서 알아주는 편인데, 어느 정도인고 하니 매년 그해에 생산한 감자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판별하는 기준으로 사용하는 게 선눙자의 감자라고 한다. 중국 감자의 기준이 되는 셈이다.


JTG 0034-img-10.jpg


이번 여행하는 동안 먹은 감자 요리는 “맛있다”는 이야기가 누구에게서나 나올 만큼 맛이 뛰어났다. 선눙자의 감자 이야기도 맛있다며 감탄하는 일행의 반응을 보고 들려준 이야기였다. 감자는 한국에서 흔히 먹는 수미 품종과 비슷한 것 같지만 훨씬 차진 식감을 가졌다. 감자만의 미세한 쓴맛은 덜하고 전분 비율이 높아 씹을수록 단맛이 느껴진다. 살짝 익혀서 채소와 함께 센 불에 빠르게 볶아 나온 알감자 요리는 포슬포슬한 식감이 일품이었다.


JTG 0034-img-11.jpg


이와 더불어 여행 중에 모두의 이목을 사로잡았던, 잊을 수 없는 매우 독특한 음료가 있었다. 생강콜라다. 처음에는 식사를 마친 후에 내주는 생강차인 줄 알았다. 선눙자 지역은 약초를 적극 활용하는 지역인 만큼 이 시기면 생강차도 즐겨 마시는 모양이었다. 생강차를 권하는 식당이나 호텔을 선눙자 전역에서 종종 만났다. 당연히 생강차인 줄 알고 마셨는데, 식당 주인이 지나가면 한 마디를 남긴다.


“그거 생강콜라예요.”


화들짝 놀랐다. 중국에서 생강을 넣고 콜라를 데워 마신다는 이야기는 들어봤지만 직접 마셔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 말을 듣고 다시 맛을 보니 정말 콜라의 단맛이다. 누가 얘기해 주지 않았다면 자연스레 생강차라고 생각하기 좋을 만큼 맛이 비슷하다. 설탕에 생강을 절여 청을 만든 것과 달리 콜라의 단맛을 이용한 것뿐인데, 상당히 유사하다. 차이라고 해도 캐러멜 같은 다른 첨가물로 인한 콜라 특유의 감칠맛이 혀끝에 남는 정도다. 이마저도 어지간한 미각으로는 구분하기 어려운 차이다.


JTG 0034-img-12.jpg


중국 여행은 아무리 다녀도 새로운 무언가를 계속 만나게 되는 재미가 있다. 말로만 들었던 생강콜라와의 조우는 쉽게 잊지 못할 강렬한 기억이다. 다시 한번 마셔볼 기회가 있다면? 당연히 또 마셔야지. 그것 역시 지금의 그 지역을 설명하는 중요한 음식문화인데, 마다할 이유가 없다.



JTG 0034-title.jpg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생강은 맵지만 향긋한 냄새가 나는 식물이다. 칼로리도 100g당 53kcal로 적어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다. 생강 성분인 진저롤 (gingerol)은 항균 효과가 뛰어나다. 종양 억제, 체내 지질 저하, DNA 손상 억제 등의 효과가 있다고도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몸을 따뜻하게 만들어서 감기 예방에도 좋다. 또 당뇨로 인한 합병증 개선이나 당뇨성 사구체 비대증 예방 등에도 뛰어나다는 연구가 발표된 바 있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