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중국 이창 싼샤댐과 찹쌀완자

 

JTG 0033-main.jpg



거대한 댐이 눈앞에 섰다. 압도적인 위용. 이곳은 13억 중국인의 핏줄이자 자랑, 양쯔강이다.



중국 최장 양쯔강, 세계 최대 싼샤댐


벌써 두 번째다. 처음 이 댐을 마주한 게 2년 전. 그때는 충칭 (중경, 重慶)에서부터 양쯔강 줄기를 따라 하루 160킬로미터씩 3박 4일간 후베이성의 이창 (의창, 宜昌)까지 흘러드는 크루즈를 탔다. 여러 기항지를 여행하고 다시 배에 오르길 반복한 마지막 밤, 비로소 이 댐을 볼 수 있었다. 세계에서 가장 크다는 싼샤댐. 규모로만 놓고 보아도 미국이 자랑하는 후버댐의 10배에 가깝다.


JTG 0033-img-01.jpg


싼샤댐은 넓이만 2,309미터, 높이는 185미터에 달한다. 양쯔강의 물길을 막아서 만든 만큼 그 규모가 대단하다. 중국 대륙을 가로지르는 양쯔강은 길이만 무려 6,300킬로미터에 달한다. 티베트 고원에서 시작한 작은 시냇물은 거대한 강물을 이루고 상하이 앞바다로 빠져나간다. 거대한 중국을 가로지르는 이 물줄기를 일컬어 한자 ‘강(江)’으로 표현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강을 의미하는 또 다른 글자인 ‘하(河)’는 황하를 뜻한다. 중국에서는 이 강을 창장 (장강, 長江)이라고 부른다.


이번에는 싼샤댐과 그 인근을 비교적 자세히 들여다보는 기회가 주어졌다.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시설은 2년 전 크루즈를 타고 통과했던 갑문이다. 선박이 높이 200미터에 가까운 싼샤댐 아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총 다섯 개의 갑문을 통과해야 한다. 갑문 안으로 물을 채우고 빼는 식으로 선박을 이동시키는데, 하나의 갑문을 통과하는 시간은 10여 분에 불과하다. 하지만 갑문을 통과하려는 선박이 많을 때는 하나의 갑문을 통과하는 데만 한 시간 가까이 대기를 해야 한다. 그래서 하룻밤을 꼬박 새워야만 위에서 아래로 내려온다. 3,000톤 미만의 선박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30분 만에 댐의 위아래로 이동할 수도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평범한 건물처럼 보이지만, 선박을 밀폐된 공간에 가두고 물을 채워서 이동시키는 시설이다. 선박 엘리베이터가 가능하다는 말에는 헛웃음이 나올 뿐이다.


JTG 0033-img-02.jpg


버스를 타고 거대한 갑문을 지나치는데 당시의 기억이 생생하다. ‘끼익’거리는 쇳소리를 쉼 없이 내지르며 갑문을 통과하는 12,000톤의 배가 무척 신기했었다. 싼샤댐은 크게 두 군데의 구역으로 나누어지는데, 선박이 통과하는 갑문 구역과 물을 가두고 발전을 하는 구역이다. 각각의 구역은 물줄기도 따로 나누어 두었다.


JTG 0033-img-03.jpg


이 댐에는 좌측에 14대, 우측에 12대, 그리고 우측 가장자리에 6대의 발전기가 있다. 여기서 연간 최대 1,000억 킬로와트의 전기를 생산하는데, 이 발전량 역시 세계 최대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2킬로미터가 넘는 댐 전체에는 45개의 물 배출구를 뒀다. 상단의 22개 구멍에서는 물이 배출되고 하단의 23개의 배출구에서 물에 딸려온 모래를 뿜어낸다. 평소에는 고요하지만, 물이 배출될 때는 굉장한 장관을 만들어낸다고 한다. 감히 상상하기도 어려운 모습이다.


JTG 0033-img-04.jpg



노르웨이를 연상케 하는 양쯔강의 풍광


싼샤댐 관광을 마친 일행은 다시 배를 타기 위해 발걸음을 옮겼다. 몇 날 며칠을 배 위에서 숙식했던 2년 전과는 달리 3시간 정도 양쯔장을 거슬러 올라가는 크루즈 여행이다. 이번 여행의 주 목적지인 선눙자 (신농가, 神農架)로 향하는 길이기도 하다.


JTG 0033-img-05.jpg


선착장에 몸을 기댄 배로 올랐다. 과거에 탔던 12,000톤급 리버 크루즈에 비하면 절반 정도로 작은 규모지만 내부 시설이 꽤 호화로운 유람선이다. 배의 이름은 가오샤핑후(高峽平湖) 3호. 연회실과 바, 외부 전망대 등이 잘 만들어져 있고 시설도 상당히 깔끔하다. 중국의 리버 크루즈를 처음 타는 이는 여지없이 “우와!”하는 감탄사를 내지르기 마련이다.


JTG 0033-img-06.jpg


배에 오른 지 얼마 되지 않아 선체가 기지개를 켜듯 강 가운데로 미끄러져 흘러간다. 출항하는 배의 외부 전망대에 올랐다. 다소 거친 물결을 가르며 나아가는 씨 크루즈와 비교하면 확실히 정적인 움직임이다. 저 멀리 댐을 뒤로하고 미끄러지듯 앞을 향해 나아가는 배의 좌우로 우뚝 솟아오른 협곡이 펼쳐진다. 싼샤 (삼협, 三峽)는 세 개의 협곡이 줄지어 늘어섰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그중에서도 가오샤핑후가 가로지르는 구간은 서릉협이다. 가파르게 떨어지는 절벽을 가졌지만, 그 선의 매무새가 유려하고 웅장하다. 과거 이 땅에서 활약했던 수많은 영웅의 기개가 이런 모습을 닮았던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만큼 압도적이다. 거대한 양쯔강에서만 볼 수 있는 풍경이다.


JTG 0033-img-07.jpg


대단한 풍광을 가진 만큼 중국의 부호들도 이곳에 별장을 지어 놓고 즐겨 찾는 모양이다. 산마루에 점점이 지어진 집은 한눈에도 고급스럽다. 함께 있던 여행기자는 이 풍광을 보고 기대치 않았던 모습이라며 마치 노르웨이의 피오르 크루즈를 탄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 배의 내부에 앉아 차를 마시며 바라보는 경치는 확실히 북유럽의 그것을 닮았다. 강의 중간에 점점이 떠 있는 작은 섬에는 유럽의 교회를 본뜬 듯한 모양의 건축물이 섰다. 설명을 들어보니 이곳을 찾아오는 이들은 여기서 웨딩사진을 찍거나 피크닉을 즐긴다고. 지난 10년 사이에 중국의 여가활동도 많이 바뀌었음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JTG 0033-img-08.jpg


배의 앞쪽 갑판에 마련한 테이블에 자리를 잡고 앉았다. 선내 승무원이 준비해 준 과일에 차를 마시며 천천히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물길을 만끽하는 호사다. 지나가는 작은 배의 어부가 손을 흔들면 마주 손짓을 하며 인사를 건넨다. 세상의 그 어떤 시름도 이 강물에 털어버릴 수 있을 것만 같은 평온함이 무척 좋았다. 500명에 가까운 인원을 태우고 며칠씩 흘러가는 배에서는 느끼지 못한 심리적인 안정감이다.


JTG 0033-img-09.jpg



이창의 명물 찹쌀완자


한창 갑판 위에서 천하태평한 시간을 보내던 중에 식사가 준비되었으니 연회실로 모여 달라는 공지가 들린다. 배 안에서 하는 식사야 몇 차례 경험이 있으니 큰 기대는 하지 않았다. 그런데 꽤 그럴싸한 한 상이 차려졌다. 14가지 요리가 차례로 등장하는데 이창의 맛을 제대로 보여주겠다는 주방장의 의지가 느껴질 만큼 정성을 다한 상차림이다. 메뉴판을 보니 양쯔강에서 잡은 민물새우튀김, 토란고로케, 검은후추소고기볶음 등 하나같이 다른 곳에서 맛보기 어려운 메뉴다.


JTG 0033-img-10.jpg


젓가락을 들어 조금씩 맛을 보는데, 간도 적당하고 전반적인 맛의 밸런스가 훌륭하다. 한국인 관광객이 기름진 중국 음식을 어려워하는 걸 자주 보는데, 메뉴가 전반적으로 담백한 편이어서 모두가 만족스러워하는 눈치다. 함께 식사하는 크루즈 측 인사에게 물었다.


“이 중에서 이창을 대표할 만한 음식을 손꼽으라면 어떤 걸 추천하시겠어요?”

잠깐 고민하던 그가 음식 하나를 가리켰다.

“단연 이 찹쌀완자죠. 쌀 안에 양념한 돼지고기 소를 넣어서 쪄낸 건데, 이건 다른 지역에서 먹기 어려울 겁니다. 한 번 맛을 보시죠.”


그의 추천에 완자 하나를 집어 들었다. 얼핏 보기에는 작은 경단처럼 주먹밥을 빚어 놓은 것 같다. 한입 베어 무니 한쪽에서 고소한 육즙이 느껴진다. 그의 설명대로 양념한 돼지고기를 다져서 소로 사용했는데, 돼지고기의 잡내를 향신료로 잡은 듯했다. 찹쌀로 겉을 감싸서 차지게 씹히는 식감도 좋다. 처음에는 쌀의 단맛이 입안에 퍼지다가 고기가 씹히면서 슬며시 돼지고기의 고소한 맛이 밀려오는 식이다. 중국의 곳곳을 취재하면서 세기도 어려울 만큼 다양한 음식을 먹어봤지만, 이건 분명히 처음 맛보는 음식이다.


JTG 0033-img-11.jpg


중국은 밀가루를 주로 먹는 지역도 꽤 넓게 분포하지만, 양쯔강 연안은 쌀 재배를 많이 한다. 강물이 만들어낸 비옥한 토양 덕에 이창시가 있는 후베이성과 인근의 후난성에서는 과거부터 쌀과 밀의 재배가 활발했다. 중국의 대표적인 곡창지대인 셈이다. 더불어 면화와 차 재배도 성행했고 양쯔강 유역의 어업도 발달해서 여러모로 물산이 풍성했다. 후베이성이 요리가 발달한 중국의 동부 해안 도시들과 비교해도 결코 뒤지지 않는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는 건 그런 천혜의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둔 덕택이다.


채소를 볶은 요리나 고기를 매콤하게 볶은 것도 좋았지만 자꾸만 완자에 손이 간다. 다른 도시에서는 먹기 어렵다는 희소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찹쌀완자만의 독특한 식감과 맛 때문일 것이다. 배부르게 식사를 마치고 따뜻한 차를 한 모금 들이켰다. 양쯔강 위에서 여유롭게 즐긴 식사가 무척 만족스럽다. 창밖으로 보이는 아름다운 경치를 즐기며 그렇게 배는 선눙자로 흘러가고 있었다.



JTG 0033-title-01.jpg


일상에서 흔하게 먹는 멥쌀과 달리 차진 식감을 가지고 있다. 나미(糯米) 또는 점미(黏米)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밥을 짓는 멥쌀은 배젖이 반투명한데, 찹쌀은 유백색으로 불투명해 구별이 용이한 편이다. 또 찹쌀의 녹말은 대부분 아밀로펙틴 (amylopectin)으로 이루어져 있어 요오드 반응이 적갈색을 띤다. 아밀로오스 (amylose)로 이루어진 멥쌀은 청색을 띤다. 차진 식감을 가진 찹쌀은 멥쌀보다 소화가 잘된다. 식물성 식이섬유가 많고 수분 유지력이 우수해 변비에 효과적이다. 비타민 D 역시 함유하고 있어 뼈를 강화하고 면역체계와 신경계를 강화한다. 항산화 작용을 돕는 비타민 E와 프롤라민 (prolamin) 성분도 풍부해 노화 방지 및 심장 질환에 좋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