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이다.
모든 병은 인간의 본능인 ‘움직임’을 하지 못하는 가운데 시작을 하며, 치유는 그 움직임의 첫 단추인 ‘걷기’에서 시작을 한다.
한의학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연치유력을 극대화하여 고통과 질병에서 벗어나 건강과 행복을 찾아가도록 도와준다. 또한 한의사는 자연 현장에서 이러한 길을 인도하는 데 최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저자는 걷기 여행의 스텝으로 참여하여 트레킹을 인도하면서 걷기가 힐링을 위한 최고의 작업임을 확인하였다. 동반자와 함께 걸으며 명상을 할 수 있고, 상담을 해줄 수 있으며, 트레킹을 하면서 자연을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고, 힘든 몸과 마음을 치료하며, 밤 시간 진정한 이완과 행복을 위한 조언을 해줄 수 있는 모든 역량을 가지고 있는 직업이 한의사다.
본 칼럼에서는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한다.
[경력]
- 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
- 현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화병클리닉 담당의
- 현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개발사업단 부단장
- 한방신경정신과학회장
- (사)한국명상학회 부회장

[저서]
- 2017 『마흔넘어 걷기 여행』
- 2016 『한의학상담』
- 2013 『화병 100문 100답』
- 2011 『기와 함께 하는 15분 명상』

김종우
김종우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입니다. 저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한국의 명상을 말한다

 

KJW 0007-main.jpg



한국명상학회가 올해 초 발간한 책이다. 한국의 명상에 대하여 조망을 한 책으로 학회 10주년을 맞아 10여 년간 변화된 한국의 명상에 대하여 명상 지도 전문가 32인의 시각과 경험을 담았다. 대담을 통하여 깊은 명상을 나눴고, 모은 글을 통해 명상이 사회 여러 방면에서 넓게 활용되고 있는 점을 살펴보았다. 한의학 영역에서 다뤄지고 있는 명상도 있다.


“한국명상학회는 명상을 과학화하고 대중화함으로써 건강과 행복 증진이라는 대의를 공유하는 심리학, 의학, 한의학, 간호학, 교육학, 사회복지학, 심신치유학, 요가 등 심신 관련 치유 분야의 학자들과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명상을 연구하고 수련하는 공동체다.”


한국의 명상이라고 하면 전통적인 명상을 떠 올릴 수 있지만, 이 책에서 다루는 한국의 명상은 실상 미국으로부터 흘러온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한국 사회의 명상센터, 상담센터, 병원, 학교 등에서 활용되고 있는 명상은 미국에서 흘러온 명상, MBSR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이다.


한국의 명상은 절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불교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명상을 공부하고, 일반인들은 템플스테이 같은 곳에서 명상을 접한다. 일본 역시 그러하다. 일본은 좌선이라고 하여 “禪”을 “Zen"으로 문화에까지 넓게 활용하고 있다. 중국은 유물론적 관점으로 기공이 약화된 이후 정신적인 문제에 대한 명상은 크게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명상의 근원이 깊은 동아시아 국가에서의 명상은 종교적이거나 때로는 문화적으로 접근을 하고 있지만, 일상에서는 널리 활용되지 못했고 실용적인 면은 간과되어 왔었다. 그래서 깊이는 있을지언정 접근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반해 미국의 명상은 매우 실용적이다. 정작 명상이 필요한 사람에게 제공되었다. 집중 명상은 이완 반응이라는 내용으로 고혈압과 심장 질환에 개입하고, 위파사나(vipassana) 명상은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를 모토로 통증, 암, 그리고 여러 정신 장애에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수백 군데 곳의 의료기관과 거의 모든 의과대학에서 치료의 한 방법으로 교육을 하고 있다. 명상의 저변이 넓어지게 된 시작은 병원과 대학으로부터다.


MBSR은 미국 명상의 대표 주자다. 이미 한국에서 수십 권의 책으로 번역 혹은 저작되어 있다. 아시아의 명상이 미국으로 넘어가 실용적인 날개를 단 이후에 한국에서 다시 만나게 된 것이다. 학자들이 MBSR을 받아들이고 학회를 만들어 같이 공부하고, 수련하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프로그램으로 세팅이 되어 있고, 누구나 같은 방법으로 같은 조건에서 수련하면 일정한 효과를 담보한다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MBSR 이란 검색어로 논문을 찾다 보면 해마다 수백 편의 논문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명상학회도 프로그램을 받아들여 학술대회, 수련회를 열고 한국형 MBSR (K-MBSR)을 교육, 보급하고 있다.


KJW 0007-img-01.jpg


명상은 기실 여러 의료 분야 가운데 한의사와 가장 친할 수 있다. 그 원류가 아시아이기도 하지만, 실제 기공이나 기 수련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과 매우 유사하다. 기공삼조(氣功三調)라고 하는 자세 훈련(調身), 호흡 훈련(調息), 마음 훈련(調心)은 명상에서도 고스란히 다루고 있어, 명상을 종류별로 나눠서 한 가지씩 수련을 할 때, 마치 기공의 여러 분파 가운데 하나씩을 수련하는 것과 매우 유사함을 느낄 수 있다.


그 효능은 이미 확인이 되어 여러 논문, 심지어 가이드라인에도 제시되고 있다. 의학계의 보수적이고 과학적 접근의 특성상 강한 권고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점차 권고의 강도는 높아지고 있고, 응용되는 분야는 다양하게 늘어나고 있다.


“관해기에 있는 우울증 환자의 우울 증상 관리 및 삶의 질 개선에 있어 항우울제 치료 또는 일반 치료와 함께 명상을 병행하여 시행함을 고려해야 한다.” - 권고 등급 B/근거 수준 Low (우울증 한의임상진료지침, 2016)



한의학에서 명상과 기공은 어떤가?


한의사들은 당연히 명상이 한의학의 한 영역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기공도 이와 비슷하다. 그렇지만, 기공이 당연히 한의학의 한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연구의 부족과 최소한 스스로 신뢰감을 가지고 있지 못함에 대한 반증이다. 중국에서 파륜공(法輪功) 사태 이후 사그라진 기공에 대한 관심이 그러한 맥락에서 볼 수도 있다. 연구 결과가 뒷받침하지 않으면서, 경험에 기반을 둔 치료는 한계를 보고 있는 것이다. 더구나 자기 확신조차 없으니 명맥만 유지될 뿐, 실제의 활용은 점점 멀어지고, 단지 ‘하기 어려운 과제’ 혹은 ‘대학에서 학점을 따야 하는 과목’으로 여기게 된다.


명상은 기공에 비하여 많은 연구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최근 연구들에서는 효능·효과에 대한 연구 뿐 아니라 치료 기전과 원리에 대한 내용 역시 풍성해지고 있다. 공부하고, 연구하고, 또 수련하기 좋은 방법으로 발전을 하고 있다. 임상에서의 적용에서도 표준화되고, 편이해지고, 교육되고, 실행하기 쉬운 구조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의 명상을 말한다> 이 책은 한의사에게 드리는 명상에 대한 권학문이다. 

한의사 입장에서 명상에 대한 관심을 가진다면 어느 직종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한의사는 학부 때부터 명상을 공부하기에 알맞은 교육을 받아왔다. 공부하기 어렵고, 수행하기 귀찮은 방법이 아니라, 배우기 쉽고, 환자에게 적용하는 데 효과적이며, 자신에게도 도움이 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으면 한다.


KJW 0007-img-02.jpg


단, 명상은 한의학이 그러한 것처럼, 자신의 몸과 마음에 정착되는 것이 필요하다. MBSR의 개발자 존 카밧 진(JON KABAT-ZINN)이 한 말처럼, 명상을 잘하기 위해서는 단지 Practice, Practice, 그리고 Practice가 필요할 뿐이다.



© 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