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인천 굴업도와 섬의 짬뽕

 

JTG 0051-main.jpg



서해에 별처럼 뜬 수많은 섬 중에 보석을 고르라면 단연 굴업도를 첫손에 꼽을 테다. 굴업도는 서해의 보물이다.



가을에 절정을 맞는 서해의 보물


굴업도를 이야기할 때 늘 따라붙는 수식어가 몇 가지 있다. ‘한국의 갈라파고스’, ‘백패커의 성지’, ‘생명의 보고’ 등. 그만큼 굴업도는 매력적이다. 유일한 단점이라면 거리가 멀다.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에서부터 약 90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그래서 이른 아침 배를 탄다. 덕적도행 배다. 대부도 선착장에서도 덕적도로 들어가는 배가 있지만, 인천발 배는 쾌속선이라 좀 더 안정적이다. 덕적도에서 다시 굴업도행 배로 갈아탄다.


여기서 선택지가 있다. 홀숫날에 출발할 것인가, 짝숫날에 출발할 것인가. 홀숫날에는 문갑도를 거쳐 바로 굴업도로 들어가지만, 짝숫날에는 배가 반대로 돈다. 문갑도를 거쳐 지도와 백아도 방향으로 나가서 빙 돌아 마지막에 굴업도로 간다. 약 한 시간 정도의 차이가 벌어지는데, 그런 이유로 홀숫날에 사람이 많이 몰린다. 반대로 짝숫날을 선택한다면 굴업도를 찾는 사람이 적으니 훨씬 섬을 즐기기에 좋은 여건이 만들어진다. 한 시간 정도를 배 위에서 보내는 것만 감당한다면, 짝숫날에 굴업도로 들어가는 게 더 현명한 선택일 수 있다는 말이다. 주말에는 200명이 넘는 인파가 이 섬을 찾는다. 굴업도는 갈수록 입소문을 타고 찾는 사람이 늘어가는 추세다.


굴업도는 화산 폭발로 만들어진 섬이다. 중생대 백악기 말엽, 그러니까 약 8,000만~9,000만 년 전쯤 생성된 것으로 추정한다. 화산지형이어서 섬은 볼거리가 많다. 해안을 따라 깎아지른 절벽과 해식와, 주상절리, 섬의 동쪽과 서쪽을 이어주는 연륙사빈, 심지어 해안사구까지. 원한다면 백사장에서 물놀이를 즐길 수도 있고 물이 빠지면 갯벌에서 해양생물을 채집하며 노는 것도 가능하다. 섬 자체는 크지 않지만 섬이 보여줄 수 있는 모든 풍경을 다 보여주는 것만 같다. 이렇게 다채로운 유산이 있어 올 때마다 새롭다. 굴업도는 아직 가보지 않은 사람은 있어도 한 번 발을 딛고 나면 반복해서 다시 오게 된다는 말에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이유다.


JTG 0051-img-01.jpg


굴업도를 지금 소개하는 건 가을이 굴업도가 절정을 맞이하는 시기여서다. 사시사철 매력 넘치는 풍광을 자랑하는 섬이지만, 가을이면 특히 아름답다. 굴업도의 마을에서 펜스를 넘어 개머리언덕으로 향하는 길. 바다를 향해 뻗어 나가는 너른 초원 위로 수크령과 억새가 바람에 몸을 흔든다. 언뜻 외국의 어딘가를 연상시키는 이런 가을 풍경은 이곳에서만 볼 수 있는 장점이다. 초원 가운데로 난 좁은 오솔길을 따라 걷는 동안 오후의 햇살이 바다에 떨어져 눈부신 윤슬을 만들어내고 역광으로 빛나는 자연은 무어라 형언하기 어려운 그림을 만들어낸다. 무거운 등짐을 지고 걸어도 힘들다는 생각이 나지 않을 만큼 아름다운 굴업도의 오후다.


JTG 0051-img-02.jpg


JTG 0051-img-03.jpg



귀한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곳


고산 김정호 선생은 <대동지지>에서 이 섬을 ‘굴압도(屈鴨島)’라고 적어 두었다. 그 형태가 마치 오리가 등을 구부리고 있는 것 같다는 의미다. 그게 일제강점기인 1910년에 ‘굴업도(屈業島)가 되고 1914년에는 땅을 파고 있다는 의미의 굴업도(堀業島)로 바뀌었다. 이때는 섬의 모습이 마치 엎드려서 땅을 파고 있는 사람을 닮았다는 이유였다.


이 섬을 두고 ‘한국의 갈라파고스’라고 부르는 건 이 섬에 기대어 사는 온갖 희귀한 생명을 곳곳에서 만날 수 있어서다.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는 소사나무를 비롯한 이팝나무, 팽나무가 땅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고, 만주고로쇠, 좀팽, 생강, 찰피, 동백, 으름, 보리수, 물푸레 같은 수종이 그 곁에서 함께 자란다. 걸음을 내딛는 길가에는 갯메꽃, 갯방풍, 해당화, 모래지치, 백선, 두루미천남성, 큰천남성 같은 식물도 생생한 생명력을 자랑한다. 멸종위기종인 먹구렁이는 굴업도의 깃대종과도 같은 존재가 되었고, 천연기념물 제326호 검은머리물떼새와 천연기념물 제323-7호 매가 섬 곳곳에서 보인다.


JTG 0051-img-04.jpg


최근 굴업도에는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가면 갈수록 그 관심은 더 커진다. 이곳을 백패킹의 성지라고 부르기도 한다. 백패킹은 배낭 하나 메고 가서 캠핑을 한다는 의미의 단어다. 백패킹 인구는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다. 백패킹에 맛을 들였다 싶으면 꼭 한 번은 굴업도를 찾는 게 마치 코스처럼 여겨진다. 목표지점은 개머리언덕이다. 과거에는 섬의 주민들이 개머리언덕과 그곳으로 향하는 초원지대에서 땅콩을 재배했다. 지금도 밭의 흔적이 여기저기에 남아 있다. 두 번의 깔딱고개를 넘어 개머리언덕으로 들어서면 눈을 떼기 어려운 풍광이 발걸음을 떼기 어렵게 한다. 너른 바다를 한눈에 담는 그 자리에 텐트를 치고 앉아 하염없이 바다만 바라보면 온갖 시름을 다 잊게 된다.


JTG 0051-img-05.jpg


JTG 0051-img-06.jpg


하늘과 바다 사이가 붉게 물들어 오는 노을의 시간은 굴업도가 가장 아름다운 순간이다. 날이 좋으면 머리 위로 흐르는 은하수도 볼 수 있다. 발아래 저 멀리에서는 파도 소리가 메아리처럼 흩어지고, 언덕 위로 불어오는 바람을 맞다가 텐트에서 잠이 든다. 섬에서 누릴 수 있는 최고의 낭만이다. 아침에는 텐트 주변에서 부스럭거리는 소리에 눈을 뜬다. 밖으로 나가보니 야생 사슴 무리가 텐트 근처까지 다가와 노닐고 있다. 좀처럼 사람을 무서워하지 않는다. 사슴 소리에 텐트에서 눈을 뜨는 경험은 굴업도를 잊지 못하게 하는 요소 중 하나다.


JTG 0051-img-07.jpg


이렇게 멋진 굴업도에도 몇 번의 위기가 있었다. 근래에 가장 큰 위협은 1994년에 있었다. 당시 정부는 굴업도를 핵폐기장 부지로 선정했고, 환경단체의 반대에 부딪혔다. 6년이라는 오랜 분쟁 끝에 굴업도를 최종 낙점했지만, 굴업도 아래에 지진대가 지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결국 무산됐다. 2009년에는 이 섬에 개발 열풍이 몰아닥쳤다. 대기업인 CJ그룹이 이 섬을 매입해 골프장과 리조트로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이로 인해 섬 주민 사이에서도 찬성파와 반대파가 갈렸다. 이 섬의 아름다움과 생태적 가치를 알고 있었던 이들이 이 섬의 중요성을 알리기 시작하면서 비로소 세상에 굴업도의 아름다움이 알려졌다. 총 5년이라는 긴 싸움 끝에 개발 시행사 측이 계획을 철회했고, 섬의 생태를 가까스로 지켜낼 수 있었다. 하지만 섬의 98.5퍼센트를 그 회사가 소유하고 있어서 언제든지 개발은 진행될 여지가 남아 있는 상황이다.


JTG 0051-img-08.jpg



몸을 데우는 얼큰한 국물


굴업도를 나오기 전 점심은 마을의 민박에서 할 생각이었다. 이 마을의 민박은 어디를 가나 손맛 좋기로 유명하다. 하지만 사전 예약이 필수다. 섬을 찾는 그 많은 인파를 감당할 식재료를 원활하게 수급하기 어려워서다. 그 사실을 몰랐다. 결국, 굴업도의 섬 밥상 대신 덕적도에서 점심을 해결하기로 했다.


덕적도의 진리 선착장에 내리면 식당 몇몇이 눈에 들어온다. 여기에서만 먹을 수 있을 법한 메뉴도 꽤 있는데, 섬에서 캠핑을 한 다음이어서 따끈한 짬뽕 국물이 당겼다. 이곳 선착장은 문갑도, 지도, 울도, 백아도 등에서 들어온 이가 인천으로 나가기 위해 잠시 머무는 곳이어서 괜찮은 식당이 많다. 덕적도에는 중국집이 딱 두 곳 있는데, 그중 한 집이 이곳 선착장에 있다. 뻘짬뽕이라는 이름의 이 중국집은 이제 생긴 지 갓 1년 남짓한 곳이다. 젊은 부부가 운영하는데, 손맛이 수준급이다.


짬뽕을 시키고 나면 잠시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하다. 배가 들어오면 손님이 몰리기 때문이기도 하고, 주문을 받으면 그때부터 요리를 시작하는 탓에 조금만 늦게 주문해도 시간이 꽤 걸린다. 다음 배를 타야 할 시간이 촉박하다면 이 식당은 단념하는 편이 좋다.


운이 좋았는지 주문을 가장 늦게 넣었음에도 짬뽕이 꽤 빠르게 나왔다. 주방에서 요리하는 남편의 손이 얼마나 빠른지를 보여주는 듯했다. 섬에서 만든 짬뽕답게 내용물이 실하다. 큼지막한 새우와 바지락 등이 아낌없이 들어갔다. 재료가 좋으면 별다른 가미를 하지 않아도 맛이 좋기 마련이다. 싱싱한 재료에 불맛을 더해서 볶아내고 묵직한 육수를 부어 완성한 한 그릇. 국물을 떠먹고 “크!”하는 소리가 속 깊은 곳에서부터 절로 나온다.


JTG 0051-img-09.jpg


예전에는 짬뽕 국물을 낼 때 돼지고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국물은 묵직하다. 지금은 닭 뼈로 국물을 낸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편이다. 뻘짬뽕에서 내준 짬뽕은 그 둘 사이의 어딘가에서 적절하게 밸런스를 잡은 듯했다. 너무 가볍지도 않고 지나치게 묵직하지도 않다. 게다가 해산물이 넉넉해서 시원한 맛까지 더했다. 전날 여행길에 술 좀 많이 드신 분은 이 집 짬뽕 국물을 탐할 법도 하다. 짧은 시간에 이 집이 덕적도의 새로운 맛집으로 등극한 이유를 알 것 같았다.


한 그릇을 뚝딱 해치우고 나니 속이 든든하다. 굴업도의 가을을 맞이하러 다녀오는 길이 마지막까지 만족스러웠다. 언제쯤 다시 저 섬으로 들어갈 수 있을까. 꿈처럼 스쳐 지나간 1박2일이 못내 아쉬워서, 내년에도 분명 다시 배를 타고 섬으로 들어갈 것 같다. 굴업도는 그런 곳이다. 한번 발을 들이면 자꾸만 다시 가게 되는. 그게 굴업도의 가장 치명적인 단점이다.



JTG 0051-title.jpg


바지락은 메티오닌 (methionine), 시스틴 (cystine) 등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한 건강한 식재료다. 쉽게 구할 수 있고 해감만 잘하면 어떻게 먹어도 맛있는 조개여서 누구나 즐겨 찾는다. 바지락의 효능 중 대표적인 것은 숙취 해소와 간 해독 기능이다. 술, 담배로 약해진 간세포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타우린 성분은 몸속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하여 동맥경화를 예방한다. 또한 비타민 B, 철분의 조혈 작용으로 빈혈 및 상처 회복에 도움을 준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