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명호 원장의 애무하면 낫는다

우리의 삶과 건강은 사회생활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21세기에도 한국 여자 남자들은 정신적, 육체적으로 고달프고 아픕니다.
설움도 많고 고생도 막심하지요.
겉으로는 멀쩡해 보이나 속은 화가 끓어 병이 깊죠.

한의사로 건강교육가로 저는, 그들에게 우리 몸이 얼마나 훌륭하고 소중한지를 알려주면,
건강이 달라지고 가족과 인간관계가 두루 좋아져서 인생이 환해지더라고요.

우리는 어여쁘고 귀한 생명의 꽃!
사랑을 주고받으려 태어났으니 칭찬과 애무가 필요합니다.
우주 귀퉁이, 지구별에서 여자와 남자가 열렬히 힘쓸 일은 사랑뿐이지 않은가요.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수료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의료정책 최고관리자 과정 수료
- 미국 하버드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의료정책 최고관리자 과정 수료

[경력]
- 현 이유명호 한의원 원장
- 21세기 여성포럼 공동대표 역임
- 서울여한의사회장 역임

[방송]
- KBS 생생 건강테크 명의 특강 / 아침마당 목요특강/ 세상의 아침/ 감성매거진 / 이홍렬 박주미의 여유만만 / 명사의 책읽기
- MBC 명의열전/ 임성훈과 함께 / 일요일 일요일 밤에
- SBS 행복 찾기 특강/ 오픈 스튜디오 여성건강
- EBS 여성특강 및 삼색토크

[저서]
- 2014 『안녕 나의 자궁』
- 2011 『몸 태곳적부터의 이모티콘』
- 2010 『머리가 좋아지는 아이 밥상의 모든 것』
- 2007 『뇌력충전-우리 아이 뇌 힘 키우기』
- 2007 『몸을 살리는 다이어트 여행』
- 2004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자궁』

이유명호
이유명호

21세기에도 한국 여자 남자들은 정신적, 육체적으로 고달프고 아픕니다. 그들에게 우리의 몸이 얼마나 훌륭하고 소중한지를 알려주면, 건강이 달라지고 가족과 인간관계가 두루 좋아져서 인생이 환해지더라고요. 우리는 어여쁘고 귀한 생명의 꽃! 사랑을 주고받으려 태어났으니 칭찬과 애무가 필요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9. 엄마식당의 사랑밥

 
LU09-01.jpg

 


엄마 밥 먹을때가 행복!


엄마가 주는 밥은 물질이며 원소일지라도 그건 사랑의 다른 이름이다. 배 속에 아이를 품어서는 피로 먹여 키우고, 세상에 내놓고서는 밥을 지어 먹여 아이를 키운다. 밥줄은 목숨줄인데 투정에 생떼 부리는 아이들이 많다. 밥 먹이기조차 힘이 든다고 맥이 빠진 엄마들.

“하도 안 먹어서 숟가락 들고 쫓아다니기도 지쳤어요. 요리도 아예 포기했어요. 내가 만든 음식을 전혀 안 먹으니 화가 나고 얄미워서 때리기도 했어요. 난 엄마 자격이 없나 봐요.”
“한 숟갈이라도 더 먹이려고 좋아하는 비디오를 틀어놓고 먹이다 보면 마냥 시간이 가서 분통이 터질 지경이에요.”
“소리를 버럭버럭 지르고 밥그릇 뺏고 결국은 매를 들었어요. 그렇게 난리를 치며 먹였더니 애가 토하고 잠잘 때 헛소리까지 하더라고요.”

좌절감에 빠진 부모들에게 20여 년 엄마 경력의 내가 하는 말.
“아이는 자라고 바뀌어요. 조금만 더 기다리면 좋아집니다. 조바심내면 엄마의 불안이 전염되어서 더 안 먹지요.”

남들도 어른들도, 심지어 남편도 모른다. 어떻게 애를 키웠기에 숟갈질도 못하느냐고 엄마가 무능하다며 비난하는 것은 옳지 않다. 수많은 동물 중에서 ‘엄마 밥’을 20여 년씩 먹는 것은 인간밖에 없다. 대부분의 동물은 태어나서 겨우 한두 해 지나면 독립하여 뿔뿔이 헤어져서 다시 만나지도 못한다. 부모 밥을 먹을 수 있을 때 열심히 먹어두는 것이 큰 행운이라는 걸 자식들은 모른다. 지친 엄마에게도 엄마가 있었으면 좋겠다.


 

LU09-02.jpg



체기를 풀어야 밥이 들어간다.


몇 숟갈 뜨는 척하다 배 아프다고 숟가락을 놓아버리는 아들 때문에 맘이 상한 엄마는 소리쳤다.
“야, 너 꼴도 보기 싫어. 방에 들어가서 엄마가 나오라고 할 때까지 나오지 마!”

아이는 문을 닫아버리고 정말 안 나온다. 다음 식사 때는 엄마의 명령이 떨어지기 전에 스스로 방에 들어가 버리니 복장이 터진다. 모자의 신경전이 벌어졌다. 의사 친구의 아들 이야기다. 다른 친구의 소아과에 아들을 진찰 보내봤는데 아무 이상이 없다고 했단다. 아이는 계속 배가 아프다고 하고 엄마는 꾀병 부리지 말라고 감정 대립을 벌이고 있었다. 이럴 때 나는 누구 편을 들어야 할까.

소화 기능이 약한 아이가 체하면 식욕저하와 복통이 오래가는데 표현이 서툴다. 아이의 말을 믿어줘야 한다. 배꼽 주위가 콕콕 찌르면서 아프고 밥 먹으려면 토할 것 같고 구역질이 난다니 체기가 오래된 증상이었다. 속이 답답하니 음료가 더 당기겠지만, 위액을 묽게 하고 위 근육을 힘들게 해서 소화가 더 안 된다고 설명해줬더니 아이는 수긍을 했다. 약도 먹고 침을 맞으면 더 빨리 좋아진다고 하자 치료를 받겠단다. 대견한 일이다.

일단 중완혈에 한 번 침을 맞아본 녀석들은 ‘꾸르륵’거리며 위가 움직이는 소리를 듣고 신기해한다. 긴장, 수축했던 위가 풀리고 따뜻하게 해주면 통증은 가신다. 치료를 통해서 서로의 불신도 사라지고 다시 뜨거운 모자 관계가 회복되었다. 아들은 엄마의 영원한 젊은 애인이니까. 억울한 누명이 벗겨지고 밥을 잘 먹으니 ‘윈윈’ 하는 게임이 된 것이다.



© 이유명호 원장의 애무하면 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