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이다.
모든 병은 인간의 본능인 ‘움직임’을 하지 못하는 가운데 시작을 하며, 치유는 그 움직임의 첫 단추인 ‘걷기’에서 시작을 한다.
한의학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연치유력을 극대화하여 고통과 질병에서 벗어나 건강과 행복을 찾아가도록 도와준다. 또한 한의사는 자연 현장에서 이러한 길을 인도하는 데 최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저자는 걷기 여행의 스텝으로 참여하여 트레킹을 인도하면서 걷기가 힐링을 위한 최고의 작업임을 확인하였다. 동반자와 함께 걸으며 명상을 할 수 있고, 상담을 해줄 수 있으며, 트레킹을 하면서 자연을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고, 힘든 몸과 마음을 치료하며, 밤 시간 진정한 이완과 행복을 위한 조언을 해줄 수 있는 모든 역량을 가지고 있는 직업이 한의사다.
본 칼럼에서는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한다.
[경력]
- 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
- 현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화병클리닉 담당의
- 현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개발사업단 부단장
- 한방신경정신과학회장
- (사)한국명상학회 부회장

[저서]
- 2017 『마흔넘어 걷기 여행』
- 2016 『한의학상담』
- 2013 『화병 100문 100답』
- 2011 『기와 함께 하는 15분 명상』

김종우
김종우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입니다. 저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배우고 때로 익히니 즐겁지 아니한가? - 공부와 명상

 

KJW 0016-main.jpg



이제 본과 4학년이면 더는 진로를 바꾸기에는 늦은 시간일 것이다. 어차피 본 4까지 올라왔으니 1년간 공부를 하고 한의사가 되어야 한다. 1년을 잘 마무리하면 드디어 한의사가 될 수 있다. 한의사 되기 1년 남은 본과 4학년 첫 수업 시간 학생들에게 이런 질문을 던진다.

“한의학 공부가 재미있나요?”


그런데 공부가 재미있다는 대답이 흔쾌하게 나오는 경우는 몇몇 학생으로 삼 분의 일이 채 되지 않는 것 같다. 그동안 공부가 재미보다는 압박감에 사로잡혔던 경험 때문일 것이다.


이어 논어의 첫 소절을 읊어 본다.

“學而時習之 不亦說乎(학이시습지 불역열호)” “배우고 때로 익히면 즐겁지 아니한가?”

논어의 첫 구절로 상징성이 강한 문장이다. 옛날 선현의 말일 수도 있겠지만, 이 문구는 서양의 책에서도 꽤 많이 인용되는 말이다. 즐거움으로 학습을 시작하는 것인데, 역으로 즐겁지 않으면 학습을 꾸준하게 또 심도 있게 할 수 없음을 강조하기도 한다.


여기에 또 다른 문장을 읊어 본다.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얻는 것이 없고,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로우니라.”

공부하면서 생각하는 시간을 함께 가져야 하며, 생각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절대적인 학습은 필요한 것이다. 배움을 자신의 것으로 소화하기 위해서는 생각이 필요한 것이고, 또 생각하기 위한 자원은 공부를 통해서 가능한 것이다. 공부와 생각은 이렇게 서로 간에 피드백을 주면서 자신의 역량이 되어 간다.


왜 공부는 재미가 없을까? 공부라는 것이 스트레스를 받아 가며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것이라면 재미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왜 공부는 하면서 생각이나 사유를 하지 않는 것일까? 공부의 양은 많고 사유하는 시간이 부족하다 보니 정작 공부한 것은 자신의 것이 되지 않는다. 공부–사유–습득의 과정은 이렇게 서로 간 이어지는 연결고리가 된다.


한의과대학의 공부 문제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 같다. 수업 시간과 배우는 시간은 많은데, 정작 그것을 자기 것을 소화하는 사유와 이를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습의 시간이 절대 부족하므로 재미와 깊이가 없어지는 것이다.


공부하고 기억에 이르는 과정을 보게 되면 다음의 세 가지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1. 가르치는 대로 배운 것을 흡수한다. 마치 책을 읽으면 pdf처럼 기억하는 것이다. 놀라운 기억력은 성공에 이르게 하고 부러움의 대상이 된다. 그렇지만 모든 것을 기억에 남기는 장점과 함께 pdf 적 한계로 말미암아 상황에 따른 응용력이 떨어지게 된다.


2. 배운 것을 자신의 것을 재해석하여 받아들인다. 당연히 그동안 공부한 기본적 상황에서 요약/정리하고 재해석을 하게 되므로, 그동안의 역량이 부족하다면 단순 요약이 되고, 재해석 과정에서 왜곡이 일어날 수 있다. 역량이 풍부하다면 자신의 것으로 만들 뿐 아니라 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3. 배운 것이 잠시 머물렀다가 사라지는 것이다. 다행히 시험까지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다면 성적은 좋을 것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결국 사라지게 된다. 본과 4학년에게 논어의 첫 구절에 관하여 이야기를 하면 가물가물한 기억 속에 흔적만 남아 있는 것을 만나게 된다.


결국, 공부가 재미있고 또 나의 것으로 남기 위해서는, 절대적인 공부의 시간이 있어 자신의 역량이 높은 상태에서 받아들이되 사유를 통해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이 시간이 습의 시간이며 비로소 재미가 붙는 것이다.


세계의 손꼽히는 지성 유발 하라리의 책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의 마지막은 “명상하라”이다. 그리고 본인도 매일 2시간 명상을 하고 1년에 2개월간은 작정하고 명상 수행을 한다고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오직 관찰하라”라고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다. 우리의 몸과 마음, 우리가 공부한 것과 이것이 자신의 것이 되는지에 대하여 관찰하는 것이다.


공부하여 받아들이고 나면 이것이 나의 것이 되기 위한 작업이 별도로 필요하다. 그것은 먼저 시간을 내는 것이고, 그 시간 동안 무엇을 담기 보다는 다시금 바라보는 것이고, 자신이 그간 알고 있던 것과 비교하는 것이며, 새로운 작업을 위하여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시간이다. 여기에 자신이 공부한 것, 그리고 자신이 받아들이고 이해한 것에 대한 관찰이 들어가게 된다. 이를 메타의 방법으로 설명한다. 느끼고, 받아들이고, 생각하는 것을 바라보는 것을 말한다.


메타인지 (meta 認知, metacognition) 또는 상위인지는 “인식에 대한 인식”, “생각에 대한 생각”, “다른 사람의 의식에 대해 의식”, 그리고 “고차원의 생각하는 기술 (higher-order thinking skills)”이다. 메타인지란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다. 먼저 모니터링을 통해 내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를 판단하고, 이어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어떻게 할지를 결심하고 설정하는 컨트롤 능력, 이 두 가지를 반복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스스로 컨트롤하는 능력을 키워나가는 것으로 스스로 길을 찾게 하는 것이 핵심이다.


메타인지의 모니터링과 컨트롤의 과정은 초기 불교 아나빠나사띠 (anapanasati) 명상의 과정과 같다. 코끝과 윗입술 사이 한 접촉 지점에 마음을 두고 호흡만을 바라보는 것인데, 이때 마음이 이곳저곳으로 떠도는데 이러한 마음을 알아차리고 다시 호흡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꾸준히 명상하며 자신의 호흡을 모니터링하고 내 의지대로 되지 않는 마음을 바라보며 어떻게 조절해야 할지에 대해 고민해 보고 조금씩 나아가며 차분하고 진정된 마음을 키워나가는 것이다.


명상은 ‘메타인지’를 키우는 과정이다. 즉 스스로 나를 통제하는 힘을 기르는 것이다. 공자는 공부라는 주제를 가지고 이것이 나의 것이 되는 것에 대한 설명으로 “習”이라고도 했고 “思”라고도 했다. 그래야 비로소 즐거움이 생기는 것이고, 그래야 비로소 얻는 것이 있다고 하였다.


앞서 본과 4학년 학생들과 대화를 하면서 공부가 재미없다는 대답을 들으면, 심각하게 한의학을 계속할지 한 번쯤 고민해 보라고 이야기를 한다. 그리고 재미있게 공부하는 방법 을 소개해 준다.


KJW 0016-title-01.jpg 공부하면서 “습(習)”과 “사(思)”의 시간을 가져라.

KJW 0016-title-02.jpg 자신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 우선 공부의 시간을 늘린다. 기본 역량을 키우지 않으면 “습”과 “사”의 시간을 가져도 재미가 없으니 공부는 반드시 필요하다.

KJW 0016-title-03.jpg “습”과 “사”의 경험을 명상을 통해서 하라. 잠시 멈추고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 주의를 두어 알아차림을 하고 관찰한다.



© 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