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두 달의 수다(秀茶)

저는 한방내과 전문의로 한방순환신경내과를 전공했습니다. 한방순환신경내과는 신경계 질환과 순환기 질환 외에도 스트레스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들을 함께 다루고 있습니다. 사람은 태생적으로 긴장을 하기는 쉬워도 의도적으로 이완을 하는 것이 참 어렵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자연스럽게 접했던 차는 어느새 일상의 일부분이 되었습니다. 우연한 조합이지만, 차는 정신적인 이완을 도와주는 참 좋은 동반자였습니다.

스스로는 아니라고 생각했지만 모든 것이 계획적으로 이뤄지지 않으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편입니다. 진료는 언제 올지 모를 환자분들이 어떤 말을 건넬지 모를 불확실한 상황들과의 끊임없는 만남입니다. 자연히 진료를 하고 나면 마음이 지친 하루가 되어 버릴 때가 많습니다. 그렇게 하루를 보내고 퇴근 후 차 한 잔 또는 쉬는 날의 차 한 잔은 많은 위로와 치유가 되었습니다. 그렇게 차로 달래온 시간이 어느새 쌓이고 쌓여 차가 일상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어디 진료뿐일까요. 세상에는 스트레스 받을 일이 너무 많고 그런 상황들 하나하나가 몸을 긴장시키고 마음을 팽팽하게 만듭니다. 진료를 하다 보면 여러 가지 이유로 스트레스를 받은 많은 사람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가볍게는 단순히 두통이나 일시적인 답답한 기분을 느끼는 분들부터 숨을 못 쉴 정도의 큰 스트레스를 받으신 분들, 심지어 너무 큰 스트레스가 오랜 시간 낫지 않는 흉터처럼 되어 늘 초조해하고 불안해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긴장은 쉽고 이완은 어렵습니다. 또 사람마다 이완에 도움이 되는 방법이 다르고 효과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차는 그런 이완의 요령 중 하나가 될 수 있는 취미입니다.

치료와는 다른 위로로, 차와 함께하면서 느꼈던 일상의 이야기들이 길어지고 있는 코로나 시대에 지쳐가고 있을 또 다른 분들에게 작은 위안과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 동 대학원 한의학 석사
• 한방내과 전문의

[경력]
• 현 세종 산돌한의원 진료원장
• 전 공군교육사령부 항공의무전대 한방과장
• 전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 일반수련의 및 전문수련의 과정

제준태
제준태

열두 달의 수다는 매월 한 종류의 차를 소개합니다. 일상에서 접하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 중 하나가 취미 생활입니다. 특히 차는 즐기는 과정에서 약리 효과와 심리적인 효과가 상승 작용을 일으켜 우울, 피로, 짜증, 분노를 가라앉히는 데 좋습니다. 차로 전하는 작은 위안을 드리고 싶습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더부룩한 속을 내려주는 청향우롱차

 

JJT 0004-main.jpg



차는 꽤 많은 효능을 갖고 있습니다. 일단 대표적인 성분인 카페인만 해도 약리작용이 분명하죠. 모든 자연에서 나는 것들이 그렇듯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사람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때론 이롭게 때론 해롭게. 우리는 오랜 세월을 거쳐 새로운 식물이 익숙한 식물이 되어 가는 동안 어떻게 이용할지, 먹어도 되는지, 얼마나 먹어도 괜찮은지에 대한 경험을 축적하고, 이 경험은 지식이 되어 다음 세대로 물려집니다.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마셔온 차는 그 효과가 아무래도 더 잘 알려져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애초에 기원전부터 차가 약초처럼 여겨지곤 했으니까요.


차의 효능을 이야기하라면 정말 다양한 효능이 있습니다. 그중에 오늘 얘기하고 싶은 주제는 소화에 관한 효능입니다.


차마고도(茶馬古道)라고 들어 보셨나요? 중국의 서남부. 현재의 쓰촨이나 윈난 지역에서 생산된 차를 티베트의 말과 교역하던 교역로입니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중국에 한왕조가 들어서기 전, 기원전부터 이용되어온 교역로로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국가 간 장거리 교역로입니다. 험준한 산을 넘고 강을 건너 멀리 티베트고원까지 이어진 교역은 티베트의 말만큼이나 중국의 차가 귀했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티베트고원의 유목민들은 차를 대단히 귀한 약재로 인식했습니다.


차는 육식 위주의 식생활을 가진 유목민에게 사랑을 받을 정도로 효과가 좋습니다. 차는 두통을 완화하고 졸린 잠을 깨워주며 더부룩한 속을 내려줍니다. 그래서 현재도 유목민의 아침은 수테차라고 하는 밀크티로 시작합니다. 추운 야외 생활에서의 몸을 따뜻하게 만들어주고 잠이 깨게 해줍니다.


특히 진한 차는 소화가 잘 되게 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신선한 채소나 과일이 부족할 것 같은 식생활이라서 비타민 부족 때문일 거란 추측도 있는데 의외로 비타민 C는 신선한 고기와 젖에서 얻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티베트 유목민들은 식생활의 특성상 약효가 강한 것을 선호했고 가성비가 좋은 차를 원했기 때문에 거친 잎들로 만든 아주 진하고 강한 차가 만들었습니다. 운송의 편리를 위해 꽉꽉 눌러서 단단하게 만드는 긴압이란 과정을 거친 덩어리로 만들어 쓰촨이나 윈난에서부터 시작해 차를 말에 싣고 티베트까지 머나먼 길을 갔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졌던 차가 티베트와 교역이 끊겨 오랜 기간 창고에 보관된 상태로 숙성되면서 우리가 알고 있는 보이차의 원형이 되었습니다. 원래 너무 강한 맛 때문에 티베트 외 지역에선 전혀 팔리지 않던 차는 숙성 과정을 거쳐 마시기 편한 부드러운 맛으로 바뀌게 되면서 홍콩에서 인기를 끌게 되었습니다. 보이차가 비싸게 팔리게 되자 홍콩에서 인공 발효시킨 숙차가 개발되면서 생산과 소비가 어느 정도 맞춰지게 되었습니다. 현재의 보이차는 찻잎도 좋은 찻잎을 쓰고 숙성도 시킨 부드러운 보이차가 대세지만, 티베트에서는 여전히 진하고 강한 맛을 가진 덜 숙성된 진한 차를 원했습니다. 어차피 각종 동물의 젖과 함께 마시는 차니 진하다고 해도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진 않았을 겁니다.


JJT 0004-img-01.jpg

+ 포담, 아리산우롱차 +


JJT 0004-img-02.jpg

+ 유산차방, 청향리산차 +


JJT 0004-img-03.jpg

+ 허차티엔, 사계춘 +


JJT 0004-img-04.jpg

+ 금훤우롱 +

청향우롱차는 산화도가 낮지만, 찻잎이 크고 녹차보다는 좀 더 산화된 만큼 녹차에 비해 좀 더 노란빛을 띠고 있습니다. 다양한 품종의 우롱차용 차나무를 청향우롱차로 가공할 수 있고 녹차와 비슷한 느낌이지만 좀 더 향이 도드라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개 난꽃향, 금목서향, 치자꽃향 등 꽃향기를 닮은 향이 나는 경우를 고급으로 칩니다.


차는 기름진 식사에 잘 어울리는 조합입니다. 고급 중식 레스토랑에 가면 재스민차나 우롱차를 곁들여 내오는 이유 역시 음식과 잘 어울리기 때문입니다. 차는 느끼함이 남을 수 있는 혀를 깨끗하게 정리해줘서 다음 음식을 먹을 때 맛을 더 잘 느낄 수 있게 해주고, 더부룩해질 수 있는 위장 역시 활발히 움직이게 해서 소화를 도와줍니다. 차의 성분은 콜레스테롤과 쉽게 결합해 지방이 과도하게 흡수되는 것을 방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결국 소화도 도와주고 다이어트에도 좋다는 거죠.


어떤 차라도 비슷한 효능을 갖고 있지만, 특히 이런 작용이 강한 차가 우롱차, 그중에서도 청향우롱차라고 부르는 종류입니다. 우롱차의 산화도는 꽤 폭이 넓은데요. 찻잎의 산화를 많이 진행시키고 오래 홍배를 한 차를 농향우롱차, 반대로 산화 시간을 짧게 하고 홍배 역시 가볍게 해서 녹차에 가깝게 가공한 것을 청향우롱차라고 합니다.


찻잎은 녹색이 남아 있고, 우려낸 차의 색도 연한 노란빛에서 선명한 노란빛 사이로 나옵니다. 찻잎의 산화와 가열 정도가 덜해서 상쾌하고 화려한 향기가 있는 것도 있고 약간의 풋내나 해조류 계열의 덜 익힌 생차의 향기가 남아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녹차 보다 훨씬 많이 자란 큰 잎을 사용하기 때문에 폴리페놀 성분이 많아서 위장에 대한 작용 역시 더 크게 나타납니다. 꽤 더부룩할 정도로 먹어도 청향우롱차를 마시다 보면 꾸르륵거리면서 소화가 되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그래서 더부룩한 느낌이 들 때, 과식한 경우, 기름진 식사를 한 후에 답답한 느낌이나 뭔가 혀가 개운해지지 않는 느낌이 들 때는 청향우롱차를 권하고 싶습니다.


JJT 0004-img-05.jpg

+ 금훤우롱 건엽 +


JJT 0004-img-06.jpg

+ 대우령 건엽 +

현재 대부분의 청향우롱차들은 이렇게 둥글게 말려 있는 형태로 생산됩니다. 단유라고 하는 공정으로 천에 찻잎을 넣고 꾹꾹 눌러가면서 돌려주는 과정을 반복하면 점점 둥글게 찻잎이 말리면서 구형이 됩니다. 청향우롱차는 산화도가 낮기 때문에 이렇게 만든 차에서도 초록빛에서 올리브빛, 노란빛 등 밝은색이 남아 있습니다.


가장 유명한 청향우롱차는 중국 푸젠성 안시(安溪)현에서 나오는 안시철관음입니다. 한국 한자 독음이 안계라서 안계철관음이라고도 많이 부릅니다. 이 지역의 철관음은 대부분 청향으로 가공되어 산뜻하고 깔끔한 맛이 일품입니다. 연한 노란빛의 찻물은 입안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효과를 그대로 느낄 수 있을 정도죠. 세계적으로 철관음이라고 부르면 이쪽의 철관음을 주로 말합니다. 푸젠성의 고법철관음과 대만의 정총철관음은 철관음이라고 불리지만 전통방식대로 만든 농향우롱차에 속합니다. 종류가 달라서 이쪽은 찻잎도 검고 갈색빛의 수색을 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괜찮은 청향우롱차는 대만 각지에서 생산되고 있습니다. 아리산우롱차나 금훤우롱차, 고산우롱차 같은 이름이 붙은 다양한 대만 우롱차들의 상당수가 청향우롱차로 생산됩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우롱차는 경성우(京盛宇)라는 브랜드에서 내놓는 청향리산우롱차입니다. 높은 해발고도에서 나온 청심우롱종 차나무의 찻잎만으로 만든 청향우롱차로 꽃향기를 닮은 아름다운 향기와 맛을 보여주죠. 그 외에도 청향우롱차는 기본적으로 맛있는 편입니다.


일반적인 청향우롱차 보다 더 산화도가 낮아서 거의 녹차에 가까운 산화도를 가진 문산포종차도 있습니다. 거의 녹차라곤 해도 녹차보다 훨씬 큰 잎을 사용하기 때문에 향도 훨씬 강하고 맛도 녹차보다는 우롱차의 맛에 더 가깝습니다. 위장에 작용하는 효능 역시 더 강합니다.


JJT 0004-img-07.jpg

JJT 0004-img-08.jpg

+ 문산포종차 +

녹차에 가까운 낮은 산화도로 시원하고 상쾌한 깔끔한 맛이 장점입니다.


JJT 0004-img-09.jpg

+ 루피시아, 치자우롱 +


JJT 0004-img-10.jpg

+ 스미스앤슈, 계화금훤 +

청향우롱에서 나는 꽃향기 대신 직접 꽃향기를 입히는 방식으로 만든 가향차입니다. 원래 청향우롱이 가진 향기 특성 중 하나라서 잘 어우러지는 편입니다. 치자꽃은 꽃송이를 찻잎 사이에 넣고 꽃이 피는 동안 차에 향기가 스며들게 하는 것을 반복하는 과정을 거쳐 향기를 입히는 음제라고 하는 방법으로 만듭니다. 계화는 금목서를 말하는데 금목서 자체가 향이 진한 편이고 부담 없는 맛이라서 찻잎에 금목서꽃을 직접 넣어서 만듭니다.



JJT 0004-img-11.jpg

+ 송백농, 아리산우롱차+

편의를 위해 나온 드립백 방식의 청향우롱차입니다.



하지만 효능과 부작용은 비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소화기에 대한 효능이 강한 청향우롱차의 최대 단점은 위장을 그만큼 많이 자극한다는 것입니다. 더부룩할 때 먹으면 훌륭한 소화제지만 빈속에 먹으면 속을 깎아낸다고 표현할 정도로 위장에 부담이 큽니다. 녹차를 빈속에 마셔도 비슷하게 속이 쓰리거나 하는데 청향우롱차는 빈속에 마시면 거의 확실히 위장에 무리가 될 정도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가볍게라도 뭔가를 먹고 드시거나 옆에 간단한 티푸드라도 놓고 드시는 게 좋습니다.



© 제준태 원장의 열두 달의 수다(秀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