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이다.
모든 병은 인간의 본능인 ‘움직임’을 하지 못하는 가운데 시작을 하며, 치유는 그 움직임의 첫 단추인 ‘걷기’에서 시작을 한다.
한의학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연치유력을 극대화하여 고통과 질병에서 벗어나 건강과 행복을 찾아가도록 도와준다. 또한 한의사는 자연 현장에서 이러한 길을 인도하는 데 최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저자는 걷기 여행의 스텝으로 참여하여 트레킹을 인도하면서 걷기가 힐링을 위한 최고의 작업임을 확인하였다. 동반자와 함께 걸으며 명상을 할 수 있고, 상담을 해줄 수 있으며, 트레킹을 하면서 자연을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고, 힘든 몸과 마음을 치료하며, 밤 시간 진정한 이완과 행복을 위한 조언을 해줄 수 있는 모든 역량을 가지고 있는 직업이 한의사다.
본 칼럼에서는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한다.
[경력]
- 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
- 현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화병클리닉 담당의
- 현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개발사업단 부단장
- 한방신경정신과학회장
- (사)한국명상학회 부회장

[저서]
- 2017 『마흔넘어 걷기 여행』
- 2016 『한의학상담』
- 2013 『화병 100문 100답』
- 2011 『기와 함께 하는 15분 명상』

김종우
김종우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입니다. 저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한의사의 명상 공부

 

KJW 0018-main.jpg



한의학에 ‘기공’이라는 치료 분야가 있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기공사라는 직무가 있을 정도로 중의학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그런데, 중국에서 ‘파룬궁(法輪功)’의 문제 이후에 기공은 급격하게 쇠퇴 되었고, 기공사라는 직무도 중의학에서 자리를 감추었다.


한방신경정신과 임상 현장에서는 기공을 대체하여 ‘명상’이 주목을 받고 있다. 기공과 명상은 그 방법과 활용이 매우 유사하다. 의료의 입장에서는 기공이 더욱 강조되어왔다. 명상 역시 자기 수양적 방법에서 시작하였지만, 그 활용 범위가 넓어져서 의료 현장에서도 활용하고 있으며 기공에 대체되기도 한다. 명상은 사찰에서 교육하다가, 점차 상담센터나 병원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심리 및 상담 전문가, 요가 전문가가 수행하고 있다. 기공은 실제 의료 현장에서 시작되었다.


기라는 개념 자체가 의학 용어이기도 하다. 기를 조절하고, 기를 보충한다는 개념이 의학에서 출발하였기에 기를 활용하는 방법은 당연히 의료 영역에서 기공이라는 이름으로 적용되었다. 그러나 ‘기’의 개념이 생의학적 관점에서 정착하지 못하고 중국의 정치 및 사회적 영향까지 추가되어, 기공 분야는 의료 영역에서 점차 줄어들었다. 더구나 이에 대한 대체 방법으로의 명상 역시 의료계에서는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지 않다.


​한의학의 ‘기’에 대한 이론을 기공이라는 분야에서 명상이라는 분야로 적용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다. <기와 함께하는 15분 명상>이라는 책에서도 소개한 바와 같이, 명상에 기를 적용하면, 한의사의 임상 현장에서의 이해도와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한의학의 다른 치료과 통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기를 명상의 임상 적용에 활용하면 이론적, 기전적으로 설명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효능 역시 제고할 수 있다.


한의학에서 명상과 기공을 연계하여 의료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한의학의 치료 방법, 특히 한방신경정신의학의 정신치료 관점에서는 매우 중요하다. 한의학 정신요법에서의 ‘이정변기요법’에서도 기의 변화를 중시하고 있으며, 명상의 방법은 이미 심리 및 상담의 임상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정변기요법(移情變氣療法): 환자의 마음을 바꿔 병리 상태를 조절하고 질병 회복을 촉진하는 치료법


한의사는 기공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학습하였기 때문에 명상을 추가로 학습하여 융합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다. 다만, 전통적인 기공뿐 아니라, 현재 임상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명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기공과 명상 모두 수련 기반 치료 기술이기 때문에 자기 수련의 방법 역시 필요조건이 된다. 그러므로 기공과 명상을 어떻게 학습하고 수행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


한의사의 명상 공부는 한의학의 기본적인 역량을 가지고, 현재에 과학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방법을 채용하여야 한다. MBSR (Mindful 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은 미국 매사추세츠 의과대학 존 카밧진 (Jon Kabat-Zinn) 교수가 동양의 전통적인 수행법을 기반으로 의료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명상법으로 심신 질환의 치유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는데 이 방법을 (사)한국명상학회에서는 한국의 전통 명상을 융합하여 한국형으로 개발하고 교육과 연구 그리고 임상에서 활용하고 있다. 이 방법은 개발 목표부터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의료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의 명상 수련의 방법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MBSR (Mindful 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마음챙김에 근거한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


KJW 0018-img-01.jpg


KJW 0018-img-02.jpg


한의사를 위한 명상 기초교육과정을 진행하는 목적은 한의사를 명상 전문가로 키우고자 하는 것이고, 한의학 임상 현장에서 명상을 활용하여 치료를 돕고자 하는 것이다. 한의사들은 대학교 학부 시절에 양생학이나 기공학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명상을 학습하였지만, 자신의 수련에 적용하지 않고, 또 임상 활용에 있어서 별도의 학습을 하지 않은 관계로 임상 현장에서의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명상학회에서 제공하는 기초교육과정의 이수 후 명상지도 전문가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키우고 이를 임상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의사의 명상 공부는 한의학정신건강센터에서 진행하는 5차 월례회에서도 다음과 같은 내용을 가지고 강의를 할 예정이다.


KJW 0018-img-03.jpg



© 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