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이다.
모든 병은 인간의 본능인 ‘움직임’을 하지 못하는 가운데 시작을 하며, 치유는 그 움직임의 첫 단추인 ‘걷기’에서 시작을 한다.
한의학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연치유력을 극대화하여 고통과 질병에서 벗어나 건강과 행복을 찾아가도록 도와준다. 또한 한의사는 자연 현장에서 이러한 길을 인도하는 데 최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저자는 걷기 여행의 스텝으로 참여하여 트레킹을 인도하면서 걷기가 힐링을 위한 최고의 작업임을 확인하였다. 동반자와 함께 걸으며 명상을 할 수 있고, 상담을 해줄 수 있으며, 트레킹을 하면서 자연을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고, 힘든 몸과 마음을 치료하며, 밤 시간 진정한 이완과 행복을 위한 조언을 해줄 수 있는 모든 역량을 가지고 있는 직업이 한의사다.
본 칼럼에서는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한다.
[경력]
- 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
- 현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화병클리닉 담당의
- 현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개발사업단 부단장
- 한방신경정신과학회장
- (사)한국명상학회 부회장

[저서]
- 2017 『마흔넘어 걷기 여행』
- 2016 『한의학상담』
- 2013 『화병 100문 100답』
- 2011 『기와 함께 하는 15분 명상』

김종우
김종우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입니다. 저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사)한국명상학회 집중수련회

 

KJW 0020-main.jpg



(사)한국명상학회


(사)한국명상학회는 명상의 과학화와 대중화를 목적으로 2009년에 창립된 학회로, 심리학, 의학, 한의학, 간호학, 교육학, 심신치유학, 요가 등 심신 관련 치유 분야와 사회복지학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학회는 명상의 효과 기제와 훈련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보급 및 이론과 실습을 통한 회원들의 전문성 증진에 힘쓰고 있다. 또한, 명상지도 전문가의 양성과 교육을 실시하여 국민의 인성 함양과 심신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KJW 0020-img-01.jpg



한국명상학회 집중수련회


새벽 2시, 온종일 명상 수련을 하고 나서도 아직 아쉬움이 남았는지 이 시간까지 명상을 주제로 토론을 하고 있다. 이른바 “명상 톡톡”. 그동안 집중수련회 기간에 밤샘 수련이 있어서 정좌 명상과 바디 스캔, 때로는 절 명상으로 밤을 지새웠었는데, 이번에는 서로 만나는 것이 제한된 비대면의 상황이 2년 가까이 지속되면서 대화의 만남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여 새롭게 기획된 밤샘 대화의 시간이다. 150여 명이 참석하고 있는 집중수련회에서 새벽을 향해가는 이 시간에도 50여 명의 회원이 모여서 명상을 주제로 대화를 나누고 있다.


KJW 0020-title-01.jpg


명상하면서 자신에게 맞는 적정한 수준과 목적을 가지고 명상을 하는 것이다. 과연 이 적정이라는 것이 무엇인가? 때로는 이 적정을 적당이라고 힐끗 비난을 할 수도 있다. 그저 적당하게 명상을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다. 그렇지만, 적정이라는 것이 과학계에서도 제시하고 있는 가장 적절한 상태를 자신의 환경에서 구현함으로써 최고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각자 자신의 환경에 맞는 방법을 찾아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KJW 0020-title-02.jpg


명상하면서 성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단지, 개인의 건강과 행복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지혜를 얻고, 영적인 성숙을 추구하는 것이고, 궁극적으로 사회와도 연결되는 통합성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자신의 성장 과정을 돌아보고, 그 과정에서만 머무르지 않고 영적인 에너지와도 통합을 향해 가는 수련을 하는 것이다.


“적정명상”과 “통합명상”은 어떻게 보면 매우 상반된 것 같다. 일상에서 소소한 명상을 수련하는 것과 작정하고 통합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대비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궁극적으로 자신에게 맞는 명상, 그리고 자신이 지향하는 명상으로 나가는 면에서는 유사성이 있다. 이런 적정과 통합을 자신에게서 융합하여 실천하는 방법이 무엇일까? 대화와 논쟁은 새벽을 훌쩍 지나고 먼동을 향해 간다.



공부와 수련


명상하는 입장에서 이 두 가지는 서로 맞닿아 있다. 흔히 의학을 하는 사람으로서 수련이라는 것이 별로 와닿지 않는다. 그저 의학 공부를 충실하게 하고, 이를 적용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한의학을 공부하는 사람은 약간 다른 측면이 있다. 한의학을 공부하면서 체득(體得)이라는 용어를 접하게 되는데, 몸으로 이해를 하여 지혜를 얻는다는 뜻이다. 이것은 경험을 중요시하는 학문 분야에서 강조되기도 한다. 반복되는 수련의 과정에서 자신의 몸에 익숙해질 때 최고의 행위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기술자나 치료사의 덕목이기도 하다. 반복되는 연습을 통해 기술을 연마하고, 자신의 기법을 통해 치료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상담 치료의 경우에도 상담을 반복하고 피드백을 받으면서 능력이 향상하는 것이다. 침 치료를 수행하는 한의사도 마찬가지다. 침을 많이 놓아보고 이에 대해 피드백을 받으면서 높은 기술력을 담보할 수 있다. 한의학 임상 현장에서 환자에게 행하는 침 치료와 상담 치료 역시 이와 같다. 또한, 반복되는 대면을 통해 환자와의 공감 능력을 키우는 것은 수련의 한 장면이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명상학회의 모임에서는 이 두 가지를 모두 생각한다. 공부와 수련 모두다. 수련을 한참 하다가도 의문점이 생기고, 또 자신의 상태에 대한 점검을 위해 피드백이 필요한데, 이때는 자신의 경험을 나누면서 피드백을 받고 또 공부하기도 한다. 모임에서 진행하는 학술대회는 그런 갈증을 풀어준다. 수행뿐만 아니라 연구를 접하면서, 명상이 어디까지 연구되고, 또 실제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의학계에서는 이미 암, 만성 통증, 정신적 고통과 증상의 개선에 명상이 활용되고 있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점차 그 기전도 설명이 가능해지고 있다. 심리학에서는 기전에 대한 뇌과학 측면의 설명이 제시될 뿐만 아니라, 명상의 각 요소를 분리하여 효능을 평가하는 도구, 개별적인 치료 방법 등이 실행되고 있다. 요가와 체육 분야에서는 동적 명상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런 연구 결과들을 접하면서 자신의 명상을 한 단계 끌어올리게 된다.


때로는 전통적인 명상 공부가 절실하게 다가오기도 한다. 불교 공부 같은 것을 하고 싶어지기도 한다. 집중수련회에 포함된 멘토링 프로그램은 이러한 공부의 갈증을 일대일로 풀어준다. 명상 초보자와 전문가가 멘토와 멘티로 만나 궁금한 것을 풀어나가는 작업이다.


공부하는 가운데 수련의 부족함을 느낀다. 2박 3일간 진행되는 집중수련회를 통해 수련의 갈증을 풀어준다. 새벽 6시 반부터 시작된 명상 수련은 아침, 점심, 저녁 세끼의 식사 시간을 제외하고는 온종일 지속한다. 두 가지 트랙으로 준비된 시간에 그동안 부족했던 수련을 선택하여 회원들과 함께 하는 것이다. 코로나19 이전 같으면 한방에서 진행되었을 태지만, 이번에는 각자의 방에서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자신의 공간에서 혼자 수행을 하니 집중이 더 잘된다는 피드백도 있다.


MBSR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은 공식 및 비공식 명상 기법이 조합을 이루고 있다. 각각의 명상법 가운데 자신에게 맞는 명상법, 때로는 자신에게 부족한 명상법 수련에 참여하여 점검을 할 수 있다. 바디 스캔이나 걷기 명상처럼 편안한 마음으로 참여 할 수도 있고, 또 정좌 명상과 같이 작정하고 자세를 잡아가면서 참여할 수도 있다.


때로는 새롭게 개발된 명상법을 익히기도 한다. 올해 집중수련회에서는 “통합명상”이 그 중심에 있었다. 이완과 안정을 넘어 깨달음과 성장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명상이어서 명상을 수련하는 입장에서 도전하고 싶은 주제이다.


명상학회의 집중수련회는 명상에서 필요한 공부와 수련을 배우고 익히는 시간이다. 한의학에서 필요한 것도 이 두 가지가 아닌가 싶다. 한의학을 공부하면서 자기 점검을 할 기회를 얻고, 수행을 통하여 체득해 나가는 것이다. 또 이런 학습의 과정에서 슈퍼바이저로부터 검토를 받고, 또 동료 간의 토론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한의학을 하는 사람들이 명상하기를 바라는 이유는 그 둘의 학습 방법이 유사하기 때문만은 아니다. 명상을 통해 한의학의 치료 기술을 조금 더 깊이 있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한의 정신의학 분야에서 명상을 치료의 기술로 적용하여 임상에서 활용하기를 바란다.


KJW 0020-표1.jpg



© 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