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부여 정림사지와 시장 통닭

 

JTG 0077-main.jpg



부여는 갈 때마다 ‘서쪽의 경주’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만큼 곳곳에 볼 것이 많고, 그 속에 깃든 이야기가 많다.



성왕의 염원이 담긴 절터


부여에서 꼭 봐야 할 것을 꼽는다면 아무래도 무령왕릉 일대의 고분군을 빼놓을 수 없겠지만, 그 못지않게 중요한 곳이 정림사지다.


JTG 0077-img-01.jpg


부여를 여행하기 전에 부여라는 도시부터 조금 알아보고 들어가자. 충남 공주가 과거 백제의 이름이 웅진이었다면, 부여는 사비였다. 백제는 지금의 서울에서 충남 공주로 천도를 감행했고, 뒤이어 다시 부여로 자리를 옮긴다. 그때의 이름이 사비성이다. 이곳은 백제의 마지막 수도였고, 660년 (의자왕 20년) 나당연합군에 의해 함락되기 전까지만 해도 백제의 부활을 꿈꾸고 있었다. 사비 천도를 이루고 123년이 지난 어느 날, 그렇게 백제는 꽃잎을 떨궜다.


지나가는 이야기를 조금 더 하자면, 3,000명의 궁녀를 거느렸다는 백제 패망의 주역 의자왕 이야기는 사실과 다르다고 한다. 나라가 기울자 부소산성의 낙화암에서 궁녀 3,000명이 떨어져 자결했다고 하지만, 직접 가보면 안다. 그곳은 3,000명이 서 있을 공간이 없다. 아마도 이는 훗날 신라의 승리와 백제의 패배를 더 극적으로 치장하기 위한 이야기가 아니었을까.


자연스레 부여는 경주와 비교할 수밖에 없다. 지형은 전혀 다르지만, 공주와 부여를 한데 묶어서 여행하다 보면 어딘가 모르게 경주와 비슷한 감흥을 준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흘러간 시간의 흔적이 여기 곳곳에 남아 있기 때문이 아닐까. 풍경이나 분위기, 고분군에서 느껴지는 고즈넉함이 모두 그렇다. 그래서 부여로 떠나면 반드시 고분군을 보고 박물관을 들렀다 오라고 권한다.


그다음으로 꼭 갈 곳은 오늘의 여행지인 정림사지다. 경주의 황룡사지는 알아도 부여의 정림사지는 낯선 이가 많을 테다. 이 역시 승자의 역사가 깊이 각인될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비롯된 것이겠지만, 그렇다고 그냥 흘려 넘겨 버리기엔 너무나 아까운 곳이 정림사지다.


JTG 0077-img-02.jpg


정림사지는 부여읍, 그것도 도심 한복판에 자리 잡고 있다. 오른쪽에 금성산을 끼고, 왼쪽으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유유히 흐르는 금강을 둔 절묘한 자리다. 절터 자체가 사적 제301호이기도 하고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공주와 부여가 통으로 세계문화유산에 지정되도록 한 공신 중 하나이기도 하다.


JTG 0077-img-03.jpg


백제의 성왕은 538년 봄, 지금의 부여로 도읍을 옮겼다. 도성 안을 중앙‧동‧서‧남‧북의 5부로 나누어서 구획을 정했다. 그 안에 왕궁과 관청, 사찰을 건립했는데, 나성으로 에워싼 사비도성의 중심에 정림사를 세웠다. 이때 성왕은 왕궁과 정림사의 관계를 두고 중국 북위의 낙양성 내 황궁과 영녕사의 관계를 참고했다고도 한다. 사비 시대를 맞이한 백제는 그만큼 북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방증이기도 하지만, 그 못지않게 나라를 부흥시키고 싶어 했던 성왕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JTG 0077-img-04.jpg



입이 떡 벌어지는 박물관의 기술


현재 정림사지는 말 그대로 절터다. 국보 제9호인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과 고려 시대에 만든 높이 5.62미터의 석조여래좌상만 남아 과거의 화려했던 시절을 돌아보게 한다. 1979년부터 2년간 충남대 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대략적인 가람의 규모와 배치, 1028년에 중건한 흔적 등을 발견했는데, 이 과정에서 꽤 많은 소조인물상편과 백제, 고려의 막새기와 등이 나왔다. 지금은 절터의 중앙에 오층석탑이 우뚝 서 있고, 그 뒤로 금당을 재건해서 석조여래좌상을 모셔두었다.


JTG 0077-img-05.jpg


JTG 0077-img-06.jpg


고작 그 두 개를 보러 정림사지를 가야 하냐고 묻는 이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런 분께는 그렇다고 말씀드리고 싶다. 적어도 정림사지오층석탑 하나만 해도 이곳을 가야 할 가치는 충분하다. 탑의 비례가 불가사의할 만큼 완벽에 가깝고, 탑신을 이루는 선 하나하나가 기가 막히게 아름답다. 이 정도의 설명으로도 좀처럼 여기를 가야 할 이유를 납득하기 어렵다는 분들은 이제 발걸음을 옮길 시간이다. 절터의 오른쪽에 자리한 정림사지박물관으로 들어가자.


JTG 0077-img-07.jpg JTG 0077-img-08.jpg


정림사지박물관은 전시실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이거 뭐야?”라는 소리를 내뱉게 한다. 현재 선보일 수 있는 첨단기술을 총동원해서 백제의 건축과 미감, 정림사지의 중요성을 오감으로 느끼게 한다. 중앙홀을 지나 오른쪽부터 입장해서 차례로 관람을 진행하는데 그중에서 첫 번째인 정림사지관이야말로 이곳의 백미다. 문이 열리면 모든 빛이 사라지고 유리관에 든 수십 개의 소조인물상편에만 빛이 쏟아진다. 그 빛은 수시로 색을 바꿔가며 시선을 이끌어 각각의 특징을 이해하도록 돕고, 마지막에는 각각의 인물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도록 하얀빛만 쏘아 준다. 휴대폰에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AR을 이용해 훨씬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니 꼭 참고하자.


JTG 0077-img-09.jpg


JTG 0077-img-10.jpg


그다음부터는 그야말로 발 닿는 곳마다 눈이 휘둥그레진다. 정림사지 건축을 하나하나 세부적으로 이해하면서 이곳이 왜 중요한 사찰이었는지, 얼마나 아름다운 미적 감각을 뽐내던 곳인지를 알려준다. 그 과정에서도 온갖 첨단기술이 눈을 현란하게 한다. 역시 이 전시실의 핵심은 정림사지오층석탑이다. 절터에서 보았던 그 탑이 이만큼 대단한 것이었다는 걸 비로소 깨닫게 한다. AR 기술이 매우 적절하게 활용된 예다. 그 끝에는 과거 정림사의 전경이 어떤 형태였는지를 디오라마로 재현해 놓았다. 다른 전시실로 건너갈 때는 온갖 애니메이션이 사방을 치장하는 빛의 터널을 지난다. 박물관을 다 돌아보는 동안 아이들이 지루할 틈이 없다.


JTG 0077-img-11.jpg


JTG 0077-img-12.jpg



소맥을 부르는 시골 통닭


혼을 쏙 빼놓는 박물관 관람을 끝내면 그제야 배가 고파오기 시작할 것이다. 부여에서는 또 뭘 먹어야 하나. 휴대폰을 열어 이곳저곳을 기웃거리며 고민한다면, 그냥 시장으로 가시라고 하겠다. 부여중앙시장의 복판에 이곳이 아니면 먹지 못할 통닭이 있다. 말 그대로 시장통닭인데, 부여사람이라면 모르는 이가 없는 일약 전국구 스타급 인기를 자랑한다.


JTG 0077-img-13.jpg


이 통닭의 특징은 다른 무엇보다 바삭한 튀김옷이다. 통닭의 튀김옷이 뭐가 그렇게 대단해서? 아니다. 이건 먹어봐야 그 진가를 안다. 시중의 얇은 튀김옷과는 비교가 불가하다. 두툼한 튀김옷이 입안에서 바삭하게 씹히고 닭기름과 식용유가 뒤섞인 기름의 바다에서 잘 튀겨지며 감칠맛을 극대화한 채로 테이블에 올라온다.


JTG 0077-img-14.jpg


닭도 결코 작지 않다. 예전 시골에서 먹던 큼지막한 장닭까지는 아니어도 청년닭의 크기는 된다. 속은 또 얼마나 쫄깃한지. 이곳을 다녀온 누군가는 말했다. 이렇게 소맥을 부르는 통닭은 처음 봤다고. 그러니 조심하시길. 자칫하다가는 통닭에 홀려서 소맥을 실컷 말아 마시고 근처 숙소에서 하룻밤을 청하게 되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JTG 0077-img-15.jpg



JTG 0077-title.jpg


닭고기는 생각보다 영양소가 아주 풍부한 식품이다. 닭 날개는 콜라겐이 풍부해 피부 미용에 좋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필수 아미노산이 많아 뇌 신경 전달 물질의 활동을 촉진해 두뇌 성장을 돕는다. 임산부와 태아에게 모두 좋은 훌륭한 영양식이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