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진안 마을 여행과 율무비빔밥

 

JTG 0078-main.jpg



우리가 잘 몰랐던 진안. 여러 번 다녀왔어도 보지 못한 그곳의 매력은 골짜기마다 깃든 마을에 있었다.



씨 없는 감이 열리는 마을


처음에는 이게 무슨 소리인가 싶었다. 그런 품종을 심었으려니 했을 따름이다. 씨 없는 감이 열린다니 당연히 그렇게 생각할 수밖에. 그런데 마조마을의 장수일 이장의 설명에 귀를 의심했다.


“멀쩡한 감나무를 이 마을에 옮겨 심으면 씨가 없어져요. 반대로 이 마을의 감나무를 다른 마을로 옮겨 심으면 씨가 생기더라고요.”

“네?”


JTG 0078-img-01.jpg


함께 여행하던 일행이 모두 깜짝 놀랐다. 이게 무슨 조화인 걸까. 물론 과학을 동원해 원인을 찾으면 나름의 이유가 있겠지만, 그런 뒷받침이 없는 현재로서는 마냥 신기할 따름이다. 여기에 장수일 이장은 납득하기는 어렵지만 나름의 지론을 덧붙인다.


“저기 보이는 산이 운장산이라는 산이에요. 저 산줄기에 마을이 앉은 형국이거든요. 저 산의 기운이 영향을 주는 게 아닌가 싶어요.”


그리고는 운장산 꼭대기 언저리에서 벌어지는 또 다른 신기한 현상을 이야기해 주었는데 잘 기억나지 않는다. 이 마을에만 들어오면 씨가 없어지는 감에서 눈을 떼지 못한 탓이다. 씨로 영양분이 가지 않기 때문인지 빨갛게 잘 여문 감은 당도가 높다. 그렇다고 설탕처럼 입이 저릿하도록 단맛은 아니다. 기분 좋아질 만큼 적당히 달큰한 맛. 때로는 브릭스의 수치를 쭉쭉 올리는 단맛보다 이런 은은한 단맛이 더 맛있는 법이다.


JTG 0078-img-02.jpg


운장산을 향해 올라가는 골짜기를 따라 마조마을이 자리를 잡고 있는데, 마을 곳곳에 온통 감나무가 천지다. 그러니까 이 마을은 감나무가 주요한 수입원이 되는 셈이다. 나무마다 감은 또 얼마나 많이도 달렸는지. 이장이 감 따는 법을 보여준다며 나무 위로 올랐다. 원숭이가 따로 없다. 장대 끝에 고리를 달아 잘 익은 감에 탁 걸면 이내 톡 하고 떨어진다. 그걸 가마니에 담으면 끝. 너무 익은 감이었다면 다 뭉개졌겠지만, 아직은 반시의 상태여서 가마니 안에 포개놓아도 감은 좀처럼 제 모양을 잃지 않았다.


JTG 0078-img-03.jpg


JTG 0078-img-04.jpg


몇몇 일행이 나서서 장대를 들고 감 따기 체험을 한다. 감 몇 개에 까르륵 웃음이 터지고, 그 모습을 보던 다른 이도 장대를 넘겨받아 감을 딴다. 여행자를 대상으로 하는 농원에서도 할 수 있는 체험이지만, 저렴한 비용에 시종일관 푸근한 분위기를 만끽하며 여행을 한다는 건 조금 다른 차원의 이야기다. 마을 여행의 묘미는 이런 데에 있다. 진안군은 군 차원에서 여행을 살리기보다 마을마다 제각기 다른 특징을 살려 여행자를 끌어들이고자 했다. 그 결과를 이제 세상에 풀어놓으려 하는 것이다.


JTG 0078-img-05.jpg



신선이 살 법한 풍경


물론 마조마을은 사시사철 언제 가도 좋은 곳이다. 물가가 있고, 원두막 아래에서 바비큐를 즐기며 뜨끈한 민박에서 편안하게 쉬었다 갈 수 있는 모든 조건이 완비돼 있다. 여름이면 캠핑을 하러 오는 이도 만만치 않게 많은 편이다. 이미 입소문으로 찾는 이가 꽤 된다. 반면 장수군과 진안군의 경계면에 놓인 하가막마을은 좀 다르다. 이곳은 기가 막힌 풍경이 그 자체로 마을의 콘텐츠다.


JTG 0078-img-06.jpg


하가막마을은 원래 상가막과 하가막으로 나뉜다. 가막이라는 이름은 마을을 중심으로 산이 첩첩이 둘러싸고 있어 장막처럼 보인다는 의미다. 지금처럼 길이 뚫리기 전에는 그야말로 심산유곡에 자리하고 있어 모르는 이가 우연히라도 이곳을 찾았다면 신선이 사는 동네라고 생각할 법도 하다. 진안은 국내에서도 오지 중 오지 세 곳을 일컫는 ‘무진장’ 중 하나. 무주, 진안, 장수의 앞글자를 따서 ‘무진장’이라 부르는데, 이 마을은 그런 진안에서도 가장 깊은 산중이다. 이를 다시 풀어 이야기하자면, 그만큼 찾는 이가 많지 않다는 뜻이기도 하고 여행자가 드물다는 말이기도 할 터. 그럼에도 이 마을이 여행자를 끌어들이기 위한 콘텐츠를 개발한 건 그만큼 유려한 자연환경을 곁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JTG 0078-img-07.jpg


JTG 0078-img-08.jpg


마을 바로 옆에는 천반산이 있다. 고도 647미터로 아주 높은 산은 아니다. 마을 건너편의 장수군 쪽에 천반산으로 들어가는 산책길이 나 있는데, 어린아이도 정상까지 어렵지 않게 오를 만큼 난이도가 높지 않은 트레킹이 가능하다. 이 산을 두고 금강의 상류가 크게 돌고 돌아 흐른다. 그 광경 자체로 절경이다. 여기서 상류를 따라 조금만 더 들어가면 깎아지른 절벽이 모습을 드러내는데, 사람이 그 앞에 서면 본디 작디작은 존재임을 자각하게 된다. 맑은 물길과 천 길의 벼랑, 이 모습은 한 폭의 수묵화나 다름없다. 한국에도 이런 곳이 있었던가. 드넓은 중국에서나 볼 법한, 아니 그보다 더 운치 있는 풍광이다.


JTG 0078-img-09.jpg


천반산 안팎으로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정여립과 관련한 이야기가 깃들어 있다. 정여립은 본디 전주에서 태어나 뛰어난 능력으로 순조로운 출셋길을 달리던 인물이다. 1570년 (선조 3년) 우수한 성적으로 조정에 나아갔는데, 그때 그의 나이 24세였다. 그러나 서인에서 동인으로 당파를 옮기면서 선조는 이를 비판적으로 바라봤다. 그렇게 줏대가 없어서 사내로서 구실을 하겠느냐는 식이었다. 이에 정여립은 과감히 관직을 집어던지고 이 깊은 산중으로 들어왔다. 이곳에서 그는 인근의 아이들에게 학문을 가르치면서 한편으로는 대동계를 만들고 사람들에게 활쏘기 같은 무예도 전했다. 이는 그가 이곳에 남긴 최대의 업적이다. 훗날 왜구가 전라도에까지 침입해 오자 이 산골에서 일어난 의병이 크게 활약했다는 게 그 증거다. 정여립의 일생은 ‘기축옥사’라는 사건을 기점으로 뒷맛이 개운치 않게 끝을 맺었지만, 그가 남긴 정신적 유산은 지금도 이 마을의 자랑이다.


JTG 0078-img-10.jpg



소박한 손맛으로 완성한 율무비빔밥


어느덧 푸른 밤이 산골에 내려앉았다. 저녁 식사는 하가막마을의 마을회관에서 하기로 했다. 여느 마을이 그렇듯 이곳도 청년보다는 어르신이 더 많다. 마을의 어르신들은 이 마을의 특산품인 율무로 비빔밥을 준비했다고 했다. 율무는 차로 만든 것 이외에는 좀처럼 곡물 그 자체로 먹어본 기억이 없다. 어릴 적에 어렴풋이 먹어본 것도 같은데, 확실치 않으니 처음이라고 생각하는 게 나을 듯하다.


마을회관에 준비한 식사는 무척 소박하다. 반찬통에 푸짐하게 준비해 둔 반찬을 비빔밥 그릇에 담아 각자 취향대로 먹도록 해 놓았다. 비벼서 먹어도 좋고, 밥과 반찬을 따로 먹어도 좋다. 물론 따로 먹기를 선택한 사람은 없었지만. 어르신들이 준비한 반찬은 종류가 무려 13가지가 넘는다. 밥은 조금만 먹자고 생각했지만, 반찬을 조금씩 담다 보니 그릇에 산처럼 음식이 쌓여 버렸다. 반숙으로 잘 익은 계란프라이를 올리고 고추장을 덜어서 참기름을 주르륵 둘렀다. 이미 고소한 참기름 냄새로 뱃속은 꾸르륵거리며 요동을 친다.


JTG 0078-img-11.jpg


쓱쓱 비벼서 한 입 밀어 넣는다. 반찬 하나하나의 맛도 훌륭한데, 모두가 하나로 어우러지니 세상에 이런 꿀맛이 없다. 이날 비빔밥의 주인공은 율무라지만, 구태여 그걸 따지지 않아도 이미 훌륭한 한 그릇이다. 그럼에도 율무는 그 맛에 파묻혀 존재감을 잃지 않는다. 하얀 쌀에 비하면 큼지막한 율무는 입안에서 톡톡 터지며 독특한 식감을 선보였다. 우물우물 씹고 있으면 율무의 고소하고도 단 그 맛이 흘러나온다. 율무가 이런 맛이었구나. 잊고 있었던, 그래서 더 인상적인, 소박하면서도 소박하지 않은 맛이다.


JTG 0078-img-12.jpg


그러고 보니 최근 들어 마트에서 율무가 잘 보이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력에 안 좋다’라는 말의 여파인 걸까. 이렇게 맛있는 곡물을 우리는 왜 등한시하고 있었던 걸까. 지금까지 율무의 맛을 모르고 살았던 게 후회될 만큼 맛이 좋았다. 식사 시간이 끝나자 모두의 그릇이 깨끗하게 비워졌다. “진짜 맛있다!” 누군가가 외친 그 말에 여기저기서 “나도.”, “나도.”라는 동감의 외마디가 연신 이어진다. 잔뜩 부푼 배를 툭툭 두드리며 생각했다.

‘이게 진안의 맛이로구나!’



JTG 0078-title.jpg


여러모로 순기능이 많은 식품임에도 잘못 알려진 상식으로 외면받는 비운의 곡물이다. 율무는 남자의 정력에 좋지 않다는 속설에 시달린다. 그러나 율무에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철분이 많아서 신진대사를 돕는 역할을 한다. 루테인이 풍부해 눈 건강에도 이롭고 아미노산 함유량이 많아 피로 회복에도 도움을 준다. 포만감을 느끼게 해서 다이어트에도 권장할 만하다. 더불어 피부 미용과 당뇨에도 효과적이다. 그러나 몸이 차거나 위가 약한 사람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