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평창 월정사 전나무숲과 공이막국수

 

JTG 0081-main.jpg



다녀온 사람도 다시 가볼 일이다. 강원 평창의 월정사 전나무숲은 찬찬히 뜯어볼수록 특별한 숲이니까.



1,700그루가 뿜어내는 피톤치드


한동안 평창을 내리 다녔다. 두 달 정도, 주말마다 일을 핑계로 평창을 찾았는데 월정사 전나무숲이 문득 궁금해졌다. 드라마 ‘도깨비’에 등장해 국제적으로 화제가 되었던 강원도의 여행지. 연간 100만 명 이상이 다녀간다는 오대산의 대표 명소. 무엇보다 월정사까지 오르는 그 길이 삭막하지 않도록 버텨주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무척 고마운 길. 수식할 단어야 차고 넘친다. 그만큼 찾는 사람도 많다.


JTG 0081-img-01.jpg


숲길을 찾아다니며 늘 하는 생각이지만, 우리는 숲에 참 무심하다. 이곳도 그렇다. 월정사로 향하는 길목쯤으로 여길 뿐, 좀처럼 눈여겨보지 않는다. 길가에 무엇이 있는지, 각각의 나무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숲 안쪽으로는 무엇이 있는지 살피며 걷는 이는 드물다. 대체로 동행인과 이야기를 하며 지나치거나 보기 좋은 그림을 배경으로 가족의 사진을 남겨주는 정도. 그런 모습이 보일 때마다 안타깝다. 그러면서도 나 역시 그렇게 여행을 해 왔음을 스스로 인정하면서 반성하는 계기로 삼는다.


JTG 0081-img-02.jpg


이 숲길을 다시 찾은 것도 그런 이유였다. 사실 신문사에 다니던 시절 월정사는 인연이 참 많았다. 한 달에 세 번을 취재하러 오던 때가 있을 만큼 전생에 무슨 인연이 있는지 자꾸만 내려올 일이 생겼다. 한 번은 3월 중순에 오대산 산행을 따라나섰다가 허리까지 눈에 빠져 죽을 고비를 넘기기도 했다. 평생 잊을 수 없는 기자 초년병 시절의 이야기다. 그때 전나무숲을 무진장 걸어 다녔고, 사진이며 영상을 찍는답시고 무던히도 오르내렸다. 그 후로 십수 년이 지난 지금 돌이켜 생각해 보니 그 숲이 어떻게 생겼는지 도무지 기억이 나질 않았다. ‘숲’이라는 주제가 눈에 들어오고 나서야, 오대산 전나무숲길을 제대로 볼 마음이 일어난 셈이다.


자료부터 찾아봤더니, 대단하다는 말밖에 나오지 않았다. 전나무만 1,700그루. 평균 수령이 83년이다. 이 정도면 다른 지역에서는 노거수로 분류하는데, 여기는 그런 노거수가 빽빽하게 들어차 있으니 이런 숲을 등한시한 스스로가 후회스러웠다. 심지어 가장 오래된 나무는 수령이 300년에 이른다. 이렇게 오래된 나무는 크기도 클 뿐 아니라 뿜어내는 피톤치드의 양도 상당하다. 월정사로 들어서는 길목 바로 근처에 주차장이 있음에도 구태여 저 아래에서부터 이 길을 걸어 올라가라는 건 그런 이유에서다. 전국 각지에 우리가 몰랐던 훌륭한 숲이 많지만, ‘산림욕’이라는 단어에 걸맞은 여건을 이만큼 갖춘 곳은 흔하지 않다. 날이 궂든, 좋든 찾아온 모든 날이 좋을 수밖에 없는 숲이다.


JTG 0081-img-03.jpg



희귀 생물 가득한 우람한 숲


전나무숲으로 들어가는 초입에 일주문이 섰다. 그 너머부터 전나무숲의 시작이다. 일주문 편액에 적힌 ‘월정대가람(月精大伽藍)’이라는 글자. 글씨는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흐른다. 익숙한 대로 왼쪽부터 읽어봐야 당최 무슨 소리인지 알아보기 어렵다. 월정사라는 사찰의 이름을 조금은 격조 있게 이르는 말인데, ‘가람’은 ‘승가람마(僧伽藍摩)’의 줄임이다. 풀어 설명하면 ‘수행하는 승려가 모여 지내는 곳’ 정도가 되겠다.


JTG 0081-img-04.jpg


일주문 안으로 한 발 밀어 넣는다. 그 뒤부터는 보이는 세상 자체가 완전히 달라진다. 울창한 전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섰다. 인위적인 관리의 손길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사람의 흔적은 주변의 자연에서 주워온 것을 쌓아두거나 문구를 적은 팻말이 군데군데 보이는 정도. 그 외에는 오랫동안 자연이 스스로 다듬어 온 경관이 주를 이룬다. 아름드리나무의 모습도 그렇지만, 쓰러져 생을 다한 나무의 모습도 그대로 남았다. 그 그루터기를 다람쥐가 놀이터 삼아 뛰어다닌다.


JTG 0081-img-05.jpg


JTG 0081-img-06.jpg


부모와 함께 숲길을 찾은 어린아이는 작은 다람쥐가 마냥 귀엽다. 과자를 주고 싶은데 “다람쥐는 그런 거 주면 안 돼요.”라는 엄마의 말에 떨어진 도토리를 주워 다람쥐의 발치에 놓아준다. 고사해 바스러진 나무의 한쪽 단면에서는 자연 다큐멘터리에서나 볼 법한 버섯이 자리를 잡았다. 저것이 독버섯인지 먹을 수 있는 버섯인지는 모르겠으나, 아무도 손대지 않아 자연의 모습 그대로 몸체를 갖췄다. 축축한 숲의 습기를 빨아들여 버섯의 표면은 반짝이고 있었다. 지금껏 이 길을 그렇게 오가면서도 한 번도 보지 못한 풍광이다.


JTG 0081-img-07.jpg


JTG 0081-img-08.jpg


되도록 걸음을 천천히 옮겼다. 그래야 눈에 와닿는 게 많아진다. 언제 다시 올지는 알 수 없어 이번이 마지막일 수 있다는 생각으로 위와 아래를 모두 살피고 좌우를 고루 둘러봤다. 그랬더니 들어온 나무의 둥치. 아마도 오래전의 생채기였을 성싶은 그 자리에 부처가 앉았다. 시방세계 모든 것이 부처라더니 나무에도 부처다. 물론 보는 이에 따라 생각이 다를 수 있겠지만, 그리 생각하기로 했다. 옛말이 그러지 않았는가. 부처 눈에는 부처가 보이고 돼지 눈에는 돼지만 보인다고.


JTG 0081-img-09.jpg


조금 더 걷다 보니 전나무라는 이름의 유래도 알게 됐다. 추위에 강해 추운 곳에서 잘 자라는 고산성 교목이라는 건 겨울에 이곳을 와 보았으니 충분히 알겠다. 한데 이 나무에 상처가 나면 젖 (우윳빛 진액)이 나온다고 해서 ‘젖나무’라고 부르다가 ‘전나무’가 된 것이라고. 새롭게 배워가는 지식이다. 이 숲길에는 숲을 즐길 수 있도록 돕는 지식 창고가 곳곳에 마련돼 있다. 곁으로 보이는 게시판을 잘 살피는 게 좋다. 이 숲에서 자라는 버섯의 종류나 거미, 이끼류, 동물, 전나무 아래서 자라는 온갖 꽃 등을 가르쳐준다. 2006년 10월에 쓰러졌다는 이 숲의 최고령 나무의 수령은 600년이었다는 것도 게시판을 보고 알았다. 그 유명한 할아버지 전나무다. 모르고 봤다면 이미 고사해 버린 커다란 나무의 흔적이라고만 생각했으리라.


JTG 0081-img-10.jpg



평창에서 즐기는 막국수 잔치


월정사까지 걸어서 올라가니 시간이 제법 흘렀다. 1킬로미터 가까운 길임에도 천천히 걸으며 숲을 즐기고 나니 배도 출출하다. 평창은 강원도치고 먹거리가 많은 편이다. 가까이는 송어회도 있고 순댓국 잘하는 집도 있다. 무엇보다 막국수는 평창을 대표할 만한 음식이다. 막국수는 강원도의 산맥을 기점으로 관서와 관동이 서로 다른데, 그중에서도 평창은 춘천과 더불어 관서식의 비벼 먹는 막국수의 대표주자라 할 만하다. 그럼에도 이번에는 좀 색다른 집을 찾아가기로 했다. 평창읍에서 비교적 가까운 대화면에 자리한 가게다. 순 메밀만 취급하는 ‘아승순메밀막국수’다. 간혹 이 집의 이름을 ‘아승순 메밀막국수’로 잘못 띄어 읽는 이가 있는데, ‘아승 순메밀막국수’다. 아승은 ‘옮은 맛은 고객이 기꺼이 읊을 수 있도록 하는 곳’이라는 의미가 담겼다.


이곳을 구태여 찾아야 할 이유는 충분하다. 간장막국수, 비빔막국수, 물막국수를 마치 코스요리처럼 즐길 수 있으니까 말이다. 면을 좋아해서 어지간하게 잘한다는 막국수집을 숱하게 다녔는데, 이런 식으로 제공하는 경우는 처음 봤다. 이곳에서는 ‘공이국수’라고 부르는 메뉴를 시키는 게 정답이다. 물론 단품으로 물막국와 비빔막국수도 취급하고 있지만, 단품을 주문하는 경우는 한 번도 보지 못했다.


JTG 0081-img-11.jpg


주문을 넣으면 커다란 채반에 인원수에 맞춰 메밀국수를 동그랗게 타래 지어 내 온다. 더불어서 채소 더미와 달걀지단, 무절임, 오이 채 썬 것, 양배추김치를 상 위에 함께 올린다. 양념은 간장 양념, 비빔장 양념, 깨소금, 김. 이게 다다. 그다음부터는 순서대로 각기 다른 막국수를 만들어 먹는다. 처음에는 간장 막국수다. 국수 한 덩어리에 간장 한 스푼과 참기름 세 방울. 들어간 건 별것 없다. 그럼에도 국수를 한입 끊어 먹는 순간, “와!” 소리가 절로 나온다. 입맛을 돌리기에 딱 좋은 정도의 간과 맛이다.


JTG 0081-img-12.jpg


주린 입을 준비시켰으면 다음은 채소와 비빔장 등을 더한 비빔막국수. 오이와 달걀지단을 넉넉히 넣고 고소한 깨소금까지 더하면 완성이다. 만들기도 쉬운데 맛은 일품이다. 양념장을 원하는 만큼 넣어 각자의 입맛에 맞게 만들면 그만이다. 여기까지 먹고 나면 이미 배도 든든하다. 그래도 아직 먹어야 할 게 하나 더 남았다.


JTG 0081-img-13.jpg


마지막은 물막국수. 국수에 오이와 깨소금을 넣고 육수를 부어주면 끝. 시원한 육수는 채소와 과일로 만들어 살짝 달큰하지만, 입에 착 달라붙는다. 한 사람당 국수 세 덩이가 나오고, 한 덩이씩 각기 다른 국수를 만들어 먹는데 보기와 달리 양이 꽤 많다. 물막국수까지 먹고 나면 입안이 개운하다. 아쉬운 건, 아는 사람끼리 입소문으로 찾아오는 단골이 꽤 많은 이 집의 주인장이 이제는 장사를 힘겨워한다는 것. 머지않아 가게의 문을 닫을 예정이란다. 다행인 것은 이 집의 막국수 만드는 법을 배우려는 이가 몇 있고, 이미 아드님이 뒤를 이어 연천에서 장사하고 있다는 점. 그럼에도 두 부부가 만들어주는 이 국수의 맛은 각별하니 문을 닫기 전 한 번이라도 더 다녀오는 게 좋을 듯하다.


JTG 0081-img-14.jpg



JTG 0081-title.jpg


메밀은 성질이 차다. 찬 기운은 체내의 열을 내려 머리에 생기는 부스럼이나 피부의 종기 등 염증을 가라앉힌다. 필수 아미노산과 비타민이 많아 비만을 예방할 뿐 아니라, 활성산소가 형성되지 못하게 막아 콜레스테롤 수치를 내려주고, 루틴 (rutin)이 많이 함유돼 있어서 모세혈관의 탄력성을 지키고 혈압과 혈당 수치를 낮추기도 한다. 이뇨 작용을 돕는 것 역시 루틴의 역할이다. 이외에도 트레오닌 (threonine), 단백질 등이 다른 곡물에 비해 월등하고, 플라보노이드 (flavonoid) 성분은 손상된 간세포의 재생을 촉진하고 해독 작용을 강화한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