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 넘어 만난 한의학

일찍이 지방의 여고를 졸업하고 보무도 당당하게 서울 유학 생활을 시작한 이후, 멋지고 훌륭한 한의사가 되겠다며 인생의 한 폭 그림을 다부지게 그려 나가던 시절이 있었다. 해외여행이 자유롭지 못했던 당시, 나름 국제적 감각을 익힌다며, 과 동기들과 함께 회기동 63번 버스로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하여, 들어오고 나가는 사람들, 눈물로 그들을 포옹하는 가족 친지들의 모습을 보며, 미래 한의학을 향한 어떤 마음을 다지며 돌아오곤 했었다.
좁은 울안에서 대롱으로 보던 세상을 넘어 더 멀리 더 높이 나는 새가 되고 싶었던 젊은 시절의 꿈은 내 인생 최고의 전환점을 만들어 주었다. 그 단편 단편들에서 만났던 한의학 언저리 평생의 인연들은 아름다운 구슬로 엮어져, 오늘날 나의 삶에 든든한 지침돌이 되어있음을 감사히 여기며, 퇴직한 여교수의 한의학 인생 에피소드 몇 대목을 함께 나눠보고자 한다.
[학력]
1980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한의학사)
1982 대만중국의약대학 대학원 졸업 (중의학석사)
1986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졸업 (한의학박사)

[경력]
1987-2020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2005-2014 과학기술부 우수연구센터(SRC)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소장
2014-2017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2006-현재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08-현재 대만중국의약대학 객원교수
2020-현재 경희대학교 고황명예교수(정년연장)

[저서]
<흐름의 철학 경락> 및 침구경락경혈학 관련 서적 다수

이혜정
이혜정

1980년 경희대학교 졸업 직후, 한의계 최초로 해외 유학을 시도하였고, 귀국 후 모교 교수로 30여 년간 연구와 강의에 종사하였음. 과기부 우수연구센터(SRC)인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소장 및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이면서 경희대학교 고황명예교수로 근무 중임.

프로필 바로가기

#01. 대롱 속 세상 너머

 

LHJ 0001-main.jpg



1972년 어느 날, 미국 닉슨 대통령의 방중 뉴스와 함께 방영된 생생한 침 마취 외과수술 장면이 있었다. 그리고 그것을 지켜보며 신선한 충격을 느꼈던 한 여고생은 결국 평소 품어왔던 의료인의 꿈을 한의대 입학으로 구체화시켰다. 마취용 약물주입이 아닌, 가느다란 침 몇 개의 마술이라니... 1년여 뒤 그녀는 한의예과 신입생이 되어 한 번도 들어보지 못했던 생소한 언어들, 음양오행, 대우주, 소우주 등을 열심히 익혀야만 했다.


그랬다. 나의 인생 첫 전환점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수염이 시커먼 남학생들 틈바구니에서 몇 안 되는 여학생들이 병아리 종종걸음으로 수줍게 몰려다니던 신입생 시절이었다. 밖은 개나리 진달래가 한창인데 무슨 중요한 이슈가 있는지 늙은 선배들이 후배 학생들을 한 교실에 모아놓고 출입문을 막은 채 기강을 잡던 모습이 눈에 선하다.


당시 나는 ‘의과대학 한의학부’ 표시가 있는 대학교 뺏지를 가슴에 자랑스레 달고 다녔었고, 여러 양방 과목에서 의예과와 동일한 교재로 함께 강의도 들었다. 기말고사 수석이 어느 과에서 나오는지 은연중에 한양방이 경쟁하던 때였는지라, 열심히 공부해야 할 이 시간에 파업은 무엇이며 바리케이드 안에서 새어 나오는 저 이슈들은 무엇이었던가?


시간이 지나면서 대학이라는 울타리 속 정체를 점차 익혀가던 그 시절의 혼돈을 나는 아직도 잊지 못한다. 아마도 그때가 세상이라는 알을 깨고 나온 이후, 데모라는 게 무엇인지 몸소 처음 경험하는 순간이었으리라. 독립 한의과대학 추진, 이 구호는 매우 쉽게, 아니 매우 당연하게 공감하고 받아들였다. 그런데 안마사, 침구사 이런 문제들이 우리와 무슨 연관이 있기에 이리도 심각한 분위기일까? 모든 상황이 생소했던 우리 새내기들은 그저 겁에 질리고 답답하기만 했을 뿐, 화장실 출입조차 참아야만 했었다.


그뿐만이 아니었다. 화창한 어느 봄날, 허공을 뜯어내는 굉음과 함께 매운 최루탄 가스가 눈물 콧물을 사정없이 쏟아내게 하더니 육중한 교문마저 닫히고, 낯선 아저씨들이 웬 느닷없는 정문 보초를 서고 있지 않았던가. 아마도 그날은 비교동물학 시험이 있는 날이었지. 실컷 잠만 자느라 공부는 하나도 안 해갔는데, 학교 진입도 못 하고 돌아와야만 했던 그 순간, ‘시험이 연기되었다!’라는 안도의 한숨을 쉬며 내 입가에 번졌던 잠깐의 미소를 참으로 오랫동안 부끄러워했었다.


멋진 의료인이 되고자 했던 희망의 나래는커녕, 답답하고 목말랐던 동굴 속의 나날이 계속되던 어느 날, 한 선배의 지엄한 호출이 잠자는 나를 일으켜 세웠다.

“모이자, 공부하자, 미래로 나아가자, 세계로 향하자!” 

거대한 구호와 함께 급히 만들어진 하나의 학술모임 속에 난 그냥 빠져들고 말았다. 철저한 정신무장과 함께 당시에 경험했던 스파르타식 선행학습은 내 평생 처음이다 싶을 정도로 혹독했고, 엄격했고, 진지했다. 이른 새벽 5시, 총총 떠 있는 별과 함께 조용히 하숙집 대문을 나서며 하루하루가 시작되었다. 여기저기 새벽 일자리로 출근하는 사람들 속에서 버스 맨 뒷자리에 앉아 차디찬 우유와 빵으로 아침을 해결했지만 하나도 서럽지도 부끄럽지도 않았다. 오히려 그 시절의 열정은 마치 하늘의 달이라도 따올 기세였다.


노량진 공부방에 도착하여 <황제내경>을 공부하고 경혈들을 외우며 일일이 혈자리를 짚어보고 찔러보던 그때는 다름 아닌 예과 2학년 애송이 시절. 선배들의 헌신으로 만들어진 무료 과외공부는 언제나 신기함과 재미로 우리의 가슴을 설레게 했다. 두어 시간 공부한 후 다시 버스를 타고 학교 강의실로 향해야 했으니 얼마나 치열하게 살았던 그 시간이었을까. 정처 없이 혼란한 정국과 한의계의 빈한한 모습들이 오히려 우리를 그렇게 새벽 공부방으로 모이게 했던 것은 참으로 큰 역사의 아이러니로 여겨진다.


어느 날 우리 공부방 멤버들은 소위 MT를 계획하고 새로 출시된 맥주 한 박스 치켜들고 산으로 향했다. 그런데 웬일인가, 예보에도 없던 굵직한 장대비 때문에 더는 산을 오를 수가 없어 결국 어느 시골 초가집 창고를 빌릴 수밖에 없었다. 4개 학년 열대여섯 명쯤 되었으려나. 비를 흠뻑 맞고 쪼그라진 모습으로 둥그렇게 모여앉아 냉기 식어 밋밋한 맥주 홀짝거리며, 나라를 구할 작정이었나 보다. 침까지 튀기며 열변을 토하는 선배의 연설에 이어 우리의 대화는 너무도 진중했고 잔뜩 쥐어진 두 손은 땀으로 촉촉해졌다. 모처럼 MT까지 와서 이건 또 무슨 분위기람! 그럼에도 난 지금껏 비 오던 그 시골 초가집 처마 밑 풍경, 처음 맛본 그때의 맥주 맛을 잊지 못하고 있다.


그날 그 시간, 내 머리와 가슴속을 후벼 판 채 두 손 불끈 쥐게 했던, 아직도 기억하고 있는 구호 하나 있다.

“우리의 경계를 넘어 한의학의 세계화를!”

우주의 새로운 별 하나를 발견한 듯 벅찬 가슴을 안고 어느새 나는 대강 취한 모습으로 비 그친 산을 내려가고 있었다.


1975년, 그때부터 난 누구도 못 말리는 바람난 여대생의 모습으로 다듬어져 가기 시작했다. 꼭 유학을 가자. 세상을 넓게 살아보자. 더욱 살찌운 내 세계를 위하여 그 저변을 공부해 보자. 한의학을 세상에 알리자. 그런데 우선 어디로 가서 무슨 공부를 해야 하지? 그러나 어디에도 힌트는 발견되지 않았고, 누구도 그 답을 알려주지 않았다.


결국 선택한 것은 ‘에라 모르겠다. 어디로 갈지 모르니 일단 다 해보자.’라는 생각으로 우선 라디오 외국어 방송을 조석으로 듣기 시작했다. 영어, 중국어, 불어, 독일어, 아마 스페인어만 빼고 다 들었던 거 같다. 아침에 못 들으면 저녁에도 재방송이 있었고 한 과목당 15분씩이었으니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었다. 더 나아가 일어는 학원 수강으로 해결했다.


한편으론, 해외여행이 자유롭지 못했던 당시, 나의 결심을 다잡기 위해서라도 나름 국제적 감각을 익히는 일 또한 중요했다. 한가한 시간 틈틈이 동기들 몇 명을 유혹하여 회기동 63번 버스 타고 김포국제공항으로 놀러 갔다. 무거운 가방 민 채 들어오고 나가는 사람들, “이제 가면 언제 보나!” 눈물로 포옹하는 가족 친지 모습들을 지켜보며, 몇 년 뒤에 저들과 같을 내 모습을 상상해 보고 미래 한의학을 향한 어떤 다짐도 새기며 돌아오곤 했었다.


아마 누군가는 묻겠지. 새내기 대학 시절, 그 싱그럽고 아름다운 젊음의 세월을 그저 이렇게 우등생인 척 진지하게만 보냈었나? 결코 아니다. 어떻게 들어온 대학인데? 남들처럼 나도 나팔바지 챙겨 입고 당시 인기 최고 쎄시봉 오라버니들 따라 명동 오비스캐빈에도 가봤고, 시험공부를 한다며 종로 르네상스 음악감상실 출근도 해봤다. 통기타 흉내 내며 포크송에 빠지기도 했고, 짧은 흰색 스커트 바람으로 시커멓게 그을린 채 테니스 코트도 누벼봤고, 약초 채집한다며 다람쥐처럼 산을 날아다니기도 했었다. 여름이면 <논어>, <맹자>를 공부한답시고 소백산에 올라 희방사 폭포 언저리에서 반딧불이나 채집하는 재미도 누려봤고, 폭설 쌓인 치악산 정상에서 비료 포대 엉덩이 썰매로 1시간 넘게 하산했던 그 스릴 또한 아직도 가슴에 있다.


그러나 그 모든 낭만도 잠시, 좁은 울안, 대롱으로 보던 세상을 넘어, 더 멀리 더 높이 나는 새가 되고 싶었던 큰 꿈을 덮어버리진 못했다. 내 젊은 시절의 바람기는 내 인생 최고의 또 다른 전환점, 새로운 항해를 향해 폭풍처럼 일어나고 있었으니, 지금 생각해 봐도, 이 모든 것은 어린 시골 여학생의 가슴에 큰 꿈과 용기를 갖도록 이끌어주셨던 선배님들의 공이 아니었을까! 평생 감사의 마음을 잊은 적이 없기에 다시 또 이렇게 회상해 본다. 아니, 괜찮다면 성함도 공개하고 직접 감사의 인사도 전해드리고 싶다. (합장)



© 이혜정 교수의 담 넘어 만난 한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