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 넘어 만난 한의학

일찍이 지방의 여고를 졸업하고 보무도 당당하게 서울 유학 생활을 시작한 이후, 멋지고 훌륭한 한의사가 되겠다며 인생의 한 폭 그림을 다부지게 그려 나가던 시절이 있었다. 해외여행이 자유롭지 못했던 당시, 나름 국제적 감각을 익힌다며, 과 동기들과 함께 회기동 63번 버스로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하여, 들어오고 나가는 사람들, 눈물로 그들을 포옹하는 가족 친지들의 모습을 보며, 미래 한의학을 향한 어떤 마음을 다지며 돌아오곤 했었다.
좁은 울안에서 대롱으로 보던 세상을 넘어 더 멀리 더 높이 나는 새가 되고 싶었던 젊은 시절의 꿈은 내 인생 최고의 전환점을 만들어 주었다. 그 단편 단편들에서 만났던 한의학 언저리 평생의 인연들은 아름다운 구슬로 엮어져, 오늘날 나의 삶에 든든한 지침돌이 되어있음을 감사히 여기며, 퇴직한 여교수의 한의학 인생 에피소드 몇 대목을 함께 나눠보고자 한다.
[학력]
1980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한의학사)
1982 대만중국의약대학 대학원 졸업 (중의학석사)
1986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졸업 (한의학박사)

[경력]
1987-2020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2005-2014 과학기술부 우수연구센터(SRC)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소장
2014-2017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2006-현재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08-현재 대만중국의약대학 객원교수
2020-현재 경희대학교 고황명예교수(정년연장)

[저서]
<흐름의 철학 경락> 및 침구경락경혈학 관련 서적 다수

이혜정
이혜정

1980년 경희대학교 졸업 직후, 한의계 최초로 해외 유학을 시도하였고, 귀국 후 모교 교수로 30여 년간 연구와 강의에 종사하였음. 과기부 우수연구센터(SRC)인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소장 및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이면서 경희대학교 고황명예교수로 근무 중임.

프로필 바로가기

#02. 해외 유학길, 처음 맞이한 바깥세상

 

LHJ 0002-main.jpg



“쭝산뻬이루 싼돤 차이홍빈관(中山北路 三段 彩虹儐館)”

“하오하오, 환잉라이(好好, 歡迎來)!”


아! 나의 중국어가 통했다. 대만 타이베이 중정국제공항에 도착하여 이미 예약한 숙소를 가기 위해 택시 기사분에게 처음 시도해 본 것이었는데 그 신기함이 이만저만한 게 아니었다. 서울 YMCA 중국어 학원에서 제법 우수 학생이란 평을 듣기는 했어도 처음 감행한 해외 여행길이었기에 조그만 가슴은 설렘 반 두려움 반이었으니 말이다.


타이베이에서 하룻밤을 지내고 다음 날엔 나의 목표지 타이중으로 갈 생각이었다. 간단히 여장을 풀고 그 근처를 산책하다 저녁 끼니를 해결할 겸 한 식당 안으로 들어갔다. 식당 안에 가득 찬 사람들로 떠들썩한 곳 한쪽 벽에 한국에서는 보지도 못한 대형 컬러 TV가 시선을 사로잡는다. 가까이 앉아 저녁 골든타임 드라마에 귀를 기울이고 있는데 ‘어? 내 귀가 이상해졌나?’ 목구멍으로 편히 밥이 넘어갈 리 없는 그 순간, 한 마디도 알아들을 수 없는 중국어 대사에 온몸이 오그라들었다. 한참이 지나 알게 된 진실은, 하필 그때는 현지 국민 대다수가 듣고 있는 대만말 방송 시간이었던 것이다. 대만에 도착한 첫날 나의 중국어 방황이 시작되었다.


1975년 한국 경희대학교와 대만 중국의약대학이 자매교 협정을 맺은 이래, 사실 1980년 나의 유학은 그 첫 열매가 되었다. 그런 배경 탓으로 유학 신청을 하고 입학 허가를 받고 대만에 도착하기까지의 양 교간 모든 절차가 매우 서툴렀고 까다로웠다. 게다가 당시 나라의 분위기는 전임 대통령 사망으로 어수선한 가운데, 외화 낭비 혹은 간첩 활동 등에 대한 엄중 경계 하에 해외 출국자들에 대한 인식은 그리 호의적이지 못했다. 신원 조회는 매우 엄격했고, 종로 어디 해외공사에서 엄격한 반공교육도 받아야 했다. 국사와 어학 등 유학자격시험을 통해 가능한 한 유학의 문도 좁게 만들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나마 졸업 전 평균 학점 B+ 이상의 서류만 내밀면 그 시험을 면제해 주었던 것은 참 다행스러운 일이었다.


암튼 그 두꺼운 장벽을 뚫고 드디어 타이완 타이중에 도착했으니 그날에 느꼈던 짜릿함과 미래 항해에 대한 기대감은 참 오래도록 기억에 새롭다. 대학 입학식 때 총장님에게 들었던 훈시가 생각났다.

“대학 한편에 있는 저 건물을 보라! 크라운관의 모습은 청운의 꿈을 품으라는, 그 옆에 우뚝 솟은 돛대 모양의 학생회관은 미래를 향해 진군하라는 의미이다!”


드디어 원하던 대학을 방문하고, 환영 인사와 함께 행정적 절차를 밟은 후 대학원장실로 인도되었다. 머리가 희끗희끗한 노인, 천타이시 대학원장. 헉! 그런데 이분의 중국어는 산동말도 아니고 대만말도 아닌 또 다른 말을 쓰신다. 표준 중국어만 배우면 끝인 줄 알았는데... 역시 나중에 알고 보니, 홍콩에서 초청받아 오신 분이어서 광둥어를 쓰고 계셨다. 첩첩산중 다양한 언어의 숲을 처음 대하면서 이 문화에 익숙해지려면 얼마나 걸리려나 난감했던 기억이 있다.


이어서 대학원장의 안내로 석사과정 지도를 해주실 교수님을 만났다. 하홍치엔 교수님. 고향 쓰촨성 하얼빈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당시 사랑하던 동급생 여성을 좇아, 가족을 포함한 중국 내 모든 인연과 작별한 채 일본으로 탈출, 결혼까지도 성공했던 세기의 로맨티시스트셨다. 그 후 동경대학 석사과정을 거쳐 미국 하버드대학 박사 학위 취득 후 University of Pennsylvania (U Penn)에서 해부학 강의와 침 진통 연구에 오랫동안 임하셨던 기초과학자였다.


일찍이 우리나라에서도 해외에 나가 있는 우수 동포 과학자들을 초청하여 강력한 과학 강국을 만들려 했던 노력의 열매로 오늘날 KIST가 탄생하였는데, 하 교수님 또한 당시 대만에서 강하게 일고 있던 그 움직임의 일환으로 부름을 받아 국립양명의과대학과 대만중국의약대학에 겸직하며 중서의 결합 연구를 선도하시던 분이었다.


1970년대는 우리 몸의 내인성 천연 모르핀 연구가 붐을 이루는 가운데, 아편제 수용체들의 집중처인 뇌의 수도관 주위 회색질 (PAG)을 대상으로 침 자극을 주어 모르핀 유사 인자 (엔도르핀)가 대량 방출됨을 관찰하는 침 진통 연구 결과도 본격적으로 쏟아져 나왔던 시절이었다.


당시 이 분야에서 최고로 활발하게 활동했던 폴 메란츠, 앤더슨, 한지셩, 죤 리브스킨, 후다 아킬, 메이어, 핸드 등 많은 과학자들은 모두 나의 은사 하 교수님 주변 분들이었으니, 훗날 이들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었던 인연 또한 은사님의 그림자 덕이었다고 여긴다.


이들 연구를 기초로 1980년대 캐롤 옹과 캔더스 퍼트는, 침 자극이 뇌척수액 안에 엔도르핀을 방출 시켜 진통 효과를 일으킨다는 연구에 이어, 몸과 감정이 교신하는 정신 신체 네트워크 이론을 정립시키면서, 침 자극으로 마약, 알코올 등의 중독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기에 이른다.


설렘으로 방문한 교수님의 ‘침자통증연구실’에는 환한 얼굴의 동료 연구자 네댓 명이 기다리고 있었고, 익히 학교 안내 팸플릿에서 보았던 대로 원숭이를 대상으로 침 진통 연구를 수행하는 시설도 한눈에 들어왔다. 앞으로 신세를 톡톡히 져야 할 동료 연구자들이었기에 조심스레 통성명하는 동안 박수와 환호가 쏟아지고 말았으니, 그중 한 친구가 나와 생년월일이 똑같은 것이었다. 그 만남은 이제껏 변함없이 이어지고 있음에 참 질긴 인연임이 분명하다.


9월 학기 대학원 개강식과 함께 여러 담당 교수님들, 그리고 무뚝뚝하고 늙수그레한 다섯 명의 남자 동급생들과 처음 만났던 그 시간은 아마 타이중에 도착한 후 보름 정도 지났을 때였다. 각자 자기소개로 인사말을 나누는 자리, 수줍은 듯 그러나 또렷한 중국어로 나의 책무를 마쳤는데, 모임 후에 하 교수님이 다가오시더니 열흘 후 타이베이에서 개최되는 국제동양의학학술대회 (ICOM)에 한국 참가자가 50여 분이나 되니 거기에서 동시통역을 맡으라고 하시는 거다. 이 정도 중국어라면 능히 감당할 수 있다며. 와아~! 말로만 듣던 동시통역. 무식하면 용감하다고, 그래도 좋은 경험이려니 싶어 얼른 “예!”하고 대답하고 말았다.


타이베이에서 가장 아름답고 전통적인 모양을 갖추고 있는 원산대반점. 그랜드볼룸 메인 회의장에 있는 한국 참가자들이 내 통역을 듣건 말건, 심지어는 대회장의 사람들이 어디론가 빠져나가 거의 실종 상태였을지라도 쉬지 않고 열심히 통역을 했다. 중국어 발표는 한국어로, 한국어 발표는 중국어로. 유학을 와서 보이는 나의 첫 실력행사였고, 누구보다도 우리 지도 교수님이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계실 테니, 나의 첫인상을 심어줄 절호의 기회이니 말이다.


그렇게 지속된 콘퍼런스 기간 중 알게 된 한 분이 있다. 대회장에는 아무도 없는데, 너무나 열심히 통역을 해줘서 당신 혼자 듣고 계셨다고. 그 인연으로 각별히 친해진 캐나다 개업 한의사 이희재 선생님 부부. 고인이 되신 지금도 매우 그립다. 그런데 무엇보다 기뻤던 일은, 생전 처음 해외에 발을 들이자마자 나 스스로 무려 6개월 치의 생활비를 동시통역이란 걸 통해 벌어들였다는 사실이었다.


도착하자마자 자취생활로 들어갈 숙소를 정하면서 만난 집주인 내외 역시 대만말만 할 줄 아는 사람들이었다. 대화가 필요하면 수시로 “준딸아! 준량아!” 통역을 위해 아들들을 불러댔는데, 그들과의 인연 또한 돌아가실 때까지 아낌없이 주고받고 만나는 가족으로 이어졌다.


같은 중국인끼리의 언어 소통에도 통역이 필요할진대, 오랜 역사, 다른 환경 속에서 각자 개성을 자랑하며 자라온 동서양 의학의 세계는 어찌 소통할 수 있으려나. 대우주·소우주를 논하며 시작한 한의학, 이제 그 범주를 뛰어넘어, 음양·오행·경락을 표현할 또 다른 언어의 필요성을 숙명적으로 느꼈기에, 난 여기 이렇게 과학이라는 동네의 출발점에 서 있지 않았던가!


하늘의 별이 필요하다 하소연하면 어느덧 튼실한 사다리를 찾아 내 앞에 가져오실 것만 같은 든든한 나의 은사, 하홍치엔 교수님! 이미 고인이 되셨기에 때때로 대만을 찾는 나의 발걸음은 유난히도 쓸쓸하다. 그러나 길어지는 나의 대롱 밖 세상 이야기 속에는 그분의 배려와 보살핌이 언제나 함께 추억되기에 여전히 그 속에 살아계심이 참 감사하다. 그 감사를 이어받아 쓸만한 제자들 몇이라도 더 키워보려는 노력이 어느새 내 평생의 업이 되어버렸다는 사실도 이 자리에 고백해 본다.


아! 대만에서의 내 인생 최악의 그 척박하고 고달프고 눈물진 삶이 드디어 시작되었다.



© 이혜정 교수의 담 넘어 만난 한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