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05. 체질침관

 

LGJ 0005-main.jpg



체질침을 시술하는 모양은 특이하다. 우선 침을 몸에 찔러두지 않는다. 8체질 의사는 도구를 들고 환자의 팔과 다리에서 위와 아래로 방향을 바꾸면서 마치 봄날 논에 모내기하는 모양으로 부지런히 양손을 움직이는데, 침을 놓는다고 하면서 침은 보이지도 않고 대신 경쾌한 금속성이 손가락의 움직임을 따라 울린다. 옆에서 이 광경을 지켜보는 보호자들이 “선생님이 무용하는 것 같다.”, “마치 태극권을 수련하는 장면 같다.”, “검술 고수 같다.”라는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장부혈


8체질의학을 창시한 권도원 선생은 경락을 “각 장기가 생체 전체에 전달하는 그 경락만이 갖는 고유한 영향력을 운반하는 길”이라고 정의하고, 따라서 “모든 장기는 고유의 경락을 갖는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내장의 상관관계는 바로 경락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고, 경락에서 이러한 장기 간의 연락은 장부혈(臟腑穴)이 담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체질침은 바로 장기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는 침법으로 장부혈에만 시술하게 된다. 장부혈은 사람의 팔과 다리에 있는 오수혈(五兪穴)이라고도 부르는 경혈로 팔꿈치 아래와 무릎 아래에 있는 특별한 혈자리다.


체질침의 이론에서 장부혈은 영향력을 보내는 송혈과 다른 장기의 영향력을 받는 수혈로 구분된다. 그리고 오수혈 즉 장부혈은 장경(臟經)과 부경(腑經)에 각기 다른 오행(五行)이 배속되어 있고, 오행이 서로 생(生)하고 극(剋)하는 원리를 응용하여 체질침 처방을 구성한다.



Energyhole


“맨홀 (manhole)은 도시의 경혈”이라고 말한 사람이 있다. 맨홀은 도시의 지하를 흐르는 관로의 점검이나 청소, 파이프의 연결이나 접합을 위해 사람이 출입하는 시설을 말한다. 관로에서는 맨홀을 기점 합류점 관의 지름, 방향, 구배가 변하는 곳이라든가 긴 관로의 중간 점 등에 설치한다.


관로도 여러 종류가 있으니 경락이 어떤 관로와 비슷한지 특정할 수는 없겠지만, 경락과 경혈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비유로는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관로가 경락이라면 맨홀은 경혈인 것이 맞다. 이 중에도 장부혈은 경락을 통해서 장부와 직접 연결되는 아주 중요하고 민감한 경혈이다. 장부혈은 장기의 상호 영향력을 교환하는 에너지홀 (energyhole)이라고 할 수 있다.



체질침 처방


체질론적인 치료 이론에 의해 시술되는 체질침 처방은 장부혈을 송혈과 수혈의 순서로 조합한 것이다. 송혈로 영향력을 보내면 수혈이 받는다. 이것이 반복된다. 장부의 관계를 조절하는 장부방(臟腑方)은 기본적으로 송혈>수혈>송혈>수혈의 순서로 네 개의 장부혈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체의 자율신경을 조절하는 처방은 수혈과 수혈 두 개로 구성된다. 처방의 단계와 운용법에 따라 장부방과 자율신경조절방을 계통적으로 적절하게 조합한 것이 체질침 처방이다. 그리고 실제적인 체질침 시술에서는 장부혈의 순서 규칙에 추가해서, 숫자적인 원리인 수리(數理)와 자침의 방향성인 영수침자법(迎隨鍼刺法)이 포함된다.


정리하여 말하자면 체질침을 시술하는 모양의 특이성은, 팔꿈치와 무릎 아래에 위치하는 장부혈을 선택해서, 경락이 흐르는 방향을 고려해서 단자(單刺)로 자침하고, 송혈과 수혈의 순서에 맞고 수리도 맞추면서 반복하는 과정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처방의 단계가 높고 복잡할수록 팔과 다리의 한쪽이 아니라 양쪽으로 시술할 수도 있고 더 많은 단위방의 반복이 필요하기도 하다.




체질침 처방은 개인의 조건과 질병의 상황에 맞게 장부혈을 가장 효율적이고 적확한 순서와 회수로 조직하고 조합한 것인데, 이것은 마치 컴퓨터를 위한 코딩 (coding)과 같다. 즉 체질침 처방은 인체의 내장 구조와 면역시스템인 자율신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인체 외부에서 주입되는 프로그램으로, 스마트폰을 위해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듯이 체질침 처방은 인체를 위한 일회용 앱 (app)인 셈이다.



체질침관


제4대 사상체질의학회 회장을 지내기도 했던 고(故) 최병일 원장은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19기 졸업생으로 학부생이던 1971년에 권도원 선생이 진행한 임상 특강을 들었다. 그리고 동기생인 강명자 김기창과 함께 한국체질침학회의 학생 회원이 되었다. 당시에 부회장은 염태환, 총무는 유호성이었는데, 유호성은 강명자의 동덕여고 시절 은사이기도 했다.


나는 2010년 가을에 수유동에 있던 인수한의원으로 최병일 원장을 찾아갔고 이후에도 몇 번을 더 뵈었다. 처음 만난 날 40년 가까이 오래 보관하고 있던, 1971년에 처음 제작된 체질침관을 전동 베드 위에 올려서 보여주셨다.


LGJ 0005-img-01.jpg

체질침관 CA1971



반자동식 장치


권도원 선생은 1974년 1월에 『명대논문집』 제7집에 실은 「체질침 치료에 관한 연구」에서 논문을 위해 사용한 재료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하였다.

“Acupuncture needle은 일본 Ido no Nipponsha제 Super needle의 길이 30mm의 3번과 4번을 체질침을 위하여 필자가 특별히 고안한 반자동식 장치에 부설하여 사용하였다.”

최병일 원장은 1971년 당시에 세운상가 주변에 있던 재료상과 제작소에서 이것을 제작했다고 내게 전해주었다. 그런 후에 1974년에 두 번째로 CA1974를 제작했다고 하였다.



침시술용 침관


이 반자동식 장치는 권도원 선생의 명의로 1996년 3월 6일에 실용신안 출원이 되어 1999년 2월 25일에 등록되었다. 아래는 공보에 들어 있는 침시술용 침관 도면이다.


LGJ 0005-img-02.jpg

출처: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1999년 6월 15일


체질침을 시술할 때는 한 사람에게 침 한 개면 되니 아주 간편하고 경제적이다. 침은 일회용이라 사용 후에는 의료폐기물로 배출한다. 침관은 분해해서 고압멸균기를 통해서 멸균소독 처리한 후에 침을 장착하고 조립하여 사용한다.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