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이천 산수유마을과 들밥 정식

 

JTG 0089-main.jpg



3월 말까지만 해도 꽃소식이 드문드문하더니 4월에 접어들면서 멀리 제주도부터 빠르게 꽃잎이 열렸다. 경기도 이천 산수유마을에도 노란 안개처럼 꽃이 만개했다.



1519년, 산수유 군락의 시작


봄꽃이 열렸다는 첫 소식은 산수유부터 시작한다. 매화의 꽃망울이 열릴 때쯤이면 산수유가 노란 꽃을 활짝 연다. 한반도에서 산수유로 가장 유명한 곳은 전남 구례다. 상위마을, 하위마을, 현천마을, 반위마을 일대에 노란 산수유가 만개하면 바람이 불 때마다 노란 물결이 일렁인다. 1코스부터 5코스까지 산수유길도 조성돼 있어 걷기에도 좋았다. 3월 말이면 여기저기서 구례로 사람이 몰릴 법한 조건을 충실히 갖추고 있다.


이외에도 전국에 산수유가 군락을 이루고 있는 곳은 많지만 구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천의 산수유마을 역시 그렇다. 주차장에 차를 대고 마을 위로 향하는 고샅길을 따라 올라가면 곳곳을 가득 메운 산수유 군락을 만난다. 이곳을 처음 가는 사람이라면 눈이 휘둥그레할 만큼 산수유나무도 크고 달린 꽃도 풍성하다. 경기도권에 이만한 대규모 군락이 있다는 걸 아는 이는 많지 않다. 그만큼 잘 알려지지 않았다.


JTG 0089-img-01.jpg


여기를 찾아온 대다수 사람은 아마도 여기가 의도적으로 산수유를 심어서 새로 만든 곳이라고 생각하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오산이다. 이 마을의 산수유나무는 그 역사가 아주 깊다. 그 연원은 1519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는 조선의 중종 대다. 연산군의 폭정에 반기를 들고 중종반정이 일어난다. 1506년에 일어난 이 사건은 연산군이 그간 보였던 일련의 사건이 엄중했기에 비교적 쉽게 성공한다. 이후 대규모의 포상이 이루어졌다.


반정을 이끈 공신은 104명에 달했고, 여기에는 별다른 공로가 없음에도 공훈이 인정되거나 심지어 연산군의 사람이었음에도 공신으로 선정된 사례까지 나왔다. 중종이 왕위에 오른 후 조광조라는 인물이 등장해 유례없이 빠른 승진을 거듭했다. 그는 개혁을 꿈꿨다. 조선의 여러 부분을 근본적으로 바꾸고자 했지만, 이는 곧 중종의 주요 공신이 포진한 삼사에 의해 가로막혔다. 이 사건이 기묘사화다.


기묘사화의 파장은 컸다. 젊은 피가 주를 이뤘던 조광조의 일파는 대부분 숙청을 피하지 못했다. 그를 따르면 일부만이 간신히 몸을 피해 각지로 숨어들었는데, 그때 경기도 이천으로 숨어든 이가 엄용순이다. 그는 세상을 등지고 이곳에서 남은 생을 보내고자 했다. 이천으로 귀향한 이는 엄용순 이외에도 다섯 명의 선비가 더 있었는데, 그들은 백사면에 자리를 잡고 육괴정이라는 이름의 정자를 지었다. 그 주변으로 느티나무와 산수유를 심었다. 그때 심어진 산수유가 수백 년을 이어 지금에 이르게 된 것이다.


생각해 보면 5백 년이라는 어마어마한 시간이다. 그 오랜 시간 엄용순이 심은 산수유는 씨앗을 퍼뜨려 이 마을에 산수유 군락을 이뤘다. 지금 우리가 보는 산수유는 모두 그때 그 나무에서 비롯된 것이다.


JTG 0089-img-02.jpg



마을 곳곳을 가득 채운 노란 안개


애당초 관광을 목적으로 심은 것이 아니었기에 백사면 산수유마을은 정형화한 관광지의 느낌이 없다. 그 점이 아직 이곳의 명성을 널리 알리지 못한 약점일 수 있지만, 도리어 그래서 더 정감 어린 감성을 안고 있다. 마을 안쪽으로 깊이 올라가는 길목은 좁다. 차 한 대가 간신히 다닐 만한 시멘트 길이 있고, 육괴정 앞까지 이어진다. 그 길을 따라 올라가는 동안 길가로 산수유가 드문드문 심어졌다. 길을 따라 걷다 보면 멀리 노란 안개에 휩싸인 동네가 눈에 들어온다. 그 모습은 마주하는 것만으로 기분이 좋아진다. 마치 시골집을 찾아가는 듯한 감흥도 든다.


JTG 0089-img-03.jpg


육괴정 앞에서부터는 마을 너머 산 아래 논 자락까지 고샅길을 따라 걷는다. 이 길에도 곳곳에 산수유가 꽃잎을 열었다. 절정은 마을 끝에서 펼쳐진다. 골목을 빠져나가면 비로소 눈앞에 수십 그루의 노란 구름이 뭉게뭉게 떠 있다. 산수유를 심어 키워본 사람은 안다. 산수유나무는 쉬이 굵어지지 않는다. 오랜 시간을 들여 조금씩 몸집을 불리는 식물이라는 걸 안다면 이곳의 산수유가 얼마나 오랫동안 이 마을과 함께해 왔는지 비로소 깨닫게 된다.


JTG 0089-img-04.jpg


평일에도 소문을 듣고 이곳을 찾아온 사람은 꽤 많다. 모두가 마스크 너머로 함박웃음이다. 너도나도 카메라를 꺼내 이 봄을 추억으로 담아간다. 사진을 좋아하는 사진가들도 무리를 이뤄 곳곳에서 셔터를 누르느라 여념이 없다.


이제는 산수유를 모르는 이가 별로 없지만, 그 꽃을 눈여겨본 이가 얼마나 될까. 그 꽃이 어떻게 생겼는지 자세히 들여다보는 사람은 드물다. 산수유는 꽃받침에서부터 마치 우산이 펼쳐지듯 활짝 피어난다. 가느다란 꽃술 수십 개가 껍질을 열고 세상을 향해 터져 나오는 모양새다. 마치 봄날의 노란 폭죽이 가지 끝에서 펑펑 터진 것만 같다. 가까이에서 봐야 그 생김새를 알 수 있을 만큼 작고 가느다란 꽃이기에 멀리서 보면 그 노란색이 마치 안개처럼 부옇게 보인다. 봄이 절정으로 향하고 있음을 알리는 개나리처럼 짙은 노란색이 아니라 이제 봄이 시작되고 있음을 알리는 옅은 노란색이기에 보면 볼수록 더 아름답다.


JTG 0089-img-05.jpg


이곳에 이만큼 많은 산수유가 있다는 건 가을에도 여기를 다시 찾아와야 한다는 걸 의미한다. 저 많은 꽃이 지고 푸른 여름을 보내면 꽃이 있던 그 자리에는 빨간 열매가 가득 달릴 테니 말이다. 산수유의 열매는 꽃과 달리 선명한 붉은 빛이다. 가을이 되면 다시 이 마을을 찾아볼 일이다. 마치 가을에 이르러 빨간 꽃이 다시 피어난 것처럼 온 나무가 빨갛게 뒤덮일 테니 말이다.



봄을 비비는 맛


이천의 산수유마을은 말 그대로 마을과 군락을 구경하는 곳이지만, 곳곳에 카페와 식당이 마련돼 있다. 이제 막 식당이 문을 열어 손님을 받는 곳도 있다. 마을 안쪽으로 올라가는 초입, 오른편으로 빠지는 작은 길 끝에 자리한 식당도 장사를 시작한 지 이제 며칠 되지 않은 곳이다. 경사를 따라 올라가는 길의 끄트머리에 자리하고 있어 접근성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그러나 이 마을에서 가장 중요한 공간인 도립서당 건물과 식당이 이웃해 있다. 그 둘이 함께 있으니 규모 있는 사찰을 연상케 한다.


JTG 0089-img-06.jpg


식당의 주인장은 이곳의 대표메뉴가 들밥 정식이라며 이를 권했다. 여러 가지 봄나물이 주인공인 일종의 쌀밥 정식이다. 물을 주는데 산수유 물이니 몸에 좋다고 많이 마시란다. 곳곳을 돌아다니며 흔치 않은 먹거리를 참 많이도 먹었지만, 산수유 물은 처음이다. 듣자 하니 밥에도 산수유가 올라간다고. 아마도 산수유를 우린 물인 것 같은데, 무색의 맑은 물에서 산수유의 향이 느껴진다. 조금은 묵직한 느낌의 향이다.


얼마 지나지 않아 상이 차려졌다. 수육에 잡채, 깻잎, 봄동무침, 동치미 등이 놓이고, 밥상의 주인공인 나물 모둠이 가운데로 자리를 잡았다. 터무니없이 찬의 가짓수가 많지 않아 좋았다. 구성이 딱 먹기 좋을 정도다. 마지막으로 밥이 나왔는데 하얀 쌀밥 위에 산수유 열매 익은 것이 세 점 놓였다.


JTG 0089-img-07.jpg

그 맛이 궁금했다. 밥보다 산수유부터 하나 집어 입에 넣었다. 씨를 빼서 익힌 열매는 첫맛이 다소 떫은가 싶었는데 바로 새콤한 맛이 치고 들어온다. 화들짝 놀랄 만큼 빠르게 새콤한 향이 입을 가득 채웠다. 쌀밥과 함께 먹으면 밥의 단맛과 산수유의 새콤한 맛이 잘 어우러진다. 이걸 불에 살짝 구워서 내온 김으로 싸서 간장에 찍어 먹으니 이렇게 맛있을 수가 없다. 더불어 나온 청국장도 밥맛을 돕는 조연으로 일품이다. 구수한 맛이 잘 살아 있는 그 국물과 밥이 잘 어울린다.


JTG 0089-img-08.jpg


반쯤 밥을 먹다 나물을 쓸어 넣고 청국장 국물과 두부를 넣어 비비기 시작했다. 함께 내준 장은 이 식당에서 직접 담근 것이라고. 장맛이 일품이다. 너무 데치지 않아 아삭함이 잘 살아 있는 나물이 갖가지 맛과 향을 죽이지 않고 서로 어우러지게 만드는 일등 공신은 이 장이다. 잘 비벼서 한 입 밀어 넣는데, 아! 이건 봄날의 밥상이다. 봄을 비벼 먹는 느낌. 활짝 피어난 봄이 입안에서 춤을 춘다. 이천으로 찾아온 봄꽃 여행이 입안에서 완성되고 있었다.



JTG 0089-title.jpg


산수유는 열매의 생김새가 구기자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강한 신맛이 난다. 한약재로 사용하고, 과육에서 씨앗을 제거한 뒤 술을 담그거나 차로 우려내 마시기도 한다. <동의보감>과 <향약집성방>에서 두통, 이명, 기침, 월경과다 등에 유용한 약재로 소개하고 있다. 민간에서는 식은땀이 나고 야뇨증이 있을 때 기력을 보충하기 위해 많이 사용했다. 로가닌 (loganin), 모로니사이드 (morroniside), 코르닌 (cornin), 탄닌 (tannin), 사포닌 (saponin) 등의 성분이 풍부하고 포도주산,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비타민 A와 다량의 당도 포함하고 있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