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12. 감수성

 

LGJ 0012-main.jpg



편리


예전에는 친정어머니나 시어머니 또는 산파가 산모의 산구완을 했다. 난산인 경우에는 의사의 도움이 필요했다. 그런 후에 친정이나 시댁에서 산후조리를 받은 산모는 그나마 행복한 경우이고, 아기를 낳은 바로 다음 날 들에 일하러 나가야 했다는 분들도 많이 만나 보았다. 아주 특별한 경우에 아기를 혼자 낳아야만 했던 여성도 있을 것이다. 요즘 엄마가 되는 여성들은 보통은 산부인과에서 아기를 낳고 산후조리원에 가거나 산후도우미의 서비스를 받는다.


며느리가 출산 후 산후조리원에 갔는데, 시국이 시국인지라 조리원 안에 있는 산모들끼리의 교류도 가족들의 면회도 제한되어 있다. 아이 아빠도 조리원을 한번 나오면 다시 들어갈 수 없단다. 대신 궁금한 부모와 조부모를 위해 카메라를 통해서 아기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앱(app)이 있다고 알려줘서 깔았다. 휴대폰 화면 가득 손녀가 누워 있는 모습이 보인다. 미국에 있는 (나 때문에 마흔다섯 할머니가 되어 버린) 막냇동생에게 이 사실을 알렸더니 “세상 좋아졌네요.”라며 답한다. 자기는 최첨단 IT 기업에서 일하면서 인사치레로 그러는 거 같다.


짬만 나면 휴대폰을 열어 손녀를 본다. 그런데 좀 있다 어디가 불편한지 고개를 젖히고 돌리며 포대기에 싸인 몸을 비틀고 발길질을 한다. 계속 그러면서 얼굴이 벌게지게 울어댄다. 시간이 좀 지나고 화면에 큰 머리와 등이 쑥 들어온다. 순간, 그간 들으면서도 잘 이해되지 않았던 병원 신생아실이나 산후조리원에서 아기를 떨어뜨려서 다치게 했다는 뉴스들이 새삼 생생하게 느껴진다. 우리 손녀가 다치지는 않았다. 하지만 내가 보기에 종사자의 작업 주의력이 심각하게 떨어져 있다. 언제 어떤 상황에서건 사고는 순간의 방심에서 일어난다. 내 가족이라고 예외일 수는 없다.


산후조리원 설립요건을 찾아보니 신생아실 근무자의 조건은 간호사이거나 간호조무사이다. 우리 손녀가 있는 곳은 3개 조가 8시간씩 돌아간다고 한다. 근무 환경과 조건이 힘들어 친부모의 손길과 같을 수는 없겠지만, 그들의 손끝에 최소한의 정성은 담겨있어야 하는 건 아닌지 몹시 안타까웠고 계속 화면을 보고 있는 것이 두려워졌다.


이 앱은 나와 손녀의 물리적인 거리와 공간의 제약을 허무는 편리한 도구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렇게 세상은 좋아진 것일 텐데 반대로 그로 인해서 없던 염려와 불안이 개입했다. 결국 나는 앱을 제거했다.



편의


3년 넘게 출퇴근 길에 양재대로를 지난다. 집을 나와서 10분쯤 진행하면 일원지하차도를 만나고 구룡지하차도, 염곡동서지하차도, 매헌지하차도가 이어진다. 3년 전에 차를 새로 장만하고 출퇴근을 시작했을 때는 염곡동서지하차도와 매헌지하차도가 공사 중이었다. 그러던 것이 염곡동서지하차도가 먼저 그리고 매헌지하차도가 이어서 개통되었다. 물론 공사 중일 때 염곡동 사거리의 아침 출근 시간 상황은 매우 어지러웠다. 특히 양재동 쪽에서 꺾어 들어와서 경부고속도로로 진입하려는 빨간색 광역버스들이 무질서의 주역이었다. 그리고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느닷없는 차로 폐쇄와 변경은 주의 집중 에너지의 과다한 소모를 유발했다. 잠시 방심하면 바로 사고다.


새로운 교통시설은 현재보다 나은 앞날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그래서 당장의 불편과 위험을 감수한다. 하지만 공사 중이던 두 지하차도가 개통된 지금은 공사 중이던 때보다 교통에서 위험한 요소가 줄기는 했지만, 최소한 출근 소요 시간이 단축되지는 않았다. 오히려 새로운 지하차도는 과천 안양 방향으로 나가려는 차들로 인해서 전에 없던 정체를 만들었다. 거기에다 아침마다 새치기하는 차량을 그냥 지켜보아야 하는 짜증 스트레스를 준다. 공사 중 감수했던 불편을 상쇄해 줄 만한 뚜렷한 편의의 증가가 떠오르지 않는다. 누가 내게 새로운 지하차도에 대한 만족도를 물어온다면 나는 플러스 쪽으로는 하나도 주고 싶지 않다. 그리고 양재대로에 또 다른 지하차도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구룡마을 앞에 대모지하차도다.


산후조리원의 앱처럼 나의 출근길에서 새로 개통된 지하차도를 제거할 수는 없다. 다만 나는 건설 주체들이 내세우는 교통의 편의라는 구호를 더 이상 믿지 않기로 했다.



감수성


최근 6개월 정도, 먹기를 조금씩 줄여서 몸무게가 20대 후반 때의 수치로 내려갔다. 이렇게 조바심과 욕심을 줄이려는 노력은 이제 어느 정도 성과가 나타난다. 그런데 새로운 과제가 등장했다. 노파심과 노여움이다. 회갑(回甲)이 삶의 순환 주기라면 예순은 순환의 끝과 시작인 셈인데 이때가 바로 늙음(老)의 시대로 진입하는 전환점이라는 생각이 든다.


사람이 늙었다는 증거를 대라면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나는 ‘노파심과 노여움의 증가’가 아닐까 한다. 노파심이란 필요 이상으로 걱정하고 염려하는 마음이다. 정도나 태도가 넘친다는 것이다. 나는 목음체질 (Cholecystonia)이라 감수성도 민감하고 본디 이런 성향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다. 걱정과 염려의 안테나가 도무지 무뎌지지를 않는 것이다.


나는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는 성의(誠意)가 제일 중요하다고 믿는다. 성의란 글자 그대로 정성을 다하는 마음과 태도이다. 내가 표출하는 노여움은 내가 가진 신념과 맞지 않은 세상에 대한 불만이 바탕일 것이다. 내 삶이 바르다고 주장하고 싶은 것은 아니다. 삶의 경험을 통해서 깨달음이 쌓이니 자연스럽게 불만도 늘어난다.


내가 산후조리원 앱을 통해서 가졌던 감상과 앱을 제거한 행동을 다른 사람이 안다면 “그건 좀 오버야.”라고 할 것이다. 딱히 마땅한 해결책도 없는데 어쩌냐며 되려 내게 면박을 줄 수도 있다. 물론 나는 오버하는 사람이다. 지하차도 공사에 대한 견해도 그렇다. 이런 생각 자체가 없는 사람이 대다수일 수도 있다.


이것이 바로 체질이 있고 체질론이 필요한 이유이다. 감수성의 민감도는 체질에 따라서 다르고 대상이 되는 사안에 대해서 표현하는 방식도 제각각 다르다. 체질에 따라 다른 다양한 생각과 견해가 자유롭게 표현되고 나누어지고 토의되는 사회가 건강하다. 나에게 있는 것은 과한 걱정과 염려뿐이지만 이 글을 읽는 누군가에게서는 보완책과 해결책이 나올 수 있다.



경험


정부가 5월 2일부터 실외 마스크 의무 착용을 해제했다. 되돌아보면, 코로나19 위험이 시작되었을 때 사람들은 백신만 맞으면 해결될 수 있을 거라고 믿었다. 그런데 정작 코로나19에 감염되기도 전에 백신을 맞고 죽는 사람들이 생겼고, 상태와 상황이 다른 백신 접종 후유증으로 많은 사람이 고생했다. 그리고 WHO나 보건당국이 내놓는 방역 대책은 선제적 조치라고 계속 선전했지만, 코로나19는 다양한 변이종으로 빠르게 전환하면서 인류의 대응을 비웃으며 인류의 추격 의지를 앞질러 나갔다. 인류는 코로나19를 극복하지 못했다. 여타의 바이러스성 감염병처럼 이제 함께 살기로 했다.


등반가는 산을 오른다. 험하고 높은 산에 도전하는 사람들은 몇 개의 봉우리를 정복했노라고 자랑한다. 하지만 등반가가 등반 루트를 따라 정상에 올라갔다가 내려와서 자신이 원래 머물던 곳으로 돌아왔다고 해서 산이 없어진 것은 아니다. 산은 원래의 그 자리에 그대로 있다. 등반가는 그저 산의 일부를 경험한 것뿐이다. 산은 인류에게 결코 정복되지 않는다. ‘높은 산 따위의 매우 가기 힘든 곳을 어려움을 이겨 내고 가는 행위’를 정복(征服)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인간이 가진 오만이다.


LGJ 0012-img-01.jpg


질병을 앓는 것은 산에 오르는 일과 같다. 사람이 산을 이겨 낸 것 같지만 산은 그대로 그 자리에 있듯이, 사람은 질병을 이겨 내는 것이 아니라 그저 겪어내는 것뿐이다. 질병은 사람의 몸을 지나서 간다. 그러면서 사람에게 그 질병을 경험하도록 만든다. 산을 오르는 방법과 길이 다양하듯이 동일한 질병을 앓는 상황도 형태도 사람마다 다르다. 체질과 건강 조건에 따라 질병에 대한 감수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 후에 질병은 사람의 몸에 흔적을 남긴다. 마치 컴퓨터에 접속하면 로그기록이 남듯이 말이다.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