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14. 토음체질도 일반적이다

 

LGJ 0014-main.jpg



동무 이제마 공은 『동의수세보원』의 「사상인변증론」에서 ‘태양인은 대단히 적다’고 하면서 1만 명 중에 서너 명 있기도 하고 10여 명 정도 될 뿐이라고 하였다. 동무 공의 생각을 교조적으로 따르는 사람들은 『동의수세보원』의 내용을 그대로 믿는다.


8체질론을 만든 동호 권도원 선생은 8체질 중에서 “토음체질은 지극히 드물어서 만나기가 쉽지 않다.”라고 했다. 아래의 표에서 보이듯이 1990년대에 강연과 기고문을 통해서 이것을 꾸준히 강조하였다. 수만 명 혹은 20만 명 중에 하나라고 하니 비율로 따진다면 태양인보다도 더 만나기가 어려운 것이다. 권도원 선생을 추앙하는 후학들 또한 이 언급을 의심하지 않는다.


나는, 사상인론에서 태양인이 대단히 적다는 동무 공과 8체질론에서 토음체질이 희소하다는 동호 선생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다.


LGJ 0014-img-01.jpg



태양인


8체질론은 사상인론을 계승했다. 태소음양인(太少陰陽人)이 각각 둘로 나누어져 8체질이 되었다. 그러니 8체질 중의 금양체질과 금음체질은 사상인의 태양인이다. 그런데 사상의학계에서는 태양인과 금양체질 금음체질의 이런 호환성을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8체질론을 기반으로 하는 임상의들이 늘어나면서 자료가 축적되었고, 금양체질이나 금음체질은 여느 체질만큼이나 자주 만날 수 있는 체질이라는 것이 점차 밝혀졌다. 8체질론이 「사상인변증론」 조문 1을 수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현실이니 사상의학계에서 위의 호환성을 인정한다면 “태양인의 수가 대단히 적다.”라는 동무 공의 명제를 부정하는 꼴이 되는 셈이니 그렇다.



토음체질 캐내기


권도원 선생의 견해를 맹목적으로 따르는 사람들은 토음체질을 찾아낼 생각 자체를 하지 않는다. 권도원 선생 자신도 토음체질에 대한 자료를 축적하지 않았다. 토음체질에 관한 내용은 ‘희소’와 ‘페니실린 중독’, ‘복어알’ 정도밖에는 없다.


동무 공은 「사상인변증론」에서 보통의 소양인과 다르게 체형이 아담하고 외형은 흡사 소음인처럼 생긴 소양인이 있다고 했다. 모든 토음체질이 아담하게 생기지는 않았지만, 이 언급은 토음체질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토음체질이 희소하지 않다.”라고 처음 문제를 제기한 사람은 세선한의원의 이상길 원장이었다. 세선(世宣)이란 당호는 권도원 선생의 작명이기도 하고 그 정도로 이상길 원장을 아꼈던 것인데, 이상길 원장은 1999년 3월부터 한의사 통신망인 동의학당에 ‘토음체질 캐내기’란 글을 시리즈로 발표했다. 그리고 11월에는 토음체질 치험례를 올렸다. 그런 다음 권도원 선생 앞에서 직접 자신의 견해를 피력했다. 



감별의 어려움


만약 토음체질이 권도원 선생이 규정한 것과 달리 희소하지 않다면, 이는 마치 8체질론을 만든 권도원 선생이 임상의에게 8체질의학을 하지 말고 7체질만을 보라고 도리어 조장하는 꼴이다. 그렇다면 왜 토음체질이 희소하다고 규정되었는지를 궁리해 보자.


8체질을 감별하는 가장 중요한 감별 도구는 체질맥진이다. 그리고 체질맥을 구별할 수 있도록 표현된 것이 체질맥도이다. 그런데 체질침의 논문인 1965년 「1차 논문」과 1973년 「2차 논문」의 체질맥도가 동일하지 않다. 그중에서도 가장 뚜렷한 변화를 보인 것이 토음체질의 체질맥도이다.


체질맥도가 변했다는 것은 토음체질 감별에서 오류가 있었고, 누락되는 것이 많았으며, 그래서 결과적으로 토음체질로 감별하는 것에 어려움이 많았다는 증명이다. 즉 다른 일곱 체질에 비해서 토음체질을 제대로 찾기가 어려웠다는 것이다. 그러다가 ‘찾기가 어렵다.’에서 ‘만나기가 힘들다.’로 개념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데는 어떤 결정적 계기가 있었을 것이다. 그것은 아마도 토음체질과 페니실린의 연관성인 것 같다.



페니실린 과민성


토음체질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특징은 페니실린에 대한 과민성이다. 권도원 선생은 1999년 12월 16일에 동의대 한의과대학 강연에서 페니실린에 중독된 환자를 치료했던 경험을 말하였다. 그 환자는 외국인이었는데 그를 토음체질로 감별하고 페니실린 부작용에서 구해냈다.


아마도 그 경험을 통해서, 페니실린이 세계보건기구에 의해 사용 중지되기 전까지, 페니실린에 대한 과민성을 나타냈던 사례보고 통계를 확인했던 것 같다. 서두에 제시했던 표에서 보이듯이 수만에서 20만까지라면 수치가 애매하다. 대체 어느 정도란 말인가? 애초에 페니실린 과민성에 관한 통계가 그러했던 모양이다.


이 지점에서 그냥 간단하게 생각해보자. 목양체질이 포도당 주사에 중독될 가능성이 있다. 그럼 목양체질이 병원에 입원하여 포도당 주사를 맞으면 모든 목양체질에게 중독이 발생하는 것일까? 과연 그런가? 만일 그렇다면 포도당 주사는 벌써 병원의 입원실에서 사라졌을 것이다. 이처럼 모든 토음체질이 페니실린의 과민성을 즉각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아닐 것이므로, 처음에 페니실린에 부작용을 나타내는 비율을 토음체질의 인구 구성비로 곧바로 연결했던 것이 무리라고 나는 생각한다.


찾기 어렵다고 인식되었던 토음체질에 “20만 명 중 한 사람의 비율로 만나기가 힘들다.”는 개념이 중첩되면서 그런 상태로 고정되었던 것 같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창시자의 외면에 의해) 토음체질에 관한 새로운 자료는 더 이상 축적되지 못했다.



8체질의 유전법칙


사상의학을 하면서 동무 공을 존숭하는 임상가들이 태양인을 만나지 못하듯이, 권도원 선생의 개념을 추앙하는 8체질의사는 토음체질을 찾을 엄두를 내지 않는다. 나 역시도 2010년 이전까지는 그랬다.


권도원 선생의 견해대로 토음체질이 20만 명 중 한 명꼴로 분포한다면, 인구가 4천만 명이라면 토음체질은 겨우 200명 정도가 있는 셈이다.


우리 한민족의 대표적인 특징이 역동성이다. 이명박 정부 시절에는 정부의 구호가 다이내믹 코리아 (Dynamic Korea)였다. 이는 우리 민족의 구성원 중에 토양체질이 아주 많다는 증거이다. 이들은 호기심이 많고 낙천적이며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부산지역에서 8체질 임상을 하는 임상의 한 분은 자신에게 오는 환자들의 70%가 토양체질이라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8체질 임상의 다수가 토양체질이 다른 일곱 체질을 제치고 구성 분포 1위라는데 동의하고 있다. 물론 지역에 따라 분포 비율에 차이는 있다.


분포 비율 2위는 내 경우에는 목양체질이라고 생각한다. 인구 분포에서 토양체질과 목양체질이 많다면 두 체질이 만나서 결혼하는 확률도 높아질 것이다. 8체질의 유전법칙에서 보면 이 두 체질이 만나 결혼하면 자녀는 네 가지 체질이 태어날 수 있다. 목양체질과 목음체질, 그리고 토양체질과 토음체질이다. 또 토양체질이 여타의 체질과 결혼을 하면 역시 토양체질과 토음체질은 어김없이 태어난다. 이렇게 태어난 토음체질이 다른 체질과 결혼하면 또 토음체질을 낳을 수 있다.


우리 한민족의 경우만 본다면 토음체질은 희소해질 이유가 전혀 없는 것이다. 역사 속에서 정기적으로 토음체질만 몰살시키는 전염병이 돌고 있는 게 아니라면 말이다.



미스 (miss)


권도원 선생의 아들인 권우준 씨는 2018년 10월 21일에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 그랜드살롱에서 있었던 ‘8체질의학의 날 (ECM Day)’ 행사에서 강의 중에, “토음체질은 다른 체질에 비해 경험이 많지 않아서 더욱 어려움이 있다.”라는 참석자의 질문에 답변하면서, 임상의들이 “토음체질은 희귀하니까 토음체질은 특별하다.”라는 뜻으로 오해하고 있다는 취지로 말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질문자의 의도에서는 빗나간 대답이었다.


LGJ 0014-img-02.jpg

출처: 8체질의학의 날, 권우준 강의 녹취록 2018년 10월 21일


위 답변 내용의 핵심은 이렇다.

1) 토음체질이 희귀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문제다.

2) 그래서 토음체질을 금양체질이나 토양체질로 본다.

3) 권도원 선생도 토음체질을 많이 미스 한다.


권우준 씨는 마치 ‘일부러 질문의 본의를 오해’한 것처럼 답변했다고 본다. 그가 창시자의 견해를 공개적으로 부정할 수 없는 처지에 있기 때문일 거란 생각이다. 이 정도로 언급한 것도 권우준 씨에게는 큰 용기가 필요했을 것이다.


체질이란 구별이지 차별이 아니다. 그러므로 체질론을 공부하는 임상의에게 ‘똑같이 적용할 것’을 권고한 것은 뜬금없다. 그러면서 권우준 씨 역시 토음체질이 ‘굉장히 뜸하게’ 만나게 되는 체질이라는 개념에 여전히 갇혀 있는 것이다.


단언컨대 “토음체질이 희소하다.”라는 권도원 선생의 개념은 틀렸다. 나는 오늘 오전에도 벌써 토음체질 환자 두 명을 치료했다.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