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 넘어 만난 한의학

일찍이 지방의 여고를 졸업하고 보무도 당당하게 서울 유학 생활을 시작한 이후, 멋지고 훌륭한 한의사가 되겠다며 인생의 한 폭 그림을 다부지게 그려 나가던 시절이 있었다. 해외여행이 자유롭지 못했던 당시, 나름 국제적 감각을 익힌다며, 과 동기들과 함께 회기동 63번 버스로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하여, 들어오고 나가는 사람들, 눈물로 그들을 포옹하는 가족 친지들의 모습을 보며, 미래 한의학을 향한 어떤 마음을 다지며 돌아오곤 했었다.
좁은 울안에서 대롱으로 보던 세상을 넘어 더 멀리 더 높이 나는 새가 되고 싶었던 젊은 시절의 꿈은 내 인생 최고의 전환점을 만들어 주었다. 그 단편 단편들에서 만났던 한의학 언저리 평생의 인연들은 아름다운 구슬로 엮어져, 오늘날 나의 삶에 든든한 지침돌이 되어있음을 감사히 여기며, 퇴직한 여교수의 한의학 인생 에피소드 몇 대목을 함께 나눠보고자 한다.
[학력]
1980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한의학사)
1982 대만중국의약대학 대학원 졸업 (중의학석사)
1986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졸업 (한의학박사)

[경력]
1987-2020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2005-2014 과학기술부 우수연구센터(SRC)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소장
2014-2017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2006-현재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08-현재 대만중국의약대학 객원교수
2020-현재 경희대학교 고황명예교수(정년연장)

[저서]
<흐름의 철학 경락> 및 침구경락경혈학 관련 서적 다수

이혜정
이혜정

1980년 경희대학교 졸업 직후, 한의계 최초로 해외 유학을 시도하였고, 귀국 후 모교 교수로 30여 년간 연구와 강의에 종사하였음. 과기부 우수연구센터(SRC)인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소장 및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이면서 경희대학교 고황명예교수로 근무 중임.

프로필 바로가기

#09. 조각배 타고 고래를 잡다

 

LHJ 0009-main.jpg



지난 편에 미처 못다 한 재밌는 이야기 하나를 잠시 나누고 지나가려 한다.


2005년 11월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열린 세계침구학회 (WFAS)에 센터의 여러 연구원과 함께 참석하였는데 놀랍게도 반가운 친구를 만났다. 2년 전 독일 강의에 나를 초대했던 Johannes Henry Greten 교수가 기조 강연을 위해 학회에 나타난 것이다. 반가운 마음에 서로 얼싸안았고 이어서 귀국 길에 Heidelberg 재방문을 약속하고 말았다.


포르투갈에서의 여러 일정을 마치고 도착한 독일의 어느 공항. 늦은 저녁 시간에 마중 나온 독일 연구원들은 숙소에 여행 짐을 풀기도 전에 다시 우리를 데리고 고즈넉한 어느 교회를 향해 차를 몰았다. 목적지에 도착하니 어디선가 은은한 파이프오르간 소리가 우리를 먼저 반겼다. 보통 성가대원들이나 자리할 것 같은 교회 정면 2층의 작은 구역으로 인도되어 갔는데, 거기에는 이미 또 다른 연구원 열댓 명 정도가 커다란 개 한 마리 (얘 이름도 Henry!)와 함께 앉아 젊은 오르가니스트가 연주하는 바흐의 곡을 감상하며 곁들여지는 음악적 해석을 경청하고 있었다. 생각지도 않게 유럽의 한 가운데 옛 도시의 교회에서 이 무슨 호사였던가!


소박하고 작지만, 감동적인 음악 감상회가 끝나고 이어서 출출한 배를 채울 시간, 또 다른 풍의 음악과 함성이 어우러진 도시는 여전히 불타는 금요일인 듯 떠들썩했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가 한복판 어느 식당, 황태자의 첫사랑 속 축배의 노래가 시원한 맥주와 함께 취한 우리의 귀와 목을 적시고 있었다. 이어 Greten 교수는 재학 중 들어가 보지 못하면 불명예 졸업생으로 취급당했던 학생 감옥도 보여주며, 술에 취해 잡혀 들어갔던 그때 자기가 벽에 새긴 글귀라며 자랑까지 곁들이니, 그 묘한 낭만적 분위기는 잠시 우리의 위치를 혼란스럽게 만들어버렸다.


이때 함께 참여했던 채윤병 연구원 (현 경희대 교수)은, 이들과의 멋진 만남이 계기가 되어, 지금까지 독일파가 되어버렸다고 스스로 얘기하고 있다. 채 연구원이 당시 <민족의학신문>에 기고했던 ‘하이델베르그 모델’ 체험담 일부를 소개해 본다 [1].


LHJ 0009-title-01_30.jpg

■ ‘動的平衡 상태’로 음양 설명

그레텐 박사가 우리를 위해 한의학 원론에 대해 2시간 정도의 강의를 했는데, 음양의 속성을 사물의 두 가지 양면성으로 단순하게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Water Bath에서 물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원리로 설명했다.


■ 장부·경락 원리로 파고드는 서양 한의학

장기간의 여정으로 입 안이 헐어 음식 먹기가 곤란하다고 하니, 그레텐 박사가 위열(胃熱)을 내리는 원리로 구창(口瘡)을 치료해야 한다며 발의 내정혈(內庭穴) 주위를 단자법(單刺法)으로 마구 자침해주니 실제 효험이 있었다. 기존의 단순한 자극요법으로서 침을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한의학의 장부 및 경락의 원리에 입각한 치료 방법을 택하였던 것이다.

LHJ 0009-title-02_30.jpg


강한 인상을 남겼던, 하이델베르크 얘기는 그만 접고, 이제부터는 통통배 타고 먼 대양으로 나아가 포경선들과 경합하여 고래를 잡아 올린 이야기다.


2005년 5월, 세 차례의 도전 끝에 커다란 꿈의 과제 하나가 수주되었다. 침구경락 이론 및 임상기술을 다양한 과학기술에 연계시켜 새로운 침 연구 패러다임을 만들어 보려는 열망 속에 지원했던 선도(우수)연구센터 (SRC)가 기적적으로 우리 품에 안긴 것이다.


‘BK 21’이라는 고마운 씨앗이 움터서 동서의학대학원 침구경락연구팀에서의 탁월한 연구 성과로 굳센 뿌리를 만들더니, NIH 연구비 수주까지 넝쿨이 자라 올라 결국 침 연구의 또 다른 도약을 이루어 낸 것이다.


9년간 100억에 가까운 장기적 지원하에 수행되는 본 연구센터는, 해마다 모든 의생명과학 연구기관들 사이에 여타 다른 연구과제들을 제치고 가장 치열한 경쟁률을 보여 왔다. 그런데 제5분과인 융합분과의 67:1의 경쟁률을 뚫고 우리 팀에게 기회가 왔음은 “하나님이 주신 기적”이라는 말 밖에 달리 표현할 방법이 없다.


2011년쯤에 우수연구센터를 기획 취재하는 <디지털타임스>의 여러 질문에 답했던 주요 내용을 보면 센터의 구조나 운영 방향들이 더욱 명확한 그림으로 다가올 것이다 [2].


LHJ 0009-title-01_30.jpg

경희대학교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AMSRC)는 2005년 한국연구재단 우수연구센터 (SRC)로 지정된 이후 최근 6년간 146편의 침구경락 관련 SCI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Impact factor 3.0 이상 논문도 19편 게재되는 등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루었다.


한의학과 주변 의생명과학과의 융합 연구모델을 제시하는 가운데, 전통의학의 과학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난치성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러 가지 동물 모델을 통해 침 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 관련 생물학적 지표의 변화를 관찰하여 작용 기전을 밝히는 기초연구와 각 질환의 환자에게 침 치료군과 대조군을 두어 침 치료의 유효성을 관찰하는 임상연구로 크게 구별된다.


또한, 단순한 물리적 자극이 아닌 침 치료가 포괄하고 있는 복합적인 요소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침 치료의 효과를 관찰하려는 시도들이 진행되는 가운데, 최근에는 기초-임상 중개연구를 통해 동물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연구에 적용하는 통합형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인적 구성에서는 한의학 (경혈학, 침구학), 의학, 신경생물학, 세포생물학, 물리학, 수의학, 뇌영상학 등을 전공한 연구진으로 각 분야 고루 구성되어 유기적인 협력연구를 진행해오고 있다.

LHJ 0009-title-02_30.jpg


이와 같이 각 분야 연구진들과의 융합연구를 통해 다양한 우수논문을 양산함과 동시에 관련 연구인력 양성에도 힘을 쏟다 보니, 짧은 기간이지만 집중 연구 속에 수확된 연구업적은 우리 자신도 믿기 어려울 정도였다.


당시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것을 확인해 보면, 센터가 출발한 지 불과 5년밖에 안 된 2010년에 ‘1991년부터 2009년까지의 침 연구 통계’ 보고에서 푸단대, 하버드대, 북경대, 엑스터대 등을 제치고 경희대가 이 분야에서 세계 1위를 달성했다는 내용에 이어 [3,4], 2017년, 2020년에도 여전히 같은 성과를 보여주는 논문이 발표되었던 것이다 [5,6]. 물론 이 성과는 우리 센터 외의 경희대 내 다른 침 연구도 일부 포함된 것이지만, 해마다 성과를 분석한 표에 본 센터가 출발한 시점부터 급상승한 결과를 참조하면 별도의 이견이 없으리라 여겨진다.


이혜정0009 사진1.JPG

Comparison of the publication growth trends of top four institutes.


또 다른 업적으로, 신경과학 분야의 SCI급 국제저널인 Neurological Research에 ‘한국 침 연구 특집호’를 두 차례 단독 발간했는데, 2007년에는 ‘Science of Acupuncture in Neurological Disorders’라는 주제로 18편의 논문을 [7], 2010년에는 ‘Advanced acupuncture system for neurological disorder’라는 주제로 24편의 논문을 싣는 쾌거를 이루었다 [8].


여기에는 기초실험연구로 맞춤의학, 표준화 연구, 통증, 약물중독, 우울증, 뇌졸중, 염증, 파킨슨 질환 등이 포함되었고, 임상연구로는 금연침, 자율신경 조절 연구 등도 소개되었다. 이에 2007년 4월 13일 자 중앙일보에는 ‘중의학과 차별되는 한국 침구학의 과학성을 세계에 알리는 의미, 과학으로서의 침구경락 및 한의학 연구를 알리는 단일 특집호 발간 기념 세미나 개최’라는 제목으로 특집호 기념 세미나 내용이 보도된 바도 있었다 [9].


그런데, 이렇게 열심히 노력하여 많은 성과를 내었고 여기를 디딤돌로 삼아 탄탄한 미래의 또 다른 길을 개척하려 나아갔지만, 연구원들 각각의 인간적 삶은 어땠는지 솔직히 자세히 알 수는 없다. 이번 기회를 통해 한번 반추해 보니 명치끝을 누르는 장면 하나가 얼른 떠오른다.


SRC 연구조직 개편 및 수정 건으로 인천에 위치한 가천대학교 부속병원에서 조장희 박사, 김영보 박사와의 회동 약속이 있던 날, 공교롭게도 아들에게 급성 맹장염 진단이 떨어졌다. 그러나 센터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사안이 있었기에, 샛노란 얼굴로 밤새 고통을 호소했던 아들에게 어쩔 수 없이 내린 결정은 참으로 매정할 수밖에 없었다.


“미안해! 맹장염 그거 별거 아냐. 혼자 택시 타고 응급실로 가서 일단 수술을 받으렴. 회복실에서 일반 병실로 올라올 즈음에 엄마가 도착할게!”


첨단 기법이라며 대대적 홍보까지 하던 강남 대형병원의 로봇 녀석이 충수돌기 절제 말고 엉뚱한 혈관까지 구멍 내 버릴 줄을 누가 알았으랴! 여러 날 이어진 복부 출혈을 잡지 못해 결국 중증 복막염으로까지 진행됨으로써, 3일 입원 예정이 40일 고통스러운 투병으로까지 연장되었던 악몽은 내 연구 인생 뒤안길에서의 슬프고 아픈 에피소드 하나로 기억되고 있다.



References


[1] [탐방기] 독일서 만나 본 정통 한의학 ‘하이델베르그 모델’. 민족의학신문. 2005-11-18


[2] '한의학의 과학화’ 세계적 명성, 6년간 SCI급 논문 146편… 중국도 제쳐 침 메커니즘 규명ㆍ뇌 질환 치료기술 박차. 디지털타임스. 2011-09-14


[3] Han JS, Ho YS. Global trends and performances of acupuncture research. Neurosci Biobehav Rev. 2011 Jan;35(3):680-7.


[4] 경희대 침구경락 연구분야 20년간 SCI급 논문 세계 1위, 중국․대만 교수가 1991년-2009년 6,004개 침구경락 관련 논문 분석. 경향신문. 2010-12-17


[5] Kung YY, Hwang SJ, Li TF, Ko SG, Huang CW, Chen FP. Trends in global acupuncture publications: An analysis of the Web of Science database from 1988 to 2015. J Chin Med Assoc. 2017 Aug;80(8):521-5.


[6] Lee IS, Lee H, Chen YH, Chae Y. Bibliometric Analysis of Research Assessing the Use of Acupuncture for Pain Treatment Over the Past 20 Years. J Pain Res. 2020 Feb 11;13:367-76.


[7] Science of Acupuncture in Neurological Disorders. Neurological Research. Volume 29, Issue sup1 (2007).


[8] Advanced Acupuncture System for Neurological Disorders. Neurological Research. Volume 32, Issue sup1 (2010).


[9] '한의학 우수성 세계서 인정‘, 국제저널 Neurological Research 특집호 발간 기념 '과학으로서의 침구경락 한의학 연구, 한의학 연구 미래 한국의 자산' 주제의 세미나 개최. 중앙일보. 2007-04-13



© 이혜정 교수의 담 넘어 만난 한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