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 넘어 만난 한의학

일찍이 지방의 여고를 졸업하고 보무도 당당하게 서울 유학 생활을 시작한 이후, 멋지고 훌륭한 한의사가 되겠다며 인생의 한 폭 그림을 다부지게 그려 나가던 시절이 있었다. 해외여행이 자유롭지 못했던 당시, 나름 국제적 감각을 익힌다며, 과 동기들과 함께 회기동 63번 버스로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하여, 들어오고 나가는 사람들, 눈물로 그들을 포옹하는 가족 친지들의 모습을 보며, 미래 한의학을 향한 어떤 마음을 다지며 돌아오곤 했었다.
좁은 울안에서 대롱으로 보던 세상을 넘어 더 멀리 더 높이 나는 새가 되고 싶었던 젊은 시절의 꿈은 내 인생 최고의 전환점을 만들어 주었다. 그 단편 단편들에서 만났던 한의학 언저리 평생의 인연들은 아름다운 구슬로 엮어져, 오늘날 나의 삶에 든든한 지침돌이 되어있음을 감사히 여기며, 퇴직한 여교수의 한의학 인생 에피소드 몇 대목을 함께 나눠보고자 한다.
[학력]
1980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한의학사)
1982 대만중국의약대학 대학원 졸업 (중의학석사)
1986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졸업 (한의학박사)

[경력]
1987-2020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2005-2014 과학기술부 우수연구센터(SRC)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소장
2014-2017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2006-현재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08-현재 대만중국의약대학 객원교수
2020-현재 경희대학교 고황명예교수(정년연장)

[저서]
<흐름의 철학 경락> 및 침구경락경혈학 관련 서적 다수

이혜정
이혜정

1980년 경희대학교 졸업 직후, 한의계 최초로 해외 유학을 시도하였고, 귀국 후 모교 교수로 30여 년간 연구와 강의에 종사하였음. 과기부 우수연구센터(SRC)인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소장 및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이면서 경희대학교 고황명예교수로 근무 중임.

프로필 바로가기

#08. 패러다임의 확장–하이델베르크 모델

 

LHJ 0008-main.jpg



언제나 과학의 역사가 증명하듯, 개인의 몸, 사회, 국가, 심지어는 우주 영역에서까지 생명 현상이 존재하는 곳곳에는 끊임없는 운동, 전진, 팽창이라는 생명 활동이 발전과 변화라는 논리 하에 지속되어 왔음이 확인 또는 추측되고 있다.


어느 일간지 기자가 ‘시대별 세계화 개념의 변화’에 대해 쓴 글을 읽은 적이 있다. 1800년 이전 대항해시대에는 튼튼한 배를 소유한 나라가 세계화를 이루었고, 그 이후 200년간은 해외로 진출한 기업들이 산업화 세계화를 이루어 내다가, 뉴밀레니엄 시대부터 현재까지는 IT를 발전시킨 나라와 개인이 세계화의 주인공이 되어있다는 등의 얘기였다. 이로 미루어 볼 때 향후 강대국 간의 경쟁 및 보호무역 정책들이 심화하여, 개인 또는 국가 간의 차이가 극심해질 것으로 예견되는 미래의 세계화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까 자못 궁금해진다.


심심찮게 한의학의 세계화를 이야기할 때 우리는 어느 고래의 등을 타고 어느 방향으로 항해해야 하나 고민하게 된다. 나의 인생 항해도 그런 맥락에서 민들레 홀씨 흩날리듯 이리저리 강한 바람에 실려 지나온 느낌이 있다.


뉴밀레니엄 2000년을 맞이하여서는, 한국 한의학의 확장을 위한 미션을 가지고 미국 남캘리포니아대학 (USC)에 둥지를 틀고 앉아 미국 한의학 시장을 조사하고 둘러보면서 전문성이나 체계성이 매우 부족한 그곳 한의과대학의 현실을 보았다. 이어 네바다 대학교-리노 의과대학 (University of Nevada, Reno School of Medicine)과 공동으로 6년제 한·양방 융합대학 모형으로 경희대 분교를 세울 꿈도 꾸어보았고, 스탠퍼드 의과대학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학장을 만나서는 경희대 한의대와 공동연구 프로젝트도 구축해 보았다.


또한 북경대학교 의학부 신경과학연구소의 Han Ji Sheng 교수가 1970년 초기부터 가장 먼저 엔도르핀과 침 기초연구를 연결해 많은 SCI급 논문을 낸 연구자로 명성을 크게 얻어왔지만, 직접 그의 연구실을 방문하여 전체 현황을 파악했을 때도, 중국은 우리의 경쟁 상대는 못될 것 같다는 자부심도 약간 생겨나고 있었다. 당시 Han 교수는 침 자극마다 개인차가 발생하는 manual 침법을 피해 일정한 자극 조건을 제시해야 한다는 이론을 펼쳤는데, 그때 자체 개발한 전침 자극기가 객관적 침 연구를 위한 도구로 한동안 많이 사용되곤 했었다. 그러나 한의학의 경락을 인정하지 않은 채 침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는 점, 그리고 훗날 여러 종류의 전침기가 잇달아 출현 되었으나 내부 사양의 균일함 유지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아 오히려 실험 과정에 오류도 더러 발생하였다는 점 등은 두고두고 고려해 볼 만한 내용이었으니 말이다.


이처럼 세계화를 화두로 이런저런 꿈도 꾸어봤지만, 현실로 이어진 경우는 그리 많지 않았다. 그럼에도 1999년부터 2년간 우리 교실의 박히준 연구원을 Han 교수 연구실로 파견시켜 침 자극의 조건, 즉 전침의 주파수에 따른 진통 기전 연구로 논문을 완성 짓고 돌아오게 한 일은 나름 우리의 연구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지피지기의 전략이기도 했다. 침 기초연구의 최정상이라 알려졌던 북경의 연구소를 뛰어넘어 이제 그 정상 자리를 탈환한 한국 침 연구의 역사는 여기에서부터 시작된 것 같다. 구체적 내용은 뒤편에서 다시 언급될 것이다.


그런데 어설픈 자부심의 벽에 약간의 균열이 생기는 일이 벌어졌다. 2003년 8월에 독일에서 주최한 Medical Acupuncturist 하계 세미나에 강의 초청을 받고 나서부터다. 1990년 중반쯤 경희대 한의대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논문을 지도해 줬던 독일 의사 디터 슈미트가 졸업 후 독일로 건너가 한·독 한의학의 가교 역할을 많이 하던 중 성사된 것이었다.


공항에 마중 나온 슈미트를 따라 독일 북부의 플랜스버그 (Flensburg)에 있는 그의 집에 며칠 머문 뒤 출발한 첫 행선지는 하이델베르크 (Heidelberg)였다. 이름만 들어왔던 독일의 아우토반! 널찍한 그 고속도로에 너도나도 모두 시속 200km로 질주하다 보니 전혀 그 빠른 속도를 인지하지 못할 정도였으니, 나도 편안한 마음으로 그 길을 즐겼던 것 같다. 그런데 주 목적지를 향해 하이델베르크를 떠나 스위스로 접어들면서부터는 갑자기 시속 100km로 서행해야 했으니 상대적으로 느꼈던 그 답답함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그런 가운데 몽블랑, 샤모니 등을 거쳐 프랑스 남부까지의 여정을 거치면서, 한의학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의학 전도사가 된 기분을 흠뻑 누릴 수 있었다.


내가 참여했던 세미나는 하이델베르크 대학 해부학 교수이며 Heidelberg school of Chinese Medicine의 설립자인 Dr. Johannes H. Greten 교수 주도하에 매년 정기적으로 프랑스 남부 엑상프로방스 (Aix-en-Provence)에서 열리고 있는 것이었다.


그 당시 독일에서는 25만 명 의사 중, 침을 사용하는 의사는 8만 명, 침과 한약을 동시에 쓰는 의사는 2만 명쯤 되었으며, 이 숫자는 매우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었고, 전국에 10여 개의 침구의학협회도 있어 여러 소그룹 간에 정기적인 한의학 세미나를 통해 임상 지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하이델베르크 의대 재학생과 교수, 의사들을 포함하여 전 유럽에서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4주간의 단계별 코스를 정하여 강행군하던 중, 나는 하루 3시간씩 1주일 동안 경혈학 및 침구 임상강의를 진행했었다. 이들 중 상당수에 해당하는 임상 의사들은 이미 5~6년간 이 그룹 속에서 한의학을 수련해 왔고 일부는 중국에 건너가 일정 기간 공부해 온 덕분에, 한의학적 생리·병리 지식은 물론 경혈의 부위 및 기능, 한약의 효능 등에 대하여 이미 많은 내용을 다 터득하고 있었다. 따라서, 중의학과 구분되는 한국 한의학을 애써 강조해야만 했고, 한의학적 팔강진단법을 근거로 경혈의 배오원칙이나 보사법 등의 침 테크닉, 그리고 신침 응용 등 임상적 단계까지 진도를 나가 줘야만 했다.


컴퓨터 PPT도 없었던 그 시절, 겨우 오버헤드 프로젝트를 사용하면서 매일 두 시간의 이론 강의를 진행하였고, 나머지 시간은 참석자 중에서 무작위로 환자를 뽑아, 진찰하고 침 처방을 내리고 치료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설명하고 보여주기를 반복하였다. 비디오까지 들이대며 촬영하는 그들 앞에서 조금은 과장이 곁들인 보사테크닉 실기를 손가락 끝으로 연출하는데... 이게 웬일인가? 즉석에서 바로 절뚝거리던 환자가 걷고, 심장이 심하게 뛰며 얼굴에 벌겋게 열이 올랐던 환자는 안정된 맥과 건강 혈색을 되찾고 있었으니 말이다. 그때 일행 중에 누군가가 외쳤던 “이것이 바로 Art다!” 그 한마디 칭찬을 아직도 난 잊지 못한다.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가 살았던 것 같은 작은 산속 호텔에서 호수가 있는 산 정상의 강의실로 가기 위해 매일 20분 정도의 산행을 해야 했는데 오르막길가에는 500여 종의 약초가 빼곡히 심겨 있었다. 특히 인삼은 빨갛게 꽃이 핀 채 나를 반겨주는 듯했다. 그런데 강의 참석자들의 약초에 대한 지식은 이름을 아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법제 및 방제 등 약물 응용에까지 진도가 나가 있었고 심지어는 약재의 질적 관리에 대한 깊은 관심도 있었음이 놀라웠다. 그레텐 교수는 한국 한약재의 규격화 현황을 물으며 유럽에서 수입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현실적 요청까지 할 정도였다.


더 머물고 싶은 욕망을 누른 채 예정된 강의 일정을 마치고 곧 귀국하게 되었지만, 이들은 여전히 남아 ‘정신 치료에 있어서 한의학 치료의 응용’이라는 주제로 계속 세미나를 여는 것을 보고 ‘뭔가 우리가 잘못 계산하고 있었구나’ 하는 마음을 지울 수가 없었다. 오히려 더 나아가, 이들은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자신들의 잣대를 사용하여 의심하는 일도 없이, 심지어는 주역까지 공부하며 우리나라 태극기의 원리를 토론하기도 하며, 동양적 원리를 바탕으로 한의학 그 자체를 이해하려 시도하는 등, 자기들이 하고 있는 학문의 방법론에 대한 자부심과 희망은 대체의학 및 보완의학의 수준을 넘어서서 새로운 의학을 창출할 수 있다는 곳에까지 연결되어 있었다.


귀국 후, 기자의 요청으로 독일 방문담을 정리하면서 ‘한국 한의학의 국제화 방안’을 제안해 본 적이 있는데 그 요약된 내용은 아래와 같다.


[한국 한의학의 국제화 방안]


첫째, 세계 유명 학술지와 학회에 한의학 치료 효과의 우수성과 다양성을 객관적인 데이터와 과학적 언어를 통하여 통계화된 임상치료 데이터로 보여주어야 한다.


둘째, 국내 학자의 영문 저서가 해외에서 출판되어 해외 의료인들이 이 책을 교재로 한국 한의학을 공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지원해야 한다.


셋째, 석·박사학위 과정 등을 해외에 설치하는 등 대학 캠퍼스 및 강의의 국제화 전략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우리나라에서도 한의학 고유의 개념과 치료 효과가 서양 과학의 언어로 표기된 SCI급 한의학 학술잡지를 발간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계와 협회가 협력하여 ICOM과 같은 국제 학술행사를 보다 더 한국적 특성이 강하고 수준 높은 단계로 끌어올려야 할 것이다.


위의 제안을 한 지 이미 20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의 모습은 어떠한가? 이미 임상 분야에서는 연구 활성화, 데이터 축적 및 CPG 개발을 서두르고 있고, 대학은 저마다 국제 교류에 힘을 쏟고 있으며,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로의 등재를 위해 한국한의학연구원의 IMR, 약침학회의 JAMS, JoP 등이 Scopus, Medline, PubMed Central 등에 진입하여 또 한 단계의 상승을 도모하고 있긴 하다. 그러나 이제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이하여, fast follower보다는 first mover의 입장으로서, 기초 및 임상 분야의 질적 제고를 위해 나아가고 계속 유지하기 위한 한의계 총체적인 노력이 더욱 중요한 시점이지 않은가!



© 이혜정 교수의 담 넘어 만난 한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