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 넘어 만난 한의학

일찍이 지방의 여고를 졸업하고 보무도 당당하게 서울 유학 생활을 시작한 이후, 멋지고 훌륭한 한의사가 되겠다며 인생의 한 폭 그림을 다부지게 그려 나가던 시절이 있었다. 해외여행이 자유롭지 못했던 당시, 나름 국제적 감각을 익힌다며, 과 동기들과 함께 회기동 63번 버스로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하여, 들어오고 나가는 사람들, 눈물로 그들을 포옹하는 가족 친지들의 모습을 보며, 미래 한의학을 향한 어떤 마음을 다지며 돌아오곤 했었다.
좁은 울안에서 대롱으로 보던 세상을 넘어 더 멀리 더 높이 나는 새가 되고 싶었던 젊은 시절의 꿈은 내 인생 최고의 전환점을 만들어 주었다. 그 단편 단편들에서 만났던 한의학 언저리 평생의 인연들은 아름다운 구슬로 엮어져, 오늘날 나의 삶에 든든한 지침돌이 되어있음을 감사히 여기며, 퇴직한 여교수의 한의학 인생 에피소드 몇 대목을 함께 나눠보고자 한다.
[학력]
1980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한의학사)
1982 대만중국의약대학 대학원 졸업 (중의학석사)
1986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졸업 (한의학박사)

[경력]
1987-2020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2005-2014 과학기술부 우수연구센터(SRC)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소장
2014-2017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2006-현재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08-현재 대만중국의약대학 객원교수
2020-현재 경희대학교 고황명예교수(정년연장)

[저서]
<흐름의 철학 경락> 및 침구경락경혈학 관련 서적 다수

이혜정
이혜정

1980년 경희대학교 졸업 직후, 한의계 최초로 해외 유학을 시도하였고, 귀국 후 모교 교수로 30여 년간 연구와 강의에 종사하였음. 과기부 우수연구센터(SRC)인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소장 및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이면서 경희대학교 고황명예교수로 근무 중임.

프로필 바로가기

#11. 창밖 또 다른 경험, 그리고 인력 양성이라는 사명

 

LHJ 0011-main.jpg



2014년은 나의 삶에 있어 매우 획기적인 변화, 색다른 경험이 시작된 한 해였다. 4월에 우수연구센터 (SRC)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가 종료됨과 함께 10월의 홈커밍 모임으로 마무리하고, 이어서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KMCRIC) 과제를 새로 수주함으로써 소박한 출발을 하나 싶었다. 그런데 11월 초 대만에서 개최된 국제동양의학학술대회 (ICOM)를 다녀오자마자 대전에서의 또 다른 삶이 시작된 것이다.


그해 8월이었던가, 당시 한의계의 주요 직책을 맡고 있던 몇몇 분이 만남을 요청해왔다. 한의학 기초 임상 전반의 조화로운 발전, 그리고 한국한의학연구원의 중요한 위치와 역할에 대하여 대화가 길어지는가 했더니, 종국에는 당시 공석 중인 연구원장 2차 공모에 응해달라는 간곡한 권유가 만남의 목적으로 드러났다. 당시 원장 선임 과정에서 뭔가 난항이 거듭되어 1차 공모 진행이 취소되었던 터였다. 전혀 뜻밖의 제안 속에 나름의 큰 책임감 또는 사명감으로 여러 날 다각도의 고민이 있었고, 결국엔 또 다른 차원의 인생 열차 티켓을 끊고야 말았다.


세 차례에 걸친 공모 심사과정을 거쳐 11월 10일 연구원장으로 선임되었고, 다음 날 급히 대학에 휴직 신청을 한 후, 주섬주섬 챙긴 옷가지와 필수품 몇 개만 캐리어에 넣은 채 차에 실려져 연구원에 도착했다. 정기적으로 행해왔던 절차에 따라 보직자들 미팅부터 시작하여 300여 명의 연구원 앞에서 취임식과 청렴서약식 등이 척척 이루어졌다. 마치 초고속 시간의 미끄럼틀 위에 앉아 있는 양, 일사불란하게 진행되는 스케줄들이 참으로 생소했고 긴박하게 느껴졌다. 제한된 일정 기간 정부 공무원 극기 수련에 참석한 기분이랄까.


이로써 대학이라는 울타리를 벗어나 개인의 자율적 시간이 대폭 축소된 여름방학 겨울방학도 없는 주 5일 내내 ‘9시 출근-6시 퇴근 (때로는 9시 퇴근)’의 고정된 삶이 처음으로 시작된 것이다. 생소하기만 한 도시, 관사라며 주어진 작은 아파트에 앉아 내가 지금 갑자기 여기에 왜 와있는지, 주어진 3년의 기간 동안 해야 할 일은 무엇일지, 좀 더 차분하고 꼼꼼하게 당면한 숙제를 되짚어봐야 했던 첫날이었다.


그러나 대전에서의 그 첫날밤은 엉뚱하게도 엄청 외롭고 추웠던 기억이 있다. 퇴근 후 텅 빈 관사로 돌아왔으나 아직 이사를 안 했기에 아무런 취사 시설도 없는 상황에서 당장 저녁 식사를 해결할 수가 없었고, 이미 땅거미가 진 터라 동서남북 방향도 모른 채 주변 식당도 찾을 수가 없었던 그 시간... 한참을 전전긍긍하다 결국 택시를 타고 늦은 시간 시댁으로 기어들어 가 잠든 어머니를 깨울까 봐 조용히 냉장고를 뒤져야만 했으니 말이다.


한참 시간이 지난 후에 연구원 보직자들과의 대화에서 이 섭섭한 속마음을 털어놓은 후에야, ‘원장의 위치라는 게 너무나 어렵고 먼 자리라 아무도 가까이 접근하지 못했었구나...’ 하는 약간의 이해를 더 할 수 있었다. 그래도 어쨌건 참으로 서럽고 외로운 첫날 밤이었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마침 대전에 시댁이 없었다면 난 그냥 꼼짝없이 굶은 채 잠도 이루지 못했을 테니 말이다. 아마도 향후에는 외지에서 부임한 신임 원장에게 첫날밤 저녁식사 정도의 안배는 이루어지지 않았을까 짐작해 보며 그날의 에피소드를 재미있게 회상하곤 한다.


1994년 개원하여 당시 20살의 청년이 되어 있던 한국한의학연구원의 역할과 정체성에 대해서야 무슨 긴 설명이 필요할까. 오랜 기간 대학 교수직에 임하면서 경혈학교실, BK21 프로젝트 및 우수연구센터 (SRC) 등 크고 작은 연구과제들을 운영했던 중심 철학은 언제나 ‘구성원들의 행복한 연구생활’이었다. 그리고 그들에게 요구되었던 단순한 생활수칙은 오직 ‘주인의식과 인화단결’ 그뿐이었다. 그랬다. 운영자는 구성원들의 행복을 살펴주고, 구성원들은 주인의식을 가지고 상호 신뢰하고 화합하는 것, 그 결과는 자연스레 고구마 줄기처럼 따라붙는 우수한 성과였음을 누누이 경험했던 바였다.


게다가 정부에서 출연하는 기관 중 하나인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이제 단순한 연구 성과 축적에만 그치는 게 아니라, 서로 다른 전공자들끼리 신뢰하고 협력하는 가운데 한의학의 발전에 끼칠 영향력, 인류에 미치는 영향력, 세계 속에서의 한의학을 생각해야 했고, 지역사회와 관련 산업에까지 기여해야만 하는 큰 숙제를 가지고 있었기에 더더욱 그러한 운영 철학이 필요했다.


부임했던 첫날부터 그 해 마지막 날까지 모든 팀, 모든 연구원을 차례차례 면담하며 그간의 연구 내용과 성과에 대해 분석하고 토론하면서 새해부터 이루어질 새로운 연구 기획에 착수하는 가운데 2014-2015 연말과 연시는 그렇게 숨 가쁘게 흘러가고 있었다.


짧은 임기 중의 역할에는 분명 한계가 있었기에 어느 정도의 운영 성과를 거두었는지 판단함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또한 20여 년의 역사를 통해 굳어지고 편중되어 있던 관습을 수정하면서, 여론에 따라 공정하게 일 처리를 한다고는 했지만,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기득권을 잃은 누군가는 원망과 섭섭함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의 치열한 경쟁 구도 속에 국가가 어떻게 운영되고 과학기술계가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그 속에서 우리의 위치와 사명은 무엇인지 등을 객관적이고 넓은 시각으로 판단하면서 한의학 역사의 한쪽 퍼즐을 맞춰갈 수 있었던 참으로 귀한 창밖 세상의 경험이었다.


원장 임기가 마무리되어가던 2017년 10월 즈음, 마지막 국정감사가 생각난다. 과학기술계의 뜨거운 이슈들로 자정을 넘기는 가운데 모두가 지쳐 있던 과기정통부 국정감사장은 거의 마무리 수순으로 정리되고 있었다. 그때 의사 출신 위원장의 호명이 떨어졌다. “한의학연구원장님, 앞으로 나와 주세요!” ‘헉! 드디어 차례가 오고 말았구나...!’ 무슨 질문을 해올지 긴장도 하고 궁금해하면서 마이크 앞에 섰다.


“인삼이 어디에 좋습니까?” 뜻밖의 이 질문을 받는 순간, 마침 당시 의약학계 일부에서 한의사들의 인삼 연구에 대해 뭔가 작은 시시비비가 일어나고 있었기에 위원장의 손에 아마도 그 질문지가 들려져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러나 새벽을 향해가던 그 시간, 무슨 심각한 질문이라고 한의학술 용어를 줄줄이 내놓을까. 그냥 웃음으로 마무리시키고 싶었다. 그리고 이어서 내 입에서는 전혀 다른 대답이 나오고 있었다. “네! 오늘 같은 날, 이 시간까지 앉아있는 모든 사람들이 복용하면 참 좋을 것 같습니다.” 좌중을 한바탕 웃긴 직후 국정감사는 정말로 종료되었다.


생각해 보면 어언 35년의 교수 생활을 반추해 보아도, 또 3년간의 짧은 연구원장 생활을 회상해 보아도, 그 속에 담겨있던 내 삶의 철학은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었으니, 곧 “사람을 얻는 일, 사람을 키우는 일”로 함축되고 있는 듯하다. 주어진 과제를 운영하며 때마다 세워왔던 주요 전략 중 하나는 ‘우수연구인력 양성’이었으니, SCI급 논문 제1저자의 자격을 갖춘 연구원들에게 해마다 최대 2회까지 국제 학회에 발표할 기회를 부여해왔던 것도 그 일환이었다.


세계적으로 한의학의 위상과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국내외 침 연구자들도 폭발적으로 늘어나니, 관련 연구 성과의 증가는 물론이고 많은 국제 학회도 개최되는 가운데, 이제 이들은 학문적으로 튼실하게 리더급으로 잘 성장해 주었다. 그리고 현재 여러 방면의 전문가 모습으로 각지에서 활발하게 교수 및 연구 활동을 하는 모습이 참으로 기특하고 감사할 따름이다.


그렇게 세월은 흐르고 흘러 자연스레 평화로운 바통 터치, 세대교체가 이루어졌다. 2014년도에 우수연구센터 SRC 과제가 종료되면서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는 융합이라는 최근의 화두를 강조시킨 채 ‘침구경락융합연구센터’로 이름을 바꾸어, 박히준 센터장이 지휘봉을 잡고 새로운 출발을 하면서 지금까지 여전히 많은 인력양성과 함께 연구 성과를 내는 중이다.


그와 동시에 후속 과제의 필요성과 함께, 바야흐로 앨빈 토플러의 ‘지식정보화 사회’가 그 몸체를 보여주듯, 기존 연구과제의 범주를 넘어선 또 다른 개념의 연구 거리 확장을 이루어냈다. 같은 해에, 한의학계 처음으로 과기정통부 과제인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KMCRIC)를 출범시켰던 것이다.


한의약 관련 연구정보의 수집, 가공, 확산 및 네트워킹을 골자로 출발한 본 센터는, 국내외에 쌓인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고 분석하고 소개함과 동시에, 새로이 대두되고 발전된 연구 패러다임도 제시함에 큰 목표를 두고 있었다. 과제를 수행한 지 벌써 9년째가 되는 지금, 현재 이향숙 센터장의 지휘하에 국내외 한의학 안팎의 연구 현황 및 방법론에 대한 정보를 열심히 실어 나르고 있고, 나아가 많은 팔로워까지 끌어안으며 지역사회에까지 의료 및 삶의 정보를 구축해 주고 있는 중이다.


이제 4차 산업혁명이라는 미래의 시대를 대비하면서, 그리고 더 나아가 지구환경 및 생태계의 급진적 변화에 발맞추어, 인류의 몸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이 주요 화두로 떠오르기 시작하였으니, 한의학 현장의 많은 후학들이 서로 협력하며 그 역할을 훌륭히 감당해 주기를 기대할 뿐이다.



© 이혜정 교수의 담 넘어 만난 한의학